동아시아 철도 국제관계사
이노우에 유이치 지음, 석화정 외 옮김 / 지식산업사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19세기 말~20세기 초의 동북아시아에 있었던 제국주의 열강들 간의 파워게임을 철도사(鐵道史)를 통해 살펴보고 있는 책이다. 이 책의 주무대는 만주와 한반도로, 파워게임의 참가자는 영국, 러시아, 일본, 미국 등이다.

이 책은 제일 먼저 경봉철도를 소유한 영국과 시베리아 철도, 동청철도를 소유한 러시아 간의 미묘한 파워게임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다. 대륙세력 러시아의 팽창을 저지하기 위해 중앙아시아에서 영국과 러시아 간에 벌어졌던 파워게임은 <그레이트 게임>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그레이트 게임>은 중앙아시아를 무대로만 일어난 것이 아니다. 

당시 혼란에 빠져있던 중국 대륙으로 세력권 확장을 꾀하던 러시아는, 당시 중국에 제일 많은 이권을 가지고 있던 영국에게 있어 가장 위협적인 상대였다. 특히 러시아가 아관파천 이후 한반도에도 그 세력을 확대하자, 영국은 청일전쟁 이후 급성장한 일본을 끌어들여 러시아 저지에 맞선다. 이러한 영국, 일본 등의 해양세력과 대륙세력을 대표하는 러시아 간의 경쟁을 저자는 당시의 철도에 주목해 설명하고 있다.

당시의 철도는 단순히 군사와 물자를 수송하는데 그치지 않고 상대방이 자신의 세력권에 침입하는 것을 막는 중요한 방어선이 되기도 하였다. 특히 궤도가 넓은 광궤 철도를 쓰는 러시아와 표준궤를 쓰는 영국과 일본의 철도는 서로 호환될 수 없었기 때문에 효과적인 대러 방어선이 되기도 했다.

이로 인해 경인선, 경부선, 경의선 등 한반도 철도 부설권을 획득할려는 일본과 러시아 간의 치열한 경쟁이 일어났다. 그리고 그러한 일본 뒤에는 일본을 경제적, 외교적으로 지원해 러시아의 팽창을 저지하려는 영국이 있었다. 러일전쟁 이후 일본이 한반도와 남만주 일대를 장악하면서 만주, 한반도 일대를 장악하려는 러시아의 야심은 한풀 꺽였지만 대신 새로운 파워게임 참가자 미국이 등장하고, 영일동맹 관계였던 영국과 일본 사이의 외교적 마찰, 열강들을 만주에서 몰아내려는 중국의 민족주의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하지만 일본은 전쟁으로 인해서 멀어졌던 러시아와의 관계를 호전해 만주지역에 새롭게 유입된 미국, 영국 자본에 대해 공동대응을 함으로써 이 위기를 타파한다. 

철도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독자들을 위해 자세히 해설하고 있다는 점, 자칫 지루하기 쉬운 동북아시아 철도 경쟁을 흥미롭게 서술한다는 점에서 이 책은 매우 만족스러웠던 책이었다. 하지만 이 책은 부제가 <영일동맹 성립과 변천과정>인 점에서 짐작할 수 있겠지만 제3차 영일동맹이 체결되고 중국에 신해혁명이 발생한 1911년도에서 이야기를 끝내고 있다. 철도를 둘러싼 동아시아 파워게임은 사실 1911년 이후에도 계속되었으며 후에 만주사변, 중일전쟁을 잉태하였고, 태평양 전쟁의 간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신해혁명 이후의 동북아시아 철도 경쟁 및 만철의 만주 장악에 대해서 알고 싶은 독자들에게 이 책은 야구경기 우천 취소처럼 이야기를 도중에 끝낸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4-12-30 18:1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제목만 봐도 학술서적 같습니다. 이런 전문도서를 읽고 글로 정리하는 모습이 대단하고 부럽습니다.

Palaiologos 2014-12-30 19:53   좋아요 0 | URL
과찬이십니다 저자가 논문으로 냈던것을 책으로 펴낸 것이긴 하지만 저자가 독자들을 위해 친절하게 해설한 부분이 많아서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는 책입니다
 
Viva! 知られざるイタリア軍 (單行本(ソフトカバ-))
吉川 和篤 / イカロス出版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밀리터리 클래식> 잡지에서, 2차대전 이탈리아군에 관해 연재하던 내용을 책으로 낸 것이다
독일군, 일본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이탈리아군에 관한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를 불러 일으키는 책이다
˝이탈리아 육해공군/RSI군˝과 ˝이탈리아군 병기 열전˝ 총 2개 챕터로 나누어져 있는데 ˝이탈리아 육해공군/RSI군˝에서는 사보이아 기병대, 포켓잠수함, 인간어뢰 등 이탈리아군에 대해서 흥미가 갈만한 전사(戰史)를 소개하고 있으며, ˝이탈리아군 병기 열전˝은 이탈리아의 유명 무기들을 육해공군에서 몇 개씩 뽑아 설명하고 있다
잡지에 연재되었던 내용을 모아둔 책의 특성상 흥미본위의 내용이 많아 지루하지 않게 읽을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지만 반대로 이탈리아군에 대한 심도 있는 지식을 않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 책의 아쉬운 점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민들레 소녀
로버트 F. 영 지음, 조현진 옮김 / 리잼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마치 달달한 코코아 한 잔 마시는거 같은 느낌의 SF 단편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왕 게임 1 - 소설
카나자와 노부아키 지음, 천선필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2년 5월
평점 :
품절


스토리 전개가 개연성이 부족하고 무엇보다 스토리와 관계가 없는 선정적인 장면이 많이 나옵니다 선정적인 장면을 넣더라도 작가가 묘사를 잘하였다면 몰입해서 읽을 수 있었겠지만 저자의 묘사력 부족으로 몰입도 안되고 그저 불쾌할 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목: もう一つの陸軍兵器史―知られざる鹵獲兵器と同盟軍の実態

저자: 藤田 昌雄

출판사: 光人社

출판년도: 2004

평점: ★★★★☆

 

 

내가 이 책을 접하게 된 계기는 밀리터리 잡지 <MC 액시즈>에 있는 코너 <추축의 인연(

 

한 이야기는 잘 안 알려진 이야기이다. (물론 전쟁에서는 매우 흔히 있는 일이지만...)

여기서 흥미로운 부분은 중국군편에 있는 내용이다. 2차대전 개전 직전까지 독일은 중국에게 적지 않은 군사적 지원을 해왔기 때문에 중국군은 독일제 병기가 많았는데 일본군들에게서 제일 인기를 끈 노획병기가 바로 독일제 병기라는 점이다. 특히 M 35 헬멧(2차대전 때 독일군 헬멧)은 일본군이 제일 좋아하는 노획품 중 하나로 책 중에 첨부된 사진을 보니 중국군으로부터 노획한 M 35 헬멧을 쓰고 전투에 임하는 일본군의 모습이 여러 장 있었다. (적의 무기도 아니라 적의 군장을 착용하고 전투에 임하는건 왠지 위험할 것 같지만..)

 

"대륙의 동맹군" 은 만주국, 남경정부, 몽강연합자치정부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는 부분이다. 각 나라의 군사편제부터 군사전략, 사용한 병기까지 소개하고 있다. 특히 다른 책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내용, 예를 들어 만주국 해군, 백계 러시아인 의용대, 황협신중화구국민군(중국인 포로들을 이용해서 구성한 부대로 치안유지 임무를 맡음) 등등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있다. (일본 괴뢰국 안에 이렇게 부대가 많은 줄은 이 책을 읽고 처음 알았다.)

 

"대동아전쟁과 동맹군"은 일본의 점령지 정책을 소개하는데부터 시작해서 자바방위의용군, 수마트라 의용군, 보르네오 의용군, 말라이 의용군, 월남청년선봉대, 필리핀 애국동지회, 버마방위군, 인도국민군, 태국군 등등을 소개하고 있다. 다른 책에서는 내용 소개는커녕 이름조차 듣기 어려운 군부대도 몇몇 있어 태평양전쟁에 대한 유익한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다만 이 책도 아쉬운 점이 몇 개 존재한다. 챕터 이름이 "태평양전쟁과 동맹군"이 아니라 "대동아전쟁과 동맹군"인데서 짐작할 수 있듯이 이 책의 저자는 태평양 전쟁을 일본의 자위(自衛)를 위해서 어쩔 수 없는 전쟁이었다고 보는 시각이 내용 서술 곳곳에 존재한다.

 

구미열강과 자웅을 겨루는, 메이지 시대 이래 최대규모의 대외결전인 <대동아전쟁>은 대일본제국의 자위(自衛)와 자존(自存)을 위해 행해졌던 자원확보를 위한 전쟁이며....  -p.225

 

 

또한 이 책에는 지금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 옛스러운 표현이 상당히 많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M1 개런드 소총"을 "M1식 7.62 소총"으로, "M1919 브라우닝 기관총"을 "1919년식 브로우닝 기관총"으로 표기하였다. 심지어 현재 일본에서는 "이탈리아"를 "イタリア"로 표기하는게 일반적이지만 이 책은 "イタリー"로 표기하였다. 책을 읽으면서 2004년에 쓰인 책이 아니라 1944년에 쓰인 책을 읽는 느낌이 들어 읽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기존의 군사 서적에서 등한시 해 온 "일본군의 노획병기"나 "일본의 동맹국 군대"에 대해서 다루었다는 점에서, 이 책은 일본의 2차 대전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만족할만한 정보를 담고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