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검도 백과 - 경찰경호무술지도자 교재
염장호 지음 / 크라운출판사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책 제목하고 책 내용이 전혀 딴 판이네요..
책 제목을 보아서는 다양한 유파의 검도를 소개하는 책인 것 같지만 내용은 그냥 대한검도의 기본을 소개하고 있는, 평범한 검도 교본입니다
대한검도에서의 기본 자세, 도법 등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마저도 앞쪽의 저자 사진을 비롯한 사진 몇 장만 칼라 사진이고 나머지는 대부분 흑백사진이라 좀 옛스러운 느낌이 강하게 느껴지는 교본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스코트 조플린 : 래그, 행진곡 & 왈츠 전곡집 [3CD]
스코트 조플린 (Scott Joplin) 작곡, 알브라이트 (William Albright / Nimbus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스코트 조플린의 The Entertainer, Maple Leaf Rag을 들으려고 구입했는데 다른 알려지지 않은, 스코트 조플린의 명곡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어서 좋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季刊 古地圖 2014.가을호 - No.1
Tmecca Korea 편집부 엮음 / Tmecca Korea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고지도를 주제로 한 잡지라길래 호기심에 구입해보았는데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가 어떻게 그려졌고, 그 지도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보존되고 있는지 등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가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게다가 그 밖의 고지도에 대해서 공부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해서 도움이 될만한 정보들(관련도서 리뷰 등)이 있어 크게 도움이 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만의 역사
김영신 지음 / 지영사 / 2001년 3월
평점 :
절판


흔히 대만을 중국의 일부지역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지만 대만은 그 나름대로의 독특한 역사적 발전을 이루어 왔다
동아시아 해적들의 본거지, 네덜란드, 스페인의 통치, 명나라의 부흥을 꿈꿨던 정씨 왕조 등 청나라가 완전히 대만을 자신의 세력권에 넣기 전부터 다양한 나라들이 대만을 지배했었고 그 과정에서 중국 대륙에서 볼 수 없었던 다양한 문화 요소들이 대만 문화를 이루게 되었다
청일전쟁 이후 대만은 약 50년에 걸친 일본의 식민지배를 받는다 그렇지 않아도 대륙과 이질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던 대만은 더욱 대륙과 문화가 이질적이 되었고 이는 후에 국민당 정부가 대만으로 옮겨온 이후에 2.28 사건 같은 대륙 세력과 토착 세력 간의 갈등으로 번졌다
현재 대만의 중화민국과 대륙의 중화인민공화국은 서로의 이념을 이유로 대립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의 대립이 과연 이념적 이유에서만 기인한 것일까? 청나라 통치기부터 계속 있어왔던 대륙과 대만의 갈등의 연장선이 아닐까?
이 책을 통해 대만의 독특한 문화 및 역사를 느낄 수 있었다


아쉬운 점
1. 너무 교과서적인 서술 때문에, 역사의 서사적 재미가 반감되었다

2. 가장 큰 문제점은 참고문헌 목록이 없다는 것... 전문서적은 물론이고, 이 책 같은 교양서적에도 참고문헌, 출처 표기는 책을 쓸 때, 절대 빠뜨려서는 안된다. 특히 대만에 대해서 더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서라도...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5-01-06 13:4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책이 나온지 꽤 오래돼서 개정증보판이 나와야 할 것 같습니다.
 
철도로 보는 중국역사
김지환 지음 / 학고방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구 유럽에서는 ˝문명의 진보˝를 상징하는 문명의 이기로서 칭송받던 철도였지만 중국인들에게 철도의 도입은 그리 유쾌한 것이 못되었다
영국, 프랑스, 러시아, 일본 등 제국주의 국가들은 중국에 철도 부설권 및 운영권을 얻기 위해 서로 경쟁을 하였는데 이는 자국의 군사, 상품 운송을 수월히 하고, 타국의 군사, 상품 운송을 통제해 중국 내에 자국의 세력권을 확대하기 위한 방편이었을 뿐이다.
특히 이 책은 만주에서 있었던 일본-러시아 간 패권 경쟁에 많은 내용을 할애한다. 철도를 둘러싼 러일 간 패권 경쟁이 러일전쟁을 잉태했고, 러일전쟁의 승전으로 인해 획득한 남만주 철도를 관리하기 위해 탄생한 남만주철도주식회사(만철)는 만주사변, 중일전쟁의 도화선이 되었다.
초창기에는 제국주의 세력들에게 철도에 대한 이권들을 빼앗기기만 했던 중국이지만 신해혁명 이후 민족주의 운동이 거세지면서 철도국유화 움직임이 보인다. 이는 중국 내에 많은 이권을 가지고 있었던 제국주의 국가들의 불만을 불렀고, 그 중에서도 남만주를 넘어 북만주로까지 철도 이권을 확대하려고 하고 있던 일본의 불만이 컸다.
일본이 중국의 철도 국유화에 비협조적으로 나오자, 중국은 일본 철도들에 대한 평행선들을 건설, 싼 운임을 이용한 만주 내 일본 철도들의 이익을 떨어뜨렸고, 마침 경제대공황으로 인해 경제가 어려웠던 일본은 이를 큰 위기로 간주해 결국 만주사변을 일으켜 만주를 완전히 자신의 세력권 내에 두게 된다.
여기서 흥미로운 것은 만주사변 이후 소련이 자신의 소유였던 중동철도(동청철도)를 만주국에 판매했다는 점이다. 알다시피 일본은 쇼와 시대에 접어들면서 치안유지법을 통해 공산주의 이념을 적대시했다. 그런 일본에게 소련이 자신들이 만주에 가지고 있던 이권을 상징했던 ˝중동철도˝를 판매한 것은 2차대전 초기 독일과 소련이 불가침조약을 맺으며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던 것만큼이나 불가사의해 보인다. 하지만 저자는 이에 대해 놀라울 것이 없다고 말한다. 1909년 간도협약에 의해 일본에게 부설권이 주어진 길회철도가 사실상 중동철도의 평행선이었기 때문에 이윤이 계속 감소하고 있었다는 점, 중국 내의 철도국유화 운동에 의해 소련이 언제까지 중동철도를 보유하고 있을지 불확실했다는 점, 소련이 제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실행하기 위한 자금이 필요했다는 점 등을 들며 소련에게 있어 일본이 왜 매력적인 거래상대로서 보일 수 밖에 없었는지를 설명한다.
경제와 외교에 있어선 국가 간 감정이나 이념 간 대립보다도 실리가 우선되는 것이 역사가 움직이는 원리라는 것을 느낄 수 있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마지막으로 최근 중국에 건설되고 있는 고속철도 이야기로 끝을 맺고 있다. 20세기에 ˝외세의 침략˝을 상징해오던 철도가 21세기 중국인들에게는 ˝조국의 부국강병˝이라는 희망 찬 개념으로 접근해 올 수 있다는 점을 암시한 것처럼 보인다. 과연 21세기 중국인들에게 있어 철도는 어떤 것이 될 것인가? 중국사를 공부하는 이로서 앞으로의 중국 철도의 행보가 기대된다.



아쉬운 점:
1. 사소한 것이긴 하지만 책에 몇몇 오자가 보인다. 특히 연도 표기에서 1800년대를 자꾸 1900년대로 표기하는 오류가 종종 보인다.
2. 일관성 없는 고유명사 표기 원칙이 아쉬웠다. 어떤 쪽에서는 고유명사를 한글로 표기하는가 하면 다른 쪽에서는 고유명사를 한자로만 표기하는데 책을 읽는내내 종종 혼동을 주는 점이었다. 특히 일본의 지명이나 일본인 인명은 한자로만 표기하지 말고 한글로 표기하든지 아니면 가나 표기를 해주었으면 한다 일본어 한자는 단어마다 읽히는 음이 다르기 때문이다.
3. 1935년 소련의 중동철도 매매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의 중국 철도사에 대해서 실려 있지 않다. 현재 중국 고속철도 사업 현황이 마지막에 나오지만 갑자기 1935년에서 2014년으로 책에서 서술하는 시간대가 바뀌니 마치 중간에 무엇인가 빠진 것처럼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