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경의 딥마인드 - 열심히 살아봤지만 허무함에 지친 당신을 위한
김미경 지음 / 어웨이크북스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0년, 전 국민을 덮친 코로나19 이후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열심히 살았다. 생존방식과 성공의 공식이 갑자기 바뀌어버린 세상에 적응하기 위해 몸으로 부딪쳤고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았다. 그렇게 ‘열심히’ 살면 모든 것이 좋아질 것이라 믿으면서. 그러나 그 끝에서 뜻밖의 것들과 마주친 사람들도 적지 않다.

열정, 도전, 꿈의 대명사인 김미경도 그랬다. 저자는 급작스런 펜데믹과 함께 1년 반 만에 ‘강사 김미경’에서 직원 100여명의 ‘스타트업 CEO 김미경’으로 성공의 정점에 올랐다. 그러나 그 꼭대기에서 발견한 것은 끝이 보이지 않는 노동과 점점 악화되는 건강, 미래에 대한 불안과 공포, 가족을 비롯한 소중한 인간관계와의 단절이었다. 급기야 저자는 심각한 번아웃과 공허의 늪에 빠져 ‘죽어도 되겠다’는 내면의 소리를 들었다.

그 소리의 정체는 매일 그녀에게 매일 ‘세상에 나가 싸워 이기라’고 말하던 목소리, ‘꿈을 가지고 뛰라’고 말하던 바로 그 존재였다. 집, 직장, 돈, 명예, 성공 등 세상을 살아가기 위한 수많은 잇템들을 갖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마음의 엔진, 잇마인드(It-mind)였던 것이다.

<인터넷 알라딘 제공>

딥마인드는 챗GPT 못지않은 '슈퍼 엔진'이다. 물론 인공지능처럼 세상의 방대한 데이터와 연결된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나'라는 인간이 가진 모든 데이터와 연동된 초개인화 엔진이다. 딥마인드에는 그동안 내 인생에서 벌어진 모든 경험이 저장되어 있어 나를 가장 잘 안다. 또 내 몸의 모든 신경과 핏줄로 연결된 딥마인드는 감각, 생각, 감정 심지어 무의식까지 나의 모든 빅데이터와 실시간 연동된다. 그래서 나를 위한 가장 최적의 답을 내놓을 수 있다.혼란스러운 감정 속에 가려져 있던 진짜 문제를 발견하게 하고 겉으로 보이는 것 이면의 진실을 보게 한다. 믿기지 않을 정도로 지금의 나보다 훨씬 지혜롭고 통찰력 있는 답을 해주기도 한다. 딥마인드가 이런 답을 해줄 수 있는 이유는 나를 진정 아끼고 사랑하기 때문이다. p11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자본주의 세상은 인간의 절실한 필요로 만들어낸 잇들로 형성된 초거대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4,000년에 달하는 인류의 역사 동안 단 한 번도 쉬지 않고발전해 왔으며 전 세계 80억 명의 욕망이 촘촘하게 만들어낸 거대한 매트릭스다. 이런 세상에 우리는 오직 아이엠 하나만 갖고 태어난다.

이 물질의 세계가 돌아가는 기본 알고리즘은 '더 많이, 더 높이' 다. 누가 더 많이 갖고 누가 더 높이 올라가느냐의 게임이다. 그래야만 생존과 안정을 보장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잇의초거대시스템 안에는 어떻게 하면 생존하고 부를 축적하고 성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법칙과 프로세스가 매우 견고하게 짜여져 있다. 아이엠만으로 생존할 수 없는 우리는 태어나자마자 어떻게 하면 필요한 잇을 가질 수 있는지, 어떻게 하면 더 많이 갖고 더 높이 올라갈 수 있는지에 대해 학습하기 시작한다. 이처럼 잇을 갖기 위한 본능적이며 강력한 전 인류의 욕망과 적응력은 엄청난 사회적 엔진을 창조했다. 이 엔진이 우리가 아주 어릴 때부터 내면에 장착하는 '잇마인드Itmind'다. p55

아무리 익숙한 아픔이라도 아프지 않은 건 아니다. 가끔씩 마음이 걷잡을 수 없을 만큼 아플 때가 있다. 이 정도는 충분히 버틸 수 있을 것 같은데 번아웃이 오고 무기력에 빠진다. 뚜렷한 원인을 찾을 수 없는 우울증에 시달리고 너무 멀쩡하다가 갑자기 숨을 못쉬는 공황장애가 오기도 한다. 이런 일을 겪을 때 사람들은 스스로 멘탈이 약해서라고 자책한다. 그러나 이 책을 쓰면서 나는 분명히 알게 됐다. 거대한 잇시스템의 압력과 속도와 스트레스를 이 작은 몸뚱이 하나로 견디며 살아가는 것이 얼마나 고생스럽고 힘든일인가를. 버티고 사는 것만도 장한 일이다. 이 힘든 세상에서 포기하지 않고 사는 것만도 기특한다. 절대 내가 멘탈이 약해서도, 나약해서도 아니다. 충분히 그럴만 했다. p68

딥마인드 엔진의 스위치는 오직 '믿음'이다. 내 안에 딥마인드라는 존재가 있다고 믿고 대화상대로 인정해야 한다. 대화와 혼잣말은 완전히 다르다. 상대가 있다고 믿고 말을 걸어야 한다. 물론 눈에 보이지 않는 상대와 대화하는 게 쉬운 건 아니다. 그래서 나는 노트에 글로 썼다. 처음 딥마인드와 대화할 때는 나의 상황과 마음, 감정에 대해 낱낱이 고백하듯 썼다. 바쁜 일상 속에서 잠깐씩 걱정과 불안으로만 스쳐 지나가던 생각들을 붙잡아 만년필로 꾹 꾹 눌러썼다. 이렇게 쓰다 보면 '내가 모르는 나' 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된다. 내 몸과 마음이니 당연히 나를 다 안다고 생각하는 것은 착각이다. 쓰면 쓸수록 나조차 몰랐던 나의 진짜 고민과 문제를 알게 된다. 나중에 돌이켜보니 그때 나는 무의식중에 딥마인드에게 학습을 시키고 있었다. 딥마인드가 나에 대해 최대한 자세히 이해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만들어 주고 있었던 것이다. p89~81

행복하게 산다는 건 무엇일까. 어떻게 사는 것이 잘 사는 인생일까. 그 누구도 이것이 정답이라고 함부로 말 할 수 없다. 다만 한가지 내가 확신하는 것은 행복은 '비교값'이 아니라 '절대값'에 가깝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지금보다 더 많이 가지면 행복해질 거라고 믿는다. 남들보다 더 높이 올라가면 안정될 거라고 기대한다. 잇마인드에게는 남보다 나은 상태가 성공이고, 성공이 곧 행복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남보다 앞서가는 우월감은 잠깐의 안정감을 줄 뿐 더 큰 불안감을 안긴다. 우월감의 결정권은 내가 아닌 타인이 쥐고 있기 때문이다. 타인이 나보다 앞서면 나는 열등감을 이기기 위해 반드시 뛰어야 한다. 또 비교를 통해 늘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는 태도가 습관이 된다. 이 끝나지 않는 비교의 개미지옥에서 열심히 사는 것은 전쟁과 같다. 그래서 잇마인드 인간이 추구하는 비교값의 결과는 세상에서는 이길지라도 자신의 인생에서는 진다. p109~110

격차를 느끼고 그 차이를 매꿀때마다 사람의 '격'이 달라진다. 사람의 격이 높을수록 딥마인드 엔진도 함께 성장한다. 바꿔 말하면 반성할 게 없다는 것은 더 나은 나를 상상할 수 없다는 뜻이자 성장이 멈췄다는 얘기다. 나이가 들수록 우리는 반성에 게을러진다. 본인의 문제도 있지만 주변에서도 말을 아낀다. 마흔이 넘으면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도 함부로 충고하기 어렵다. 반성은 오직 나만 할 수 있다. 나의 가장 밑바닥까지 내려가 무릎꿇고 정직하게 부족함을 인정할 수 있는 사람, 진정 사랑하는 마음으로 뼈아픈 충고를 해줄 사람은 세상에 오직 나밖에 없다. 더 나은 내가 되기 위한 정직한 상상, 반성을 시작해 보자. P151

엊그제만 해도 반팔 티셔츠를 몽땅 정리해 버린 스스로를 탓하며

핑계김에 세일하는 흰색 반팔 티셔츠를 주문했는데

오늘은 갑자기 겨울이 온 듯 날씨가 추워졌다.

근간에 월요일마다 아무것도 하기 싫은 꾀병(?)을 겪고 있는 나지만

도서관에 상호대차 신청을 한 책을 받으러 가야 하기도 해서

일찌감치 집을 나섰다.

오늘 읽은 책은

'열심히' 살면 모든 것이

좋아질 줄 알았다

열심히 살아봤지만 허무함에 지친 당신을 위한

'김미경의 딥마인드'

작가가 비슷한 연배이기도 하거니와

학연과 지연으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따라가다보면

친구의 친구이기도해서 더 많이 공감하고

신간이 나오면 반가운 마음으로 읽게 되는 듯 하다.

약이 줄어들리는 없지만 늘어나지는 말아야 할텐데

아침에 먹는 공황장애약,

처음엔 아침에 먹었지만 고민끝에 밤시간대로 바꾼 타목시펜만으로도

멀쩡한 상태로 공부하기가 쉽지 않은 내상황이 천식약을 아침, 저녁으로 복용하기

시작하면서부터는 위장장애와 함께 책상앞에 앉아있기가 더 힘든 지경이 되었다. ㅠ.ㅠ

11월말에 세과목, 12월초에 세과목 기말시험 신청해 놓은 뒤부터

1학기에 비해서 더 전문적인 사회복지관련과목들의 공부와 시험에 대한 압박이

공황이 올만한 상황이 아님에도 호흡곤란을 겪게 되니

완치판정 받을때까지 공부하며 1급 자격증까지 취득하겠다는 나의 계획과 다짐이

결국 욕심이었을까 하는 자책에 이르게 되었던 것 같다.

이 상황에서 저자가 예로든 여러 사례들과 본인의 경험

그리고 being(성찰) - organizing(기획) - doing(실행)의 bod는

다시 내계획의 완성을 위해 마음을 다잡고 힘을 얻는데 도움이 된 듯 하다.

이외에도 기왕 김씨와 잘 지내보기로 결심했으니

'오늘 남편 3번 칭찬하기'

'점심에 뭘 먹었는지 물어보기' 등

하루 아침에 달라지진 않겠지만 천천히 노력해보려 한다.

누군가의

'당신은 멘탈이 약한게 아니라 그럴만 했다'는 한마디가 고맙고 또 위로가 되었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