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어떤 경우든 이 책에서 소개한 사례에 모두 배울 가치가있다는 자신감만은 흔들리지 않습니다. 사람의 마음을 파악하고시장을 움직이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례에는 반드시 뛰어난 컨셉의 원리가 숨어 있기 때문입니다. 혹여 훗날 평가가 바뀌더라도, 그렇게 된 이유까지 고찰하다 보면 새로운 각도에서 배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 P21
브라이언은 ‘전 세계 어디든 내 집처럼 Belong Anywhere‘을 기업의컨셉으로 정했습니다. 그저 다른 곳으로 ‘가는going‘ 것도, ‘여행하고traveling‘ 것도, ‘숙박하는staying‘ 것도 아니라, ‘내가 속할 곳을 찾는다 belonging‘는 것. 에어비앤비에 그리고 여행이라는 행위 자체에 새로운 의미가 탄생하는 순간이었습니다. - P33
이렇게 전체와 부분을 쉽게 설명할 수 있는 이유는 컨셉과 구성요소가 ‘왜‘why‘와 ‘무엇what‘의 관계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초보자에게 컨셉을 써보라고 하면 대부분 ‘무엇을What‘과 ‘어떻 - P44
게how‘에 대해 쓰려고 합니다. 이를테면 스타벅스를 ‘여유로운 공간에서 맛있는 커피를 맛볼 수 있는 장소‘라고 쓸 수도 있겠지요. 하지만 그렇게 하면 부분적인 설명은 가능하더라도 고객을 어떻게대해야 하는지, 어떤 음악을 틀어야 하는지 등 다른 요소를 판단하는 기준은 되어 주지 못합니다. 모든 요소를 결정하는 것은 ‘왜 존재하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이니까요. - P45
효과적인 컨셉의 4가지 조건
1. ‘고객의 눈높이‘에서 썼는가 2. ‘세상에 단 하나뿐인 아이디어가 있는가 3. ‘규모‘를 예측할 수 있는가 4. ‘심플한‘말로 썼는가 - P50
유니클로UNIQLO는 ‘품질 좋은 물건을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는세계적 기업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브랜드 컨셉은 따로 있습니다. 사람들의 생활에 무엇이 필요한지 계속 생각하고 끊임없이 진화하는 의류라는 뜻의 ‘라이프웨어 LifeWear‘입니다. - P55
"모두를 기쁘게 하려고 노력하면 결국 아무도 기쁘게 하지 못할지도 모른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대해 무라카미 하루키는재즈 카페를 운영하던 시절을 되돌아보며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가게에는 많은 손님이 찾아온다. 그 10명 중 1명이 ‘꽤 괜찮은 가게네. 마음에 들어. 또 와야지‘라고 생각한다면 그것으로 족하다. 10명 중 1명이 다시 와준다면 경영은 이루어진다. 반대로 말하면10명 중 9명이 마음에 들어 하지 않더라도 별로 상관이 없는 셈이다. 그렇게 생각하니 마음이 편해졌다. 그러나 그 ‘한 사람‘에게는철저하게 마음에 들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러기 위해서 경영자는•분명한 자세와 철학 같은 것을 기치로 내걸고, 참을성 있게 비바람을 견디며 그것을 유지해 나가야 한다. 그것이 가게를 경영하며 몸소 배운 것이다.
•무라카미 하루키 저,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 P56
지금은 차분하고 담담하게 말해야 멋지다고 여기는 시대이지요. 그래서 열정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에 지레 겁먹는 사람도 적지않을 듯합니다. 그러나 언어의 온도는 커뮤니케이션에서 만만치않은 힘을 발휘합니다. 정열적으로 이야기하는 사람의 컨셉은 듣는 이에게 남다른 울림을 줍니다. 듣는 사람은 그 말이 진짜인지, 믿을 만한 가치가 있는지와 같은 내용보다도 말하는 사람의 열정을 먼저 알아보기 마련이니까요. 이론으로 어찌어찌 해볼 수 있는 내용은 아닙니다. 그러니 체온을 높이는 내용인지 아닌지 누군가에게 직접 이야기하면서 검증해봅시다. 만약 열정을 담아 이야기할 수 없다면, 정말 하고 싶은 일이 맞는지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지도 모릅니다. - P62
1장 요약
□ 일반적으로 컨셉이란 ‘전체를 관통(일관)하는 새로운 관점‘을 말한다
•컨셉 앨범이란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된 시각을 가진 음악 앨범을 뜻한다. •비즈니스에서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은 ‘존재하는 의미‘여야한다.
□ 컨셉 만들기란 ‘새로운 의미의 창조‘다
•‘존재하는 의미‘가 정해지면 무엇을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지여러 요소가 결정된다. •사람은 ‘무엇을 사는가‘보다 먼저 ‘왜 사는가‘에 대한 답을 알고 싶어 한다. 예) 에어비앤비 ‘전 세계 어디든 내 집처럼‘
□ 컨셉은 ‘가치의 설계도‘ 역할을 한다
① 판단 기준이 된다 ② 일관성을 부여한다 ③ 대가의 이유가 된다
예) 스타벅스 ‘제3의 장소‘ / 에버레인 ‘급진적 투명성‘ - P68
□ 효과적인 컨셉에는 4가지 조건이 있다.
① ‘고객의 눈높이‘에서 썼는가 ② ‘세상에 단 하나뿐인 아이디어가 있는가 ③ ‘규모‘를 예측할 수 있는가 ④ ‘심플한‘ 말로 썼는가
□ 이것은 컨셉이 아니다
•선전문구 선전문구는 사실을 매력적으로 전달하지만, 컨셉은 사실 그자체를 만들어낸다. •아이디어 컨셉은 아이디어처럼 발상에서 끝나지 않고 고객이 원하는 가치를 말로 표현한다. •테마 테마가 과제를 가리킨다면, 컨셉은 고유한 답을 가리킨다. - P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