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힘을 지니면 자신에게 다가오는 모든 것을 선물이나 꼭 필요한교훈으로 여길 수 있다. 모든 선물을 처음 받았을 때부터 긍정적으로볼 수만은 없다는 사실을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일이 찾아오든 감사하라. 모든 일 하나하나는 먼 곳에서 보낸 지침이므로 -루미
숱한 어려움과 도전, 심지어는 질병이나 비극적인 일이 일어났을 때에 뚜렷한 희망의 조짐을 찾아보기란 어렵다. 하지만 끔찍한 상실을 겪은 뒤에도 살아 있음에 감사하며 결국은 그 사실을 받아들이게 된다. 뭔가를 잃은 뒤 내 삶에 여전히 남아 있는 것은 무엇일까? 위기를 겪은이후 역경을 이겨낸 힘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좋은 일을 할 수 있지 않을까? - P115
에크하르트 톨레
어떤 상황에 처하든 스스로에게 물어야 할 중대한 질문은 이런것이다. "지금 나의 의도는 무엇인가?" "내가 처음에 가졌던마음은 어떤 것인가?" 다시 말해 내가 어느 때 어떤 일을 하든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우리가 하는 행동이 어떤 의식에서 비롯한 것인지를 물어야 한다. - P121
우리는 의지가 우리 행동과 생각을 키움을 마음 깊이 알고 있다. 이는오직 우리만이 알 수 있는 사실이다. 우리는 또한 지금 하는 일이 조화와 협력을 얻으려는 것인지, 반대로 오로지 개인적인 이익을 노리는 일인지도 안다. - P122
행동하기 전에 스스로에게 묻는 첫 번째 질문은 이런 것이다. "확실한가?" "내가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가?" 이 질문은 행동에 옮기기 전자신이 지금 무슨 일을 하는지 그리고 어디로 가는지를 확실히 파악하여 잘못 인식하지 않게 해준다. 그러고 나서 이렇게 묻는다. "현재 내의지가 옳은가?" 다음에는 이렇게 묻는다. "지금 무의식적으로 혹은 습관적으로 행동하고 있지는 않은가?" 습관의 에너지는 의식적일 때보다무의식적일 때가 더 많아서 자신의 의지와 행동 모두에 세심하게 마음을 써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묻는다. "내 의지가 사랑과 친절, 배려 그리고 타인에 대한 선의를 토대로 하고 있는가?" 이러한 질문들은 자신의 의지와 행동을 깨닫도록 도울 것이다. - P128
조 디스펜자
마음을 열면 실제 다른 차원의 의식으로 기능하기 시작한다. 관심을 기울이는 곳이 우리의 기운을 쏟는 곳이다. 마음은 직관적인 정보를 모으기 시작한다. 그리고 뇌보다 먼저 직관적인정보를 받아들인다.
삶의 모든 것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직관은 우리 주변에 있는 그러한연관성을 보고 우리가 그것들과 마음을 모아 행동하게 한다. 우리는 언제나 어떤 길을 따라야 가장 좋을지를 알면서도 대개 익숙한 길을 따르곤 한다. 하지만 일단 마음과 이어지면 굳이 의문을 품거나 이유를 따질 필요도 없이 가장 고차원적인 형태의 지성인 직관에 따라 행동할 수 있다.
직관적인 통찰력은 삶이 끝나는 날까지 그대가 해를 입지 않게 지켜 주리라.
-노자 - P137
마음속 풀리지 않는 모든 것을 참을성 있게 기다려라. 오히려 그 문제들을 사랑하도록 애써보라. 해결할 수 없는 해답들을 애써 찾지 말라. 어차피 그 해답대로 살 수는 없을 테니까. 요컨대 그 모든 것을 품고 살아라. 이제 그 의문들을 느끼며 살아라. 그러다보면 아마도 점차 모르는 사이 언젠가는 해답의 길에 들어설 것이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
파울로 코엘료
해답의 길에 들어서는 것은 물음에 대한 답을 찾아서가 아니라마음이 열려 질문들을 즐기기 때문이다. 질문을 즐기는 그 순간부터 우리는 인생에 문을 열어놓은 셈이다. - P1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