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수무강 건강법 - 김일성 주치의 김소연 박사의
김소연 지음 / 비타북스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만수무강이라는 단어, 자주 들어서 오히려 빛이 덜나는 말이지만 누구나 동경하는 바가 아닐까?

물론 제목에 혹해서 읽기 시작한 책이지만 다른 책들과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풀어가는 작가의 이야기가 흥미롭다.


나부터도 조금이라도 아프면 우리는 병원과 약국을 찾게 되고,
인체의 자연치유력을 믿기 보다는 즉시 아프기 전의 원래 상태로 돌아가고 싶은 욕구로 가득하니 말이다.


이 책의 초반부는 우리가 그간 알고 있던 건강에 대한 정리되지 않은 정보들을 폴더화 시키는 느낌이 들었다.

그래서 빠르게 읽을 수 있지 않았나 생각이 된다.
책의 중반부 부터 그녀의 경험 그리고 다양하고 구체적인 디톡스에 대한 제시로 책에 몰입하게 한다.

 

구체적인 그녀만의 천연 디톡스 요법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는
왠지 주방에 놓고 계량해 가며 만들어야 겠다는 다짐이 들기도 했다.


북한의 김일성, 김정일 주치의라는 타이틀이 그녀에게 상당히 무겁지 않았을까 생각이 된다.
불로장생을 꿈꾸며 몸에 좋다는 것은 가리지 않고 닥치는대로 섭취하며
건강을 위해서 특별 연구소까지 설치할 정도로 만수무강을 꿈꾼 김일성 부자였지만
죽음 앞에서는 어쩔 수 없는 하나의 인간일 뿐이었던 것이다.


요즘 의사들에 대해 비판하는 사람들이 많다.

환자와 눈조차 마주치지 않고 기계적으로 처방만을 일삼는 의사들...
그녀의 책에서는 따뜻함이 느껴졌다.

진심으로 환자들을 걱정하고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기를 원하는 엄마의 마음이라고나 할까?


그녀는 매일 급한 출근길에 늘 바나나 하나를 들고 아침대신 먹으며 달리는 내게 경종을 울려주었다.
바나나는 수면을 부르는 식품이었다니, 그간의 아침은 잠과 함께 시작하는 아침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녀가 주창하는 생명식초...음식물쓰레기로 만든다는 것도 경악이었다.
실제로 만들어 먹게 될런지는 아직 미지수다. 음식에서 나온, 쓰레기 봉지에 들어가기 전에는 식품이었는데
고정관념이라는게, 쓰레기라는 단어로 일단 정의된다는게 얼마나 무서운지 절감하게 된다.


껍질에 수많은 영양분이 있으니 버리지 말라는 어른들 말씀에
보기 싫은 껍질을 벗겨서 없애야 한다는 생각으로 듣지 않았는데
한해 한해 나이 들어가시는 부모님과도 함께 이 책을 공유하고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