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을 보면, 아이의 심리가 보인다 - 그림으로 읽는 내 아이 심리
실비 쉐르메-캐로이 지음, 김성봉 옮김 / 여백(여백미디어) / 2010년 7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나로 하여금 참으로 두렵게 하기도 하고 마음을 아프게 하기도 했다.
순수한 아이들이 자신이 느끼는 감정을 그림 속에 담아내기 때문에
양육자들은 주의깊게 그림의 변화와 추이를 체크해야 한다는 것...
스케치북과 크레파스 사다 나르기 바빴지 아이들의 그림을 세세히 관찰하지는 못했다.
생긴 외모만큼이나 성향도 다른 이란성 쌍둥이들...
한 아이는 단색으로 힘있는 터치를 자랑하며 스케치북을 누비지만
한 아이는 다양한 색으로 여기저기 조금씩 색을 입혀간다는 것~
책을 읽고서야 조금더 제대로 그림을 들여다 볼 수 있었다.
칭얼대는 아이들을 위해 아무 페이지나 하얀 면을 펴주고 그림 그리는 동안
집안일하던 나였는데 이 책 속에서는 아이들의 그림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름을 보여준다.
따라서 그림의 앞뒷면에 아이가 그린 날짜를 표시하면 도움이 될 거라는 조언을 잊지 않았다.
아이를 키워야 하고, 직장에도 다녀야 하고 두 가지를 다 잘해내고 싶은 욕심에
주변에서 보기에 나를 피곤하게 산다고는 하지만 솔직히 어떤 것도 놓칠 수가 없다.
유아시절 아이들의 그림에 대한 관심으로 이 책을 읽게 되었지만
이 책에는 다양한 심리학적인 이야기(딱딱하거나 난해하지는 않다)와
연령별로 아이들의 그림이 인지적으로나 환경적으로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설명한다.
중간중간에 아이들이 직접 그린 그림들이 제시되어 친근하게 느껴진다.
어린 시절에 대한 기억이 그리 많지는 않지만 어린이들이 그린 그림을 통해
나의 유년시절의 기억이 새록새록 떠오르기도 한다.
그림 그리는 종이에 아이가 점하는 대상의 크기, 색깔, 그리고 심지어 사용하는 위치까지
아이의 심리를 반영한다고 하니 놀랍기만 하다.
어디선가 아이의 심리검사의 도구로 아이의 그림을 분석해 본다고 하는데
아직은 너무 어려서 분석하기는 어려울 테지만 조금더 크면
우리 아이들의 그림을 전문가에게 보여주고 상담을 의뢰해 보고 싶다는 생각을 해보게 되었다.
어려서부터 나의 그림세계를 미술선생님들에게 그다지 인정받지 못해
미술 성적이 늘 부진해서 미술이나 그림에 흥미가 없는 나는 요즘
아이들이 이것저것 그려달라는 통에 진땀을 뚝뚝 흘릴 지경이다.
그림은 하나의 표현이자 놀이일 뿐인데 부진한 성적으로 인해 내 스스로 중압을 느꼈나 보다.
이 책은 그래서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에 우리 네 가족이 굳건하게 가정을 이루는데
꽤 오랜 시간동안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같아 자주 꺼내보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