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물의 문화사 - 조선을 이끈 19가지 선물
김풍기 지음 / 느낌이있는책 / 2019년 12월
평점 :
선물 이라는 단어 속에는 단순히,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 사이의 관계만을 떠올리거나, 어떤 의미를 부여한다거나, 그 이상의 목적이 있다거나, 혹은 전혀 의미도 목적도 없이 감정을 나누는 역할을 생각할 수 있겠으나 이런 것은 이론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선물의 느낌일 것이다. 이 책의 제목이 <선물의 문화사>이니 우선적으로 그런 보편적인 선물을 먼저 생각할 지도 모르겠지만, 그 뒷글자에 따라붙은 문화사는 참 크고 재미난 이야기를 뒷받침하고 있다는 것을, 이 책을 처음 들었을 때 독자들은 첫 눈에 바로 눈치 챌 수 있었을까?
저자는 조선시대에 오고 갔었던 선물들을 한시에서, 유학자들이 주고 받은 편지글 속에서, 여행기, 소설과 같은 작품이나 개인 문집을 통하여 하나씩 낚아 올렸다. 우리가 생각하는 내용물도 아니지만 주고 받은 배경과 시대적 상황들이 어우러져서 참 재미있는 이야기들로 구성하였다.
요즘 시대에 벼루를 쓰는 사람도 없지만 그 벼루가 온몸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기능을 넘어서서 마땅한 돌만 보면 주머니에서 단박에 공구를 꺼내어 다듬기 시작했다는 벼루에 미친 사람, 그로써 우리가 말하는 벼루 명품이라 할 수 있는 최고의 벼루 이야기, 서민들이 신고 다녔던 없어서는 안 될 신발, 짚신이 서로에게 선물이 되어 줄 수 있었다는 이야기와 같은, 19가지 종류를 찾아 내어 그 시대의 배경과 이야기를 담아 내고 있으니 이 책이 재미 없을리가 없다.
가장 먼저 눈을 끈 것은, 각 장을 소개하는 목차에서부터다.
시절과 벗하고 싶은 마음의 징표/사대부의 품격을 두루 살핀 가치/의복에 담아 보내는 멋과 바람/맛 좋고 귀한 것을 나누고 싶은 인심/
이런 목차를 보면서, 어떤 내용을 선물로 주고 받았을지 일일이 열거하지 않으면, 사대부와 의복, 맛, 인심이라는 단어에서만 어떤 내용이 나오겠구나, 짐작이 가능할 뿐, 그 밖의 종류는 언뜻 상상을 미리 할 수 있을지?
내용 소개에서도 참 멋들어지게 소개하고 있는 셈이다. 시절과 연결지은, 달력과 부채, 지팡이, 버드나무를 내어 온다. 사대부의 품격에서는 빠지지 않고 매화가 등장하고, 종이와 도검, 벼루는 예상이 가능하기도 했다만 앞서 분재기와 앵무배도 소개한다. 그런데 이 둘은 읽어 보기 전까진 무엇인지 닿아오지 않았다. 새로 등장하는 단어들이 조선시대 주고 받았던, 그리고 임금이 신하에게 하사하였던 그런 품목에 든다고 하니 이 또한 독자들에게 신선감을 안겨준다.
인상깊었던 부분, 한 대목이다.
도검, 전장과 일상의 삿됨을 모두 베어버리리. (126쪽 큰 제목) 에서 도검을 읽어 가노라니 칼로써만 알고 있던 것의 개념이 바로 잡아지는 순간을 맞았다. "도는 한쪽에만 칼날이 있는 것이고 검은 양쪽에 모두 칼날이 있는 것이다. 도는 베는 것을 위주로 하는 병기이고 검은 찌르기를 위주로 하는 병기이다." (132쪽 설명)
단지 이런 종류만이 아닌 역사 속 인물과 사건 이야기도 빼 놓을 수 없는 즐거움이었다.
첩에게 줄 선물로 동물 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사단이 일어난 배경, 여인네의 화장품, 평생을 책과 함께 하는 유학자들에게 빠질 수 없었던 안경, 그리고 우리네 청심환은 중국에서까지도 알아 준다는 이야기들은 너무나 즐거운 책읽기의 시간을 마련해 준다.
그리고 단지, 선물을 주고 받는 가운데 오고 갔던 감정 뿐만 아닌, 궁핍했던 생활을 뒷받침 해 주기까지 했었던 긴요한 역할이었다는 것도, 그 당시 시대상과 함께 거론할 수 밖에 없던 부분이었다. 우리도 요즘, 60년대, 70년대의 설과 추석에 주고 받았던 선물들을 돌이켜 볼 때 그 때 필요했던 물건들을 주고 받았듯이 조선 시대 그들의 삶에서도, 때로는 온 정성과 시간을 들여 만든, 누가 봐도 고마울 수 밖에 없는 표현의 산물이기도 했던 것이다. 이런 것들을 하나 씩 찾아 내어 소개한 저자의 수고로움도 말 하지 않고 넘길 수 없는, 돋보이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