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르세 미술관 명화 플레이북 - 불멸의 명화로 경험하는 세상 모든 종이 놀이 ㅣ 명화 플레이북 시리즈 1
오르세 미술관.에디씨옹 꾸흐뜨 에 롱그 편집팀 지음, 이하임 옮김, 이자벨 시믈레 디자인 / 이덴슬리벨 / 2019년 11월
평점 :
인상주의 화가들의 작품을 최대 보유하고 있는 곳, 우리들에게도 익숙한 모네, 마네, 고갱, 드가의 작품을 볼 수 있는 미술관 오르세가 현대 어린이들 뿐만 아니라 성인들에게도 호기심을 불러 일으킬 플레이북을 선보인다. 플레이북, 말 그대로 책과 함께 놀 수 있게 만들었다. 종이와 칼, 가위, 색연필 등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오리고 색칠하고 뜯어 붙이는, 그런 종류의 놀잇감이 한 가득 들어있다.
눈에 익은 명화 속 주인공들의 옷에 색칠도 가능하고 소지품 중 몇 가지를 이용하여 각각의 색깔과 디자인으로 다시 교체하여 붙여 볼 수도 있다. 어렸을 적에 인형 옷 갈아입히기에 열중했던 것도 기억나게 한다. 그 때 처럼 모자와 드레스를 독자의 취향에 맞춰 다시 바꿔 그려 보게도 하고 새로 디자인 해 보게도 하는 실험적 놀이가 눈길을 끈다. 틀린 그림 찾기, 퍼즐 끼워 맞추기, 숫자 따라 명화 그려보기 등 어린 아이들이 있는 독자에게도 즐거운 놀이 거리가 되겠지만 명화 속 남자의 양복을 그려 본다든지, 여인의 드레스와 장신구를 꾸며 본다든지 하는 부분에서는 소녀적 취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게 만들었다.
나 만의 신문을 제작하는 것, 가족 사진을 그려 보게 하는 것에서도 매우 창의적인 모양새를 갖추고 있다. 그야말로 한 권으로 이루어진 놀이기구인 것이다. 한 때 컬러링 북도 유행했었고 스티커 북과 같은 다양한 느낌의 책들도 나온 적 있었는데 이렇게 한꺼번에 한 자리에서 다양한 활동으로써 즐겨 볼 수 있었던가, 싶기도 하다. 단지 한 가지, 한 쪽 면에서 그리는 것 까지는 무방한데 오려 붙이거나 오리게 되면 그 뒷면의 활동은 할 수가 없게 되어 있어서 그 점이 좀 아쉬운 부분이다. 가위로 오리는 부분은 약간 두꺼운 종이로 뒷면을 보호할 수 있게 해 두었다면 앞 뒤 상관없이 즐기는 일이 가능할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해 본다. 재미있는 활동이니만큼 어느 한 쪽 면에서도 포기하고 싶지 않은 마음이 있는 까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