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인의 해석
제드 러벤펠드 지음, 박현주 옮김 / 비채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적어도 이제목은 많은 뜻을 갖고 있다.
언듯보면 프로이드의 이론을 통해 살인의 동기나 의미를 해석하는 것으로 보인다.
프로이드가 해석을 하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읽어본 독자들은 알고 있겠지만 무엇을 해석한단 말인가?
살인을? (여기에 덧붙이고 싶은 말은 스포일러가 되기 싫어 참고 있다.)
살인을 해석한 것은 맞다. 그러나 이것은 살인을 해석한 것이 아니라 '살인사건'을 해석한 것이다.
이 책은 독자들은 유혹했다는 면에서는 대성공이다.
프로이트라는 심리학의 거장을 등장시킴으로서 독자들의 지적호기심과 허영을 부추겼고 살인이라는 제목을 통해 인간의 숨겨진 욕망을 들여다보고 싶은 독자들의 관음증을 자극했다.
그러나 작가는 이미 프로이트의 학설에 전적으로 동조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융과 영거라는 두 사람의 입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자신이 전적으로 지지하지도 않는 프로이트를 전면에 내세워서 독자들을 끌어들이고 있지만 내심 속으로는 독자들의 얕은 지적허영심을 비웃고 있는건 아닐까?
이책의 제목은 '살인의 해석' 보다는 '욕망의 해석'이 더 맞지만 이것은 전자만큼 강렬하지는 았았을 것이다.
'해석' 이라는 단어도 문제가 있다. 핵심문제에 대한 '해석'은 턱없이 부족하다. 엉뚱한 헛다리에 대한 '해석'이다.
하지만 작가는 핵심부분에 대해 고민을 많이 했었을것 같다. 다만 드러내지 않았을 뿐...
'클라라 밴월'은 분명 작가의 삶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그 누군가일것같다.
드러내고 싶지만 드러낼 수 없는...
어쩌면 작가가 예전에 사랑했던 여인일 수도 있고....
작가가 넘고 싶었지만 넘지 못했던..... 그 누군가를 표현하고 있는건 아닐까?
어찌되었건 평범한 책은 아니다.
그리고 배후의 이야기가 더 있을것 같은 궁금증을 불러일으키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