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1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1. 모아 두었던 베르베르의 책 가운데 제일 먼저 읽기 시작했다가, 이것이 [아버지들의 아버지]의 후속작임을 알게 되고, 그 이전에 [타나토노트]가 먼저 씌어진 것을 알면서 뒤로 밀러 놓았던 책이다. 베르베르의 책 가운데 [개미]에 이어 가장 흥미롭게 읽은 책이다.

2. “모든 기계에 저마다의 사용법이 있듯이, 사람을 움직일 때도 그 사람에게 맞는 방식이 있습니다. 요는 그를 움직일 수 있는 주된 지렛대를 찾아내는 것입니다. 그건 물론 쉬운 일이 아니지요. 경우에 따라서는 그의 어린 시절이 어떠했는지도 알아야 합니다.”(71p). 사람을 움직이는 방법에 대한 묘사는 상당히 공감되는 내용이었다.

3. 신경의 영토 정복에 대한 언급(139, 284p)은 기본적으로 [타나토노트]의 설정과 흡사하게 보인다. 거기에서 작가는 죽음의 세게 탐험을 신대륙 탐험과 비교했는데, 여기에서는 그 대상을 ‘뇌’로 바꾸었다. ‘탐험 이야기’(개미, 저세상, 과거, 뇌)는 베르베르의 기본 모티프인 듯 보인다.

4. “온 인류가 역사를 자꾸 망각해 가고 있어요. 이런 식으로 가다간 머지않아 제1차 세계 대전이 존재했는가의 여부를 놓고 거수로 표결을 하는 사태가 벌어질 거예요. 가장 많은 사람들을 만족시키는 내용을 바탕으로 모든 역사를 다시 쓰게 될지도 몰라요.”(195p) 지나쳐 보이지만 매우 날카로운 풍자이다! ‘인류의 기억력’에서 시작하여 ‘역사의 철저한 주관화’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지나친 ‘주관화’는 위험하다! 적당한 ‘객관성’은 필요하다!

5. “그렇게 두 주가 지나고 나자, 마르탱은 자기 머릿속에 자기가 지지하지 않는 메시지를 끊임없이 주입하는 그 물건을 더 이상 견딜 수가 없었다.”라고 결론지어지는, 그 앞에 나오는 마르탱의 TV 분석(199p)은 TV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하도록 자극한다. TV는 유용하기도 하지만, 매우 위험한 물건인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고 피하기만 하는 것도 지혜로운 일은 아니다. 적극적으로 다룰 수 있는 방법이 교육되어야 한다.

6. “나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가 선입관의 체계에 얽매여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우리는 현실에 대해 미리부터 가지고 있는 어떤 생각들을 계속 유지하면서 현실을 그 생각들에 꿰어 맞추려고 해요.”(240p)로 시작되는 ‘선입관의 감옥’ 혹은 ‘선입관의 우상’에 대한 이야기는 매우 통찰력 있다. 획일화 된 사고를 주입하는 사회와 교육... 그래서 더더욱 ‘창의력’에 대한 강조가 필요하다. 자유롭게 볼 수 있는 눈, 선입견을 떨쳐버릴 수 있는 사고의 힘!...

7. “일이 어렵기 때문에 사람들이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하지 않기 때문에 일이 어려워지는 거예요.”(253p) 이러한 ‘발상의 전환’은 신선하다. [뇌]는 분명 [개미]와는 차별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지만, 그럼에도 매우 흡사하게 느껴진다. 새로운 생각과 발상... 그리고 거기에서 비롯되는 ‘혁신’! ‘탐험’과 함께 ‘사회 개조/혁신’은 베르베르 작품의 기본적인 모티프로 작용하고 있다.

8. 식물들의 앙갚음에 대한 지적(256p)은 전혀 뜻밖이다! 베르베르의 통찰력의 빛을 발하는 부분!

9. 광기를 창조적 에너지로 보는 시각(259p)은 전혀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역시 발상의 전환을 요구하는 부분이다.

10. 컴퓨터가 생명체처럼 자라고 싶어 한다는 발상(295p)은 많은 SF 소설과 영화에 등장한 진부한 내용이면서도, 베르베르 특유의 신선함을 함께 가지고 있는 내용이다. 개인적으로 SF적인 요소 중에서 가장 관심을 끄는 내용이기도 하다.

11. 암시와 관련된 이야기들 가운데 재미있었던 것들 몇 가지. 우유(92p)와 보크(177p).

12. 몇 가지 인용구

“우리는 사람들의 생각 중에서 단지 그들이 표현하는 것만을 알 뿐이다.”(53p)

“남들이 우리를 비판할 때, 그들은 우리의 강점이 될 수도 있는 어떤 것을 우리에게 가르쳐 주는 것이다.”(146p)

“모든 일에는 순서가 있다. 이것저것 알아보는 게 첫째고, 요모조모 따져 보는 게 둘째며, 행동하는 게 셋째다.”(206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버지들의 아버지 2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소개되는 ‘세 조약돌 놀이’(234p 이하)는 간단하면서도 상당히 재미있어 보인다! 우리 아이들과 해봐야겠다. ^^

2. 아이를 낳고 싶어 하지 않는 마사이족 이야기(301p)와 결혼에 대한 생각(303p) 등은 특이해 보인다. 특히 ‘결혼’에 대한 생각은 최신작인 [파피용]에도 반복되어 나온다. 작가의 독특한 생각이 뒷받침되어 있는 듯...

3. 비밀스럽게 드러나는 ‘영장류(Adam) + 돼지(Eve) = 카인’는 과연 가능할까? 작가는 ‘염색체의 불안정’을 들어 그 가능성을 가정하고 있다(337p). 하지만 그것은 말 그대로 ‘가정’일 뿐 증명할 수 없는 일이니... ‘소설’이니 그렇다 넘어갈 뿐...

4. 한편, 돼지가 조상이라는 생각에 대한 반응들은 또 다른 생각을 자극한다. 그것이 해괴망측하다(378p)거나 우습다(383p)는 반응을 보면서 떠올린 생각... “‘진화론’을 굳게 믿는다면... 왜 원숭이는 괜찮고 돼지는 안 되는가?”

5. 뒤로 가면서 이야기의 흐름은 하나로 합쳐지면서도, 다시 나뉘어진다. ‘현재’ 이야기에서는 그것이 ‘가짜’라고 밝혀지지만, ‘과거’의 이야기에서는 그것이 사실일 가능성을 비치고 있다. 소설의 묘미...

6. 결론 부분에서는 현생 인류인 우리가 ‘빠진 고리’라는 이야기가 나온다(505p). 이 말은 [천사들의 제국]에도 나온다. 아라비아 숫자에 대한 설명으로 치자면, 일반적으로 인간을 가리키는 ‘4’와 영적인 존재를 가리키는 숫자 ‘5’의 의미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한 듯... 즉, 작가는 숫자 4에서 5로의 진화를 이야기하고 있는데, 이 말은 결국 ‘4’는 과도기로서의 인간을 가리킬 뿐이요, ‘5’야말로 인간의 본연의 모습이라고 말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버지들의 아버지 1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베르베르는 영계 탐사에 이어 과거 탐사를 시도한다. 현재와 과거의 두 이야기를 교차시키면서 결국은 서로를 연결시키는 방식은 신선하게 여겨진다.

1. “중요한 것은 ‘공부’가 아니라, 하늘이 자기에게 내린 것을 잘 발전시켜서 자기의 남다른 점과 특별한 재능이 다른 사람들에게 선물이 될 수 있게 하는 것이죠. 억지로 공부를 하기보다는 자기가 무엇을 위해 태어났는지를 알고 그 일에 즐겁게 전념할 수 있어야 한다는 거예요.”(116p) 이지도르의 이 말에는 상당히 공감할 수 있었다. 사교육의 천국인 우리나라의 현실과는 너무 동떨어진 듯 보이지만 사실은 그렇게 되어야 하는...

2. “언젠가는 인간이 영적인 존재가 될 겁니다. 성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그 점을 예고하고 있어요.”라는 이지도르의 이야기 뒤에는 십계명이 미래형으로 되어 있다는 설명이 뒤따른다(116p). 작가는 다른 곳에서도 이 이야기를 여러 번 소개한다. 그런데 히브리어의 ‘미완료형’이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사실이기는 하지만 딱 집어서 ‘미래형’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프랑스어 성서는 미래 시제로 번역되었는지 모르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사들의 제국 - 하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1. “내가 보기에 인생에는 세 가지 요인이 있다. 재능과 운과 노력이 그것이다. 이 요인 중에서 두 가지만 갖추면 성공할 수 있다. 즉, 노력에 운이 보태지면 재능이 없어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고, 재능에 노력이 더해지면 운이 없는 것을 벌충할 수 있으며, 재능도 있고 운도 있으면 노력을 피할 수 있다. 하지만, 가장 이상적인 것은 이 세 가지를 다 갖추는 것이다.”(351p) 상당히 공감되는 내용이다. ^^;

2. 자끄와 나탈리의 관계에 대한 묘사는 인상적이다. “우리는 둘 다 독립적이면서도 상호 보완적이다. 우리는 상대를 자기에 맞추어 변화시키려 하기보다는 서로의 결점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였다.”(551p)

3. 은하마다 천국이 있다는 내용은 조금은 ‘황당’하게 여겨진다. 작가의 ‘진화론적 세계관’에서 본다면 그런 결론이 내려질 수도 있겠다 싶지만... 하지만 엄연한 ‘소설’이니만큼 그런 부분에 대한 사상적, 신학적 토론은 접어도 될 듯...

4. 전작인 [타나토노트]보다는 떨어진다는 느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사들의 제국 - 상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 [타나토노트]에 이어지는 내용이어서 저작 순서를 무시하고 먼저 읽었다. 전작인 [타나토노트]보다는 못하다는 느낌...

1. “나보고 어린 세대에게 한 가지 조언을 하라고 한다면, 나는 이렇게 말하고 싶다. 겁내지 말고 병원으로 할아버지 할머니를 뵈러 가라고 말이다. 거기에서 아이들은 삶에 관한 가장 큰 교훈을 얻게 될 것이다.”(23p) 이것은 삶에 대한 매우 중대한 교훈이다. 과거의 대가족제에서는 어느 정도 자연스럽게 ‘죽음’을 접할 수 있었지만, 핵가족제에서는 쉽게 접하기 어려운 ‘죽음’... 그것은 사람들의 인생에서 중요한 교훈을 빼앗아 버린다.

2. “지옥? 미안하지만 그런 건 존재하지 않소. 천국 아니면 지상이 있을 뿐이오. 잘못을 저지른 자들은 지상에 돌아가 환생하도록 되어 있소. 어찌 보면, ‘지상이 바로 지옥’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33p) 작가의 세계관은 독특하다(원래도 독특한 사람이기는 하지만...). 천국을 인정(전통적인 개념은 아니지만)하고 천사를 인정하면서도, 신은 존재는 애매하게 묘사하고 있으며 지옥은 아예 인정하지 않는다. 전통 기독교적이지도 않고 불교나 힌두교와도 다르다.

3. “세상 만물의 목적은 진화하는 것이다.”(48p) 이것은 작가의 ‘진화론적 세계관’을 반영한다. 작가의 다른 소설에서는 ‘데이야르 드 샤르뎅’이 언급된다. 아마도 그의 사상과 가장 비슷하지 않을까?

4. 후광과 날개의 유래에 대한 설명(49p)은 흔히 간과하는 내용인데 정확하게 잘 설명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5. “지구에도 영혼이 있다는 건가요?” “그렇다네. 만물은 살아 있고, 살아 있는 것은 모두 영혼을 갖고 있네.”(134) 지구에도 영혼이 있다는 것은 ‘가이아 이론’과, 살아 있는 것은 모두 영혼을 갖고 있다는 것은 ‘범신론’과 연결된다. 여기에도 작가의 독특한 세계관이 나타나고 있다. ‘신비주의적’인 사고들을 그러모은 듯...

6. “내가 보기엔 현재의 인류가 바로 ‘빠진 고리’일세.”(135p) 이것은 작가의 다른 책 [아버지들의 아버지]의 결론이다. 역시 진화론적 세계관에 근거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