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를 으깨며 노리코 3부작
다나베 세이코 지음, 김경인 옮김 / 북스토리 / 2012년 1월
평점 :
절판


다나베 세이코의 연애소설 3부작 중 그 마지막 편.
그리고 가장 맘에드는 책.
1부 연애 - 2부 결혼- 3부 이혼과 그 이후를 다루고 있는데
이혼 후 노리코는 역시나 당당하게 담담하게 무엇보다 자신을 즐기며 살고 있었다.
그 부분이 맘에 들었다.
나는 연애를 하든 결혼을 하든 이혼을 하든 모든 인간은 혼자라고 생각하기때문에
혼자서 잘 사는 사람이 연애도 잘 하고 결혼도 잘 하고 이혼해도 잘 살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이혼 후 잘 사는 노리코는 왜 결혼생활을 형무소라고 표현할까??
그것은 결혼 전에 혼자 잘 살지 못했기 때문이다.
연애시기에 그저 남자에만 관심을 두고 혼자만의 즐거움과 자신에 대한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고 살았기 때문이다.
목숨걸고 달려들었던 남자들과 결혼해보니 실상 그놈이 그놈이고 오히려 그런 남자들의 바닥까지 느끼게 되니 결혼 자체
를 형무소라 표현할 수 밖에.
그렇게 형을 마치고 이혼한 노리코는 이혼 후 혼자되고보니 혼자로서의 재미를 더 값지게 느끼게 된 것이다.
새로운 남자를 만나도 전 남편을 만나도 혼자만의 평정심을 유지하는 현명함을 가지게 된 것.
그 현명함이 가장 맘에 든다.
딸기를 으깨어 우유에 섞어 마시며 느끼는 여유.
내가 정성스레 아이스라떼를 만들어 마시는 여유.
뭐 그런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리코, 연애하다 노리코 3부작
다나베 세이코 지음, 김경인 옮김 / 북스토리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참..으로 맹~하게 책을 다 읽고 나서야
아주 사적인 시간과 연결되는 내용인 것을 알았다.ㅋㅋㅋ
등장인물들이 모두 익은 이름이라는 생각이 들긴 했지만 다나베 세이코의 연애소설 3부작 중 그 1부라는 것은 책을 다 읽
고 알았네.
2부인 아주 사적인 시간을 먼저 읽은 샘인데 내 현실과 비슷한 시기<주부>를 살아내는 노리코가 더욱 공감되어서인지
1부인 노리코 연애하다는 뭔가 거리감있는 내용들이었다.
자유로운 연애를 하는 노리코와 그의 친구 미미. 그리고 상대 남자들. 그 상대 남자들의 아내나 여자들을 쭈욱 보면
연애할때의 모든 남녀상들이 투영되어있다.
한참 연애할 시기였던 20대의 나와 내 친구들의 모습인가 싶기도 했고~ㅋㅋ 다만 너무 오래전이라 공감하긴 힘들었다는
것.
결론은 착한 남자가 최고라는 것. 뭐 그 정도.
그래도 인생 10단 정도되시는 다나베 세이코님의 명언은 존재했다는 것.

서로의 과거나 현재의 정사를 후벼 파봤자 아무 도움도 안 된다는 것을 어른이라 잘 알고 있다. 동시에 미래에 대해 말하는 것도, 말을 꺼내는 만큼 속임수라는 것도 알고 있었다.
그것은 냉정하다거나 계산적이라거나 이성적이라기보다 정직하고 정확한 때문이었다.
나는 그런 점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꿈이 그대를 춤추게 하라 - 아침편지 고도원의
고도원 지음 / 해냄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소 진부한 소재와 내용의 책이지만
이런 소재와 내용은 지칠때마다 꾸준히 읽어줘야한다고 믿는 나는
날씨때문에 지치고 사람때문에 지치고 일상에 지치는 요즘 이 책을 단숨에 읽어버렸다.
지난 주말 친구 만나러 종로에 갔다가 알라딘 중고서점에서 득템!한 이 책을
친구를 기다리면 반/ 어제 아이들 보내고 반!을 읽었지.
책에서 말하는 것은 역시나
긍정적인 생각과 바른 생각. 그리고 속도보다는 방향이라는 것.
사랑은 긍정적으로 바라봐주는 것이라고도 했는데
가장 마음에 와 닿았다.
믿는 것은 믿도 끝도 없이 팥으로 메주를 쑨다고 해도 믿는 강한 신뢰에서 나오는 것이고
믿어주는 것은 단점을 보지않고 장점만 보면서 긍정적으로 발전하도록 이끌어주는 사랑에서 나오는 것이다.
아이들을 믿어주는 것.
사랑하는 사람들을 믿어주는 것.
그리고 속도보다는 방향을 생각하며 꾸준히 노력하는 것.
알고있지만 잊어버리는 것들에 대해 다시! 일깨워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 - 신경숙 짧은 소설
신경숙 지음 / 문학동네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볍지만 가볍지않은 이야기.
소설을 즐겨하지 않았는데 딸을 낳고나서 소설을 많이 사는 편이다.
내가 청소년기의 탈출구를 책에서 찾았듯이 딸도 그랬으면 하는 바램에서. 그리고 그때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책만한 유산이 어딨겠나....
그리고 따뜻한 감성 기억하길 바라면서 좋은 소설들을 구입한다.
그런 의미로 산 책이 바로 이 책.
제목부터 맘에 들었다. 동화구연하듯 달에게 이야기해주는 느낌도 들고^^
이 책은 짧은 이야기들을 엮어놓은 것인데
짧은 이야기가 끝날때마다 울림이 있다.
흐뭇하기도 하고.. 찡하기도 하고... 곰곰히 생각해보기도 하고..
그 중 기억에 남는 부분은
'그를 위하여'라는 이야기-
그를 위하여는 고 김대중 대통령의 서거를 소재로 한 이야기인데 보면서 뭉클.. 하면서 답답하기도하고.. 암튼... ...
아래의 바람에 대한 내용.
바람에 얼굴이 실려와 잠시 머무는 때. 이 말이 이해되는 걸 보니.. 나도 늙었다.. 싶다.
딸에게 꼭 주고 싶은 책이 하나 더 늘었다.

바람은 거울인지도 모르겠어. 어떻게 그걸 이겨내고 이 시간으로 오게 되었을까 싶은 일도 그냥 담담하게 떠오르곤 해. 오래 잊고 지냈던 사람들의 얼굴이 바람에 실려와 잠시 머무는 때도 있지. 그렇게 계속 걷다보면 이젠 생각이 과거를 지나 현재를 지나 미래로 뻗어나가지. 걷는다는 일은 온몸을 사용하는 일이잖아. 이곳에서 걷기 시작하면서 걷는 일은 운동이 아니라 휴식이 아니라 미래로 한발짝 나아가는 일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더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느 날 우리는 돌아눕기 시작했다 - 사랑과 결혼, 그리고 헤어짐에 관한 위험한 인터뷰
데이나 애덤 샤피로 지음, 이영래 옮김 / 중앙M&B / 2013년 5월
평점 :
절판


인터뷰 형식의 책.
이런 구성의 책에 별 다섯개 만점을 주었던 적이 있었나 싶다.
일을 하는 사이사이 여행을 간 사이사이 이 책이 생각났다.
이혼을 경험한 사람들의 사랑과 결혼 그리고 이혼에 관한 인터뷰를 엮은 책이다.
책속에서 그들은 사랑과 결혼/ 그리고 결혼 생활에 대한 현실감 100%의 이야기를 해주고 이혼 후의 생활도 고백하고 있
다.
현실감 100%라고 썼듯이 결혼 6년차 주부인 내가 공감할 수 있는 내용들이 많았다.
이혼했지만 첫번째 결혼을 후회하지 않는 사람도 있고 이혼을 경험했기 때문에 두번째 결혼을 더 소중하게 생각하는 사람
도 있다.
세상엔 다양한 사람이 있듯이 다양한 결혼과 이혼의 이야기가 이 책에 있는데
그들은 결혼생활에서 중요한 상대방에 대한 존중/ 배려/ 타협/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그들이 경험한 사실들을 이야기해준
다.
책을 읽으며 좋은 구절은 핸드폰 카메라로 찍는 습관이 있는 나는 이 글 말미에 여러장의 사진을 올려놓겠지만
그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부분을 글로 쓰자면
나는 장난식으로라도 친구나 지인들과의 수다에서 남편을 깎아내리는 말을 하지 않도록 상당히 노력한다.
대부분 많은 아줌마들이 시간보내기용으로 시댁얘기 + 남편얘기를 소재로 수다를 많이 떠는데
그때 마치 남편을 자신보다 하대하며 얘기하는 사람들을 본다.

'남편들 한번씩 잡아줘야 안 풀어지고 잘하잖아 계속 잘해주면 진짜 막나간다니까~~!!~' 뭐 이런식의 말들. 그 의미야 알
겠지만 그런식으로 남편을 남들앞에서 하대하는 그 여자야말로 참으로 급 낮아 보인다.
아내가 무슨 '진짜사나이' 분대장인가~~
아이들의 아버지이고 나와 함께할 사람을 그렇게 말하는 것 좋지 않다고 생각한다. 나 역시 그랬었는데.. 많이 많이 조심하
고 있지.
친구들에게 이런 얘길 하면 그럼 아줌마들과 대화가 안된다는 말을 한다. 받아져줘야 그 수다에 어울릴수 있다는 것.
그럼 나는 그런 수다에 어울리지 않으면 그만이고.. 그냥 고개만 끄덕이고 말면 되지 거기에 내 남편 얘기는 안꺼내도 된다
고 얘기한다.
남들 앞에서 남편을 깎아내리면서까지 내가 사랑받고 있다고 얘기할 필요는 전혀 없다. 내가 요즘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서로 존중하는 관계. 그것이 내가 바라는 결혼생활이다.
지금까지 결혼한 사람들에게 내가 가장 많이 선물한 책을 꼽자면
'D에게 보낸 편지'인데.. 오늘부로 이 책도 선물하기로 결정했다.

`숙녀에게 차 문을 열어주는`식의 존중이 아니라 그녀의 감정과 정서를 알고 그녀가 상처 입거나 불안해하거나 소외감을 느끼지 않게 하는 그런 의미의 존중 말입니다.

우리는 유일한 삶을 살고 있어. 그러니 매 순간의 참맛을 알아보고 감사한 마음을 갖자

지나치게 잘난 척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의 감정에 책임을 지세요. 스스로의 감정에 대해서 말이에요. 부부간에는 자신의 문제를 상대에게 전가시키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