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은 까칠하게 말할 것 - 착한사람들을 위한 처방전
후쿠다 가즈야 지음, 박현미 옮김 / MY(흐름출판)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먼저 하나 물어봅시다. 모르는 사람(혹은 얼굴만 아는 친하지 않은 사람)과 가장 빨리 친해질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까요? 저는 착한(?) 방법과 악한 방법 두 가지를 권해주곤 합니다. 그게 뭔고 하면 말이죠, 같은 취미를 가짐으로써 공통의 관심사를 만드는 것, 그리고 지금 여기에 없는 제3자에 대한 험담을 마음껏 하는 것 두 가지입니다.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면 공통의 관심사가 있어야 한다는 것쯤은 사회생활을 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니 따로 설명할 필요가 없겠지요.

 

그렇다면 험담이나 뒷담화는 어떨까요? 은근히 스릴 있고 매력적이라고 생각하지 않나요? 게다가 험담에 동참한 사람들만의 끈끈한 우정(?)은 또 어떻구요? 험담의 대상이 되는 사람을 생각하면 그래서는 안 된다구요? 불행하게도 저는 그렇게 착한 사람은 못 됩니다. 오히려 '없는 곳에서는 나랏님도 욕한다'는 말을 신주처럼 믿는 편입니다. 뭐 어떻습니까, 그 당사자가 들으라고 하는 말도 아닌데요. 오히려 대화에 참가했던 사람들의 스트레스를 풀어주고 같은 범죄(험담)를 저질렀다는 공범의식이 그들간의 결속력으로 이어져 소통을 훤할하게 해준다면 험담은 해볼 만한 일이지 않나요?

 

"험담은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상당히 뛰어난 능력을 갖습니다. 의사소통의 실마리가 되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험담하는 자리에 함께 함으로써 결속력을 다질 수 있습니다. 험담을 공유하면서 서로 마음을 터놓은 사이라는 동지애가 싹트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험담의 효능입니다." (p.51)

 

모처럼 좋은 책을 읽었습니다. 좋은 책이라는 게 지극히 주관적인 판단이니 함부로 믿지는 마세요. 이를테면 저는 저자와 같은 생각을 하고 있었기에 '좋다'고 말했을 뿐입니다. 책이 갖는 심오한 지식이나 뛰어난 문장 구사력이 판단기준이 되지 못했던 것은 저로서도 유감입니다만 저자도 딱히 그것을 염두에 둘 것 같지는 않습니다.

 

가뜩이나 서로 대면하지도 않은 채 문자를 통한 대화에만 익숙해진, 직접적인 만남을 고통스러워 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이 얼마 간의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기계적인 예의나 귀에 거슬리는 경어의 남용을 여러 번 경험했을 듯합니다. 그런 것들이 쌓이고 쌓여 인간 관계의 불편함을 양산한 것은 아닌지 한번쯤 되짚어 봐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저자는 아부와 험담의 필요성이라던가, 기능화되지 않은 사람들과의 사교적인 만남과 그 자리에서 취해야 할 행동으로 건방져질 것을 주문하기도 합니다.

 

"경어의 본질이란 무엇일까요? 인간이란 결코 평등하지 않으며 똑같은 존재도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인간이 평등하지 않다니, 이 말을 듣고 놀라지는 않았나요? 물론 저 같은 사람을 비롯해서 인간은 누구나 법적.공적으로 평등하다고 생각합니다. 평등하지 않으면 곤란합니다. 하지만 개개인의 주관을 통해서 본다면 인간은 결코 평등하지 않습니다. 상당히 큰 편차를 갖고 있습니다. 아니, 인간은 평등하다, 인간은 누구나 똑같은 가치를 갖고 있다고 말하는 분은 더 이상 책을 읽지 않아도 됩니다. 그렇게 마음씨가 아름답고, 자신은 착하다고 생각하는 분은 이 책의 독자로 어울리지 않습니다." (p.118)

 

저자의 생각은 때로는 우리의 상식과 어긋나기도 하고 일견 도발적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곱씹어 생각하면 '과연, 그렇구나.' 생각하게 됩니다. 특히나 사회 경험이 많지 않은 젊은 사람이 이 책을 읽게 된다면 모르긴 몰라도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괜히 아무것도 없으면서 소싯적 얘기나 꺼내어 폼잡고 거들먹거리는 노친네의 쓸데없는 충고를 듣느니 차라리 그 시간에 이 책 한권을 읽는 게 백 배는 유익할 거라 생각합니다.

 

"높은 지위나 강력한 힘을 가진 사람들이 젊은이들에게 기대하는 것은 건방짐뿐입니다. 물론 건방진 젊은이를 싫어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젊은이의 에너지나 격식을 깨뜨리는 대범함이 거추장스러운, 다시 말해 정신력이 쇠퇴해 버린 사람입니다. 정신력이 쇠퇴한 사람은 상대해 봤자 별 도움이 안 됩니다. 머지않아 지금의 지위나 힘을 잃어버릴 것이며, 젊은 사람들에게 기회를 주고 의견이나 제안을 들어 주는 유연성과 활력이 부족해질 것입니다. 특단의 배려를 해서 상대할 필요도 없습니다. 오히려 기백 넘치는 건방짐을 받아들일 만한 도량이 있는지 알아본다는 정도의 마음가짐으로 대하면 됩니다. 물론 예의는 갖추어야겠죠." (p.166)

 

당연한 현상이겠습니다만 우리 사회에서 직접적인 대화는 갈수록 뜸해지고 있습니다. 이제는 가족이나 친척과 같은 허물없는 관계에서조차 대화하는 게 어렵다고 말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입니다. 명절만 해도 그렇지 않나요? 아이들은 뿔뿔이 흩어져 각자 제 할 일만 할 뿐 여럿이 모여 대화를 하려는 모습은 찾기 어렵습니다. 적당히 나이가 든 사람들만 옹기종기 모여 술잔을 기울이면서 밀린 얘기에 열을 올리곤 하지요. 이제는 조금씩 귀도 들리지 않는지 목소리는 점점 커져만 가고 말입니다.

 

'대화'에 대해 말하고자 했던 저자의 생각은 가끔 대화와 관련된 삶 전체로 확대되기도 합니다. 죽을 때까지 특정한 사회에 몸담고 살 수밖에 없는 인간은 '대화'가 곧 '삶'인 까닭에 그랬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므로 한 인간이 속한 사회 분위기가 대화와 소통을 중시하는 분위기인지 아닌지 하는 문제는 상당히 중요한 것 같습니다. 예컨대 자신과 의견이 다르다는 이유로 가스통을 들고 설치는 할배들이 넘쳐나는 사회라면 그 사회의 젊은이들이 대화를 즐길 리 만무하겠지요.

 

"조금만 생각해 봐도 알 수 있듯이 과학 기술이 발전하는 것이나 교통 기관과 정보망이 정비되는 것과 사회나 인간이 진보하는 것은 일치하지 않습니다. 편리함이나 정비를 가치관이라고 본다면 분명히 발전입니다. 하지만 인생의 다채로움과 생활의 풍요로움이라는 관점에서 보자면 퇴보이고 상실일지 모릅니다. 현대인의 진보에 대한 맹신은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눈속임, 일시적인 위안이라고 말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p.221)

 

어쩌다 보니 말이 주저리주저리 늘어졌습니다. 이러다가는 책의 전체를 인용하려 들지도 모르겠습니다. 저의 관점에서는 그렇게 해도 뭔가 모자라는 느낌이 들지도 모르겠지만 말입니다. 제가 책을 많이 읽는 것은 아니지만 아무런 기대감도 없이 우연히 집어든 책이 의외로 맘에 쏙 드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우리가 바쁜 시간을 쪼개어 책을 읽는다는 건 결코 쉬운 일은 아닙니다. 하지만 맘에도 들고 유익한 책을 어쩌다 우연처럼 만난다면 그것 또한 책을 읽는 이에게 주어지는 선물이자 보상은 아닐런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