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 댄스 댄스 - 하 - 개정판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유유정 옮김 / 문학사상 / 200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적어도 삶은 우리에게 친절하지 않다는 사실을 눈물을 흘리며 인정하지 않는 한 삶은 단 한 발짝도 앞으로 나아가려 하지 않는다.  그런 면에서 삶은 꽤나 고집스러운 데가 있다.  그러므로 사업의 실패나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 같은 일들로 인하여 겪게되는 상실감은 인생의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통과의례처럼 보인다.  인생을 몇 가지 단계로 나눈다면 1년, 1년 나이를 먹는 시계열적 추세 변화와 삶은 하등의 관련성이 없는 것이다.  비록 우리는 그러한 것들을 부정적으로 인식하여 극구 피하려 하지만 말이다.  못생겼다는 이유로 애먼 거미를 기피하는 것처럼.

 

나는 녹색의 여린 잎을 내밀고 있는 양지쪽의 철쭉을 보면서 그런 생각을 했다.  아무리 어리숙한 사람도 이따금 제법 그럴 듯한 생각을 하기도 하는 것이다.  물론 그런 생각도 떠오르는 그 순간에 적어두지 않으면 금세 잊혀져 흔적도 없이 사라지곤 하지만 말이다.  한번 떠오른 생각이 내 머릿속에 진득하니 눌러 앉는 법이란 결코 없다.  마치 대기표를 뽑아 들고 기다리는 다른 여러 생각들에게 자신의 자리를 양보해야 할 의무라도 있는 것처럼 이내 사라져버리는 것이다.  변심한 여자가 한 치의 망설임도 없이 냉정하게 자리를 뜨는 것처럼.

 

무라카미 하루키의 작품 <댄스 댄스 댄스>를 읽고 있노라면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에 서 있는 듯한 느낌이 든다.  카를 융의 '그림자 이론'을 소설로 각색한 듯한 느낌마저 들 때가 있다.  하루키의 작품이 대개 그렇듯 주인공은 현실 속의 사람들과 한 발짝 멀어져 있다.  자발적 소외.  그렇다.  그의 작품에서 주인공은 경제적으로나, 능력으로나 그닥 뒤처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들과는 일정 거리를 두고 한 발 물러서는 것이다.  주인공의 의식은 때로 원시의 신화와 맞닿아 있는 듯 보인다.    

 

"짙은 암흑은 폭력의 입자를 내 주위로 떠돌게 하고 있다.  그리고 나는 그것이 바다뱀처럼 소리도 없이 슬금슬금 다가오는 걸 볼 수조차 없다.  구제할 수 없는 무력감이 나를 지배한다.  온몸의 모공이 송두리째 어둠에 노출되어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셔츠가 식은땀으로 축축이 젖어 있다.  목구멍이 칼칼해진다.  침을 삼키기도 힘들어진다.  여기가 도대체 어디일까?"    (상권 p.132)

 

책에서 주인공인 '나'는 잡지사의 자유 기고가로서 이혼 경력이 있는 34살의 사내다.  작품을 이끌어 가는 주인공들은 그 성향에 따라 '환상의 세계(또는 이미지의 세계)'에서 사는 사람들과 '영혼의 세계(또는 관념의 세계)'에 사는 사람들로 뚜렷이 구분된다.  내 주관적인 판단으로는 그랬다.  배우이자 학창 시절 친구인 '고탄다', 고급 콜걸이자 환상의 여인 '키키', '키키의 친구 '메이', 외팔이 시인 '딕 노스'가 이미지의 세계에서 사는 사람들이라면 주인공인 '나'와 예지능력이 있는 열세 살의 소녀 '유키', 그녀의 어머니인 '아메'는 관념의 세계에 사는 사람들이다.  물론 그들은 현실이라는 공간에서 가늘게 연결되어 있다.

 

'나'는 '키키'와 만났던 삿포로의 돌핀 호텔에 대해 생각한다.  그리고 '키키'를 만나야겠다는 결심으로 도쿄에서의 모든 일을 정리하고 삿포로로 향한다.  그러나 돌핀 호텔은 예전의 그 호텔이 아닌 새로운 호텔로 개축되었다.  다만 그 이름만 그대로인 채.  그 호텔에 머물면서 '나'는 예전에 사라진 돌핀 호텔의 관념 속에서 '양 사나이'를 만난다.  '양 사나이'는 '나'에게  "춤추어라, 아무것도 생각하지 말고 되도록 멋있게 춤을 추어라" 라고 말한다.  그곳에서 나는 호텔 여직원 '유미요시'가 자신과 비슷한 경험을 하였다는 사실을 알게된다.

 

'나'는 '양 사나이'의 충고에 따라 운명의 흐름에 자신을 내맡긴 채 춤을 추듯 살아간다.  그 과정에서 여러 사건과 의문의 죽음이 이어진다.  '아메'가 죽고, '고탄다'가 죽고, '딕 노스'도 죽는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에서 자주 등장하는 성애적 표현은 지극히 절제되어 있다.  대신에 주인공의 의식의 흐름에 집중하고 있다.  작가의 다른 작품에서는 볼 수 없는 모습이다.

 

"정신을 차려보니 무력감이 조용히 소리도 없이 물처럼 방 안에 차 있었다.  나는 그 무력감을 밀어 헤치듯이 목욕실로 가서 <레드 클레이>를 휘파람으로 불면서 샤워를 하고, 부엌에 선 채로 캔맥주를 마셨다.  그리고 눈을 감고 스페인 어로 하나에서 열까지 센 다음,「끝났다」하고 소리 내어 말하고는 손뼉을 치자 무력감은 바람에 날려가듯이 휙 사라져 버렸다.  이것이 나의 주술(呪術)이다."    (하권 P.19)

 

"죽은 '정어리'와 마찬가지로, 결국 키키는 당연히 죽어야 했기에 죽어 버렸다는 느낌이 들었다.  이상한 느낌이었지만 내게는 그렇게밖에 느껴지지 않았다.  내가 느낀 것은 체념이었다.  광대한 해면에 내리 쏟아지는 비처럼 조용한 체념이었다.  나는 슬픔조차도 느끼지 않았다.  영혼의 표면을 손가락으로 살며시 어루만지면, 산뜻하고 기묘한 감촉이 느껴졌다.  모든 게 소리도 없이 지나가 버리는 것이다.  모래 위에 그려진 표지를 바람이 날려 버리듯이, 어느 누구도 막을 수 없는 일이다."    (하권 P.229)

 

'나'는 환상의 세계의 사람들과 접촉하면서 현실을 조화롭게 인식한다.  그것은 일종의 춤을 추는 과정과 비슷하였다.  작게 스텝을 밟으며 서서히 빠져드는 춤처럼, 관념의 세계로 침잠하던 의식들이 조금씩 되살아나는 것이다.  비록 '나'와 연결된 사람들이 환상의 세계에서 하나 둘 사라지지만.  '나'는 결국 처음의 자리로 되돌아가 '유미요시'를 만나고 현실의 사랑을 이룬다.  '유미요시'는 '나에게 사라지지 않는 현실의 구원자였다.  그들도 물론 언젠가 시간의 흐름 속으로 사라지겠지만 말이다.

 

"메이의 죽음이 내게 가져온 것은, 오래된 꿈의 죽음 및 그 상실감이었다.  딕 노스의 죽음은 내게 어떤 체념을 가져왔다.  그러나 고혼다(고탄다)의 죽음이 가져온 것은, 출구가 없는 납으로 만들어진 상자와 같은 절망이었다.  고혼다의 죽음에는 구원이라는 게 없었다.  고혼다는 자신 속의 충동을, 자기 자신에 잘 동화시킬 수가 없었다.  그리고 그 근원적인 힘이 그를 극한적인 장소까지 몰고 간 것이다.  의식의 영역의 제일 가장자리까지.  그리고 그 경계선 너머에 있는 어둠의 세계까지."    (하권 P.249) 

 

살면서 자꾸 그런 생각이 드는 것이다.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에서 많은 사람들이 죽고, 성지 순례를 갔던 관광객들이 폭탄 테러를 당하고, 무고한 사람이 간첩 누명을 쓰는 이런 세상에 때로는 어둠 속에 갇혀 '양 사나이'를 만나고 싶지만 인생은, 삶은 우리에게 결코 친절하지 않다는 사실을 인정해야겠다.  그렇게 세상으로 나아가 춤을 추듯 살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