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을 탄다'는 건 어쩌면 절대적 고독을 인식하는 성숙한 개인에 대한 또 다른 표현일지도 모른다. 다양한 인간관계에도 불구하고 영원히 혼자일 수밖에 없는 고독한 존재로서의 자신을 의식한다는 건 어떤 철학적 사색이나 인문학적 소양에 바탕을 두지 않더라도 인간이라면 누구나 직감적으로 혹은 선험적으로 깨달을 수밖에 없는 기본 인식이리라. 그와 같은 고독감은 우리가 사는 경쟁의 틀 속에서 발현되고 강화된다. 개인이 갖고 있는 수많은 특성 중에 단지 몇몇 가지 능력만을 비교하여 차별하고 무시하며 때로는 개인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의 모욕감을 안겨주기도 하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인간은 좌절할 수밖에 없다. 그가 갖고 있는 수많은 장점과 비교되지 않은 여러 탁월한 능력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그것은 차라리 폭력에 가깝다. 그러나 사회라는 거대구조에 속한 다수의 횡포를 한 개인이 거부하거나 저항하기에는 그 힘이 너무도 크고 막강하여 지레 움츠러드는 것 또한 사실이다.

 

우리가 반려동물을 키우거나 신에 매달리는 것도 따지고 보면 모두 그 밑바탕에는 치유되지 않은 인간의 고독감이 짙게 깔려 있는 탓일지도 모른다. 열기를 더해가는 대선 후보 토론회만 보더라도 인간의 폭력성과 야만성은 여실히 드러난다. 상대방이 평소에 어떤 생각을 갖고 있고, 그가 했던 말이 어떤 의도였는지 알아보기 위해 질문을 던지는 건 전혀 없고, 상대방의 과거나 토론회장에서 내뱉은 말을 빌미로 공격을 일삼는 게 토론의 전부이니 이를 지켜보는 국민들 또한 그런 폭력성 앞에서 깊은 절망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그런 연유인지 정치 초년생인 모 후보는 집에 여러 마리의 강아지를 키우고 손바닥에는 '왕(王) 자'를 쓴 채 토론회장에 등장하기도 했다. 말하자면 그는 자신이 키우는 반려동물이나 그가 믿는 무속 신앙에 자신의 고독감을 반복적으로 표출해 왔을 터, 강아지나 신은 그가 표출하는 방식이 어떻든 그에 대해 평가하거나 비난하지 않은 채 들어준다는 걸 알기에 인간보다는 반려동물 혹은 무속 신에게 의지하고 자신의 스트레스를 풀어왔던 게 아닐까. '오죽하면...' 하는 생각에 일견 딱한 마음이 들기도 하는 것이다. 그 후보는 자신에 대한 비난 여론에 대해 "후보와 같은 아파트에 사는 지지자들이 매번 토론이 있을 때마다 응원한다는 의미에서 손바닥에 써준 것"이라고 변명했다. 물론 그럴 테지. 자신과 한 집에 사는 어떤 지지자(할머니 혹은 아주머니일 수도 있지만)는 박사학위 논문에서도 운세를 연구한 사람이니까.( 온라인 운세 콘텐츠의 이용자들의 이용 만족과 불만족에 따른 회원 유지와 탈퇴에 대한 연구)

 

오늘은 개천절.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는 건국이념은 온데간데없고 오직 개인의 욕망과 타인에 대한 비난만 드러내는 대선 후보들의 아귀다툼을 보면서 씁쓸한 마음이 절로 드는 것이다. 손에 '왕(王) 자'를 쓰고 토론회장에 나온 후보가 대통령이 되면 모든 국민은 자신의 손바닥에 '신(臣) 자'를 쓰고 생활해야 하는 걸까? 고민스럽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