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6040207267438655&outlink=1

 

복거일 따위가 무슨 과학소설가라고, 대체역사친일매국노소설가라면 모를까. 소설에 진보적인 비젼은 물론 과학적인 상상력이 눈꼽만큼도 없는 글을 가지고 무슨 과학소설 운운하는지. 심지어 그 흔한 로봇도 안 나오는데.....과학적 뭔가를 보여주지 못하면 시대 사상이라도 앞서가든가.

 

올해 초  톨킨의 <반지의 제왕> 읽었는데, 오십년전에 쓴 <반지의 제왕>조차  여전사에 대한 비젼 나오더라. 물론 로버트 하인라인의 <프라이데이>나 제임스 카메론의 <에일리언>만큼의 전투적인 여전사는 아니지만 말이다.  오십년전에 씌여진 판타지 소설조차 진보적인 비젼을 묘사하는데, 끽해야 대한민국이 일본식민지라는 설정으로 과학소설 운운하는지. 과학적인 뭔가(something)가 있어야 과학소설이지. 예전에 <판타스틱>이란 잡지에 이 양반 과학소설이랍시고 실려 읽다 말았는데, 과학적인 비젼 하나 없이, 지금까지 대한민국 쟝르소설작가 타이틀로 수십년을 유지하는데, 우리 이제 이 양반에 대한 과학소설작가는 재고해야 되지 않나.

 

<비명을 찾아서> 내고 뉴라이트 활동 수십년을 열심히 하더니, 오늘 엿먹은 기사 보다.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곰곰생각하는발 2016-04-04 14:19   좋아요 0 | URL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나 이 기사 읽고 배꼽 빠졌었는데.... ㅋㅋㅋㅋ 알고 보니 초성으로 디스한 거더군요..

기억의집 2016-04-05 08:34   좋아요 0 | URL
재치만발이죠. 첨엔 에휴,,, 이러다가 사연 알고 킥킥거렸네요. 고소드립 치던데, 풍자나 비판 찬양은 공모작 내는 사람 맘 아니겠어요. 몰라 본 지들이 잘 못 이지....

무해한모리군 2016-04-04 14:41   좋아요 0 | URL
자유경제원이 이승만의 탄생을 기념해서 만든 문학상의 1등상 이름이 복거일상이군요.. 뭔가 서로 어울리네요 ㅎㅎㅎ

기억의집 2016-04-05 08:36   좋아요 0 | URL
복거일 뭐 하나 했더니 저 자리 차지하고 있더군요. 이 정권에서 한자리 할 거라 생각은 했지만, 자기 이름 탄 상도 제정하고. 권력에 빌 붙으면 좋긴 한 가 봐요. 자기 이름의 상도 제정할 정도면. 쩝, 소리밖에 안 나오네요.

samadhi(眞我) 2016-04-04 14:45   좋아요 0 | URL
근데 전 이 작품 좋아했는데
그 뒤 복거일의 행보가 꼴통으로 변질(?)된 것이라 생각했거든요.

기억의집 2016-04-05 08:41   좋아요 0 | URL
저는 복거일의 작품을 이십대초반에 읽었는데, 그 때 평론가들이 하도 칭찬해서 심지어 김현평론가조차 복거일을 칭찬하더라구요. 그래서 읽어봤는데, 그 땐 저 양반의 역사인식을 잘 몰랐어요. 사실 sf라고 하기엔 너무나 모자랐기 했는데, 다들 분위기가 과학소설로 엮는 바람에..대단하구나 생각했어요. 휴, 저 사람이 딱 김현평론가 죽고 한참 후에 극우소설가로 커밍아웃 하긴 해서.. 오마이 뉴스보고 진짜 놀랐다는. 그러면서도 책 읽었을 때의 의문점들, 예를 들어 일본식민지 시대의 근대화부분을 굉장히 강조해서 의아했거든요,의 퍼즐이 맞춰지더라구요.

akardo 2016-04-04 18:03   좋아요 0 | URL
이상하게 우익 쪽 작가들은 초기작은 나름 재미있고 읽을 만한 게 제법 있는데 중후반 들어서면 완전히 망가지더군요. 작가의 재능을 엉뚱한 곳에 쏟는다고 할까요. 미시마 유키오도 그렇고 이문열도 그렇고 이 작가도 그렇고. 작가 자신의 목소리가 뒤로 갈수록 쌩 날것으로 튀어나온다고 할까요. 소설 완결성을 완전 파탄낼 정도로요.

기억의집 2016-04-05 08:48   좋아요 0 | URL
저는 중고등시절 한국문학을 많이 읽었는데, 어휴 지금은 자랑은 아니지만 단 한권도 안 읽어요. 뭐랄까, 이야기가 없다고 해야하나. 저는 사건을 좋아해서 저랑 안 맞더라구요, 이문열 인기 진짜 대단했거든요. 어마어마했어요. 십대 시절에는 평론이란 걸 몰라 이문열에 대한 평론가들의 평을 잘 몰랐지만, 무조건 나오면 대박이었으니깐요. 이문열도 김대중정부 들어서면서 우익으로 커밍아웃한 것으로 아는데, 사실 그 때만 해도 우리나라 국민들 90%는 다 우파였으니 몰랐죠, 딱 저 시기로 해서 작품이 망가지더라구요.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없다였나... 문제는 대중의 외면도 있겠죠. 생존해있으면서 모든 작품이 잊혀지는 경우인 것 같아요. 몇몇은 이문열을 좋아하겠지만, 신간이 나와도 철저히 외면 당하면서 문학적인 위상이 많이 사라졌죠. 저의 아들은 교과서에 나오는 작가정도로 알아요.

저는 일본추리작품은 좋아하는데 미시마 유키오는 아무리 읽어도 별로에요. 왜 좋아하는지 모르겠어요. 특히나 사소설은 저랑 아예 안 맞아서... 좋은지 모르겠더라구요.

2016-04-05 09:3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4-06 18:4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4-06 19:5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5-10 16: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5-10 16: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5-10 17:17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