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율이 오른다길래 지금까지 늑장 부리며 주문하지 않았던 원서그림책 몇권을 주문했다. 그 중 한권이 바로 나무 작가 토마스 로커의 <하늘나무>.
계절에 따라 변하는 나무의 모습을 너무나 멋지게 그려내고 있다. 정중앙에 서 있는 나무가 계절에 따라 변하는 모습 그리고 나무 뒤로 구름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모습을 포착해 화면에 담아내고 있다.
이러한 설정(즉 나무 한 그루를 중앙에 배치해 변화는 모습)의 그림책은 어린이 그림책에서도 보기 드문 경우인데, 이런 독특한 소재의 나무 그림을 그린 토마스 로커는 1932년 뉴욕에서 태어났으며, 1944년에 국립동물원에 (지금도 여전히) 서 있는 커다란 나무(giant tree)를 그려 헤럴드 타임즈의 예술분야, 유아 부문에서 생애 첫 상을 탄 이후 줄곧 나무만 그리고 있는 화가이자 그림책 작가이다. 그림책 작가 데뷔는 1984년 그의 나이 52살에 <where the river began>으로 시작하였으며 그 후 꾸준히 어린이 그림책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하늘 나무의 서문을 통해 이렇게 말하고 있다.
나는 내 인생 대부분을 변화하는 하늘과 함께 나무들을 그렸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나는 경이로움을 가지고 나무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과학선생인 Candace Christiansen(이 책의 저자)과 공동작업을 하면서 자연을 접근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으로 접근해야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내가 알고 있는 과학적인 사실들을 알면 알수록 나는 나의 자연에 대한 경이감이 더 깊어진다는 것을 알았죠. 이러한 깨달음은 하늘나무라는 작품을 만들 수 있게 하였습니다.





왼쪽페이지에는 나무 뒤의 변화하는 하늘의 모습(구름의 모습을 담고 오른쪽페이지에는 정중앙에 나무를 배치하고 나무가 변화하는 모습을 담아내고 있다. 나무 외에도 구름의 모습을 어찌나 멋지게 그려내는지.
이세 히데코의 신간그림책이 나왔다. <커다란 나무 같은 사람> 부제가 식물을 사랑하는 소녀와 식물학자의 이야기인 이 그림책은 말썽꾸러기 소녀와 식물원의 식물학자와의 어린 우정이야기이다. 사에라(작가후기에서 작가가 말하길 소녀 이름 사에라는 프랑스어 Ca et la와 발음이 똑같은데 그 뜻은 이곳저곳이라는 뜻이라고)는 식물원에 들어와 이곳 저곳을 망가뜨린다. 그러던 어느 날 소녀는 식물원에 일하는 식물학자와 친해지고 다른 식물원에서 일하는 식구들과 친해지면서 꽃이 피어나는 아름다움, 100년이 아카시아 나무의 웅장함과 푸르름을 알게 되었다. 사에라가 식물원의 나무들과 꽃에 대해 알아가고 그림을 그리면서 그 곳 식구들하고도 친해지게 된다. 그러나 사에라는 일본에 돌아가야하고 식물원장은 사에라의 그림을 식물원 여기저기에 걸어 두며 한 소녀를 추억한다는 이야기이다.
토마스 로커가 겹겹의 무거운 유화터치로 나무의 변화하는 모습을 그렸다면 이세 히데코는 가벼운 터치의 수채화를 이용하여 후박나무 향기처럼 싱그럽고 푸르른 나무를 그렸다. 한장 한장 넘길 때마다 넘실대는 푸르름의 아름다움은 이루 말 할 수 없다.
어린 시절부터 나무만 그렸다는 토마스 로커의 모습으로 겹쳐지지 않는지요?!








갸벼운 수채화 터치로 이렇게 웅장한 나무를 그릴 수 있는지(어제 이 그림책 주문해서 받아보고 반해서 급흥분모드), 위의 그림은 그냥 맛보기로 몇 장면 찍어 올린 것이다. 이 그림책에는 400년 아카시아 나무 그림뿐만 아니라 두 페이지에 걸쳐 그린 플라타너스 나무 그림이 있다. 작가 히데코가 어찌나 형형색색 화려하게 그렸는지 내 찍사 실력으론 이 그림책에 그려진 나무 그림의 진가를 망쳐버릴 것 같아 찍지 않았다.
나이가 들면 자연의 모습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한다. 나는 우리 빌라의 28년된 후박나무가 뿜어내는 싱그러운 향기에 도취되어, 나무 밑을 걷곤 한다. 5월이 지나면 향기는 사리지기 때문이다. 매년 맡는 향기지만 그 어떤 향수보다도 나를 유혹한다. 매혹적이다,라는 말은 나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두 노작가의 나무 그림에 무한 매혹을 느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