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허준이박사가 필즈상 받었다. 며칠 전부터 필즈상 유력한 후보였는지 허준이 박사 관련 유투브가 계속 떠서 봤는데, 영상에서 허준이 박사가 서울대 물리학과 재학중에 히로니카 헤이스케의 강의를 듣고 수학으로 자신의 진로를 정했다는 인생 항로는 인상적이었다.
히로니카 헤이스케가 31년생이니 지금 살아 있다면 거의 백살에 가깝다. 70세 무렵에 서울대 초청으로 한국에 와 한사람의 인생 항로의 나침판 역활을 했으니, 멘토는 이런 사람을 진정한 멘토라 할 수 있겠다.
몇년 전에 학문의 즐거움을 읽었는데, 내 기억이 맞다면 이 수학자의 수학 논문이 미국까지 알려지면서 하버드에서 헤이스케를 교수로 초청했는데, 그 때 하버드에서 헤이스케가 영어를 잘 못하자 일상 통역사까지 다 지원해 주었다는 글은 아직까지도 잊혀지지 않는다.
갑자기 어제 오늘 이런 생각이 들었다. 미국의 과학계든 수학계든 백인 남성 점유물이었던 저 자리에 일본인들이 저렇게 대우 받을 수 있었던 건 역시 논문이 아니면 안되는구나 하고 말이다
유럽이나 미국에서 자기 학문을 증명• 인정 받기 위해서는 논문만한 것이 없어 보인다. 토모가나 신이치로가 리처드 파이만과 공동으로 노벨상을 받었던 건 그가 미국에서 공부해서 얻는 것이 아니고 일본에서 공부하면서 쓴 논문이 미국의 물리학계에 알려지면서 이다. 거의 모든 일본 학자들이 일본 내에서 공부하고 쓴 논문이 미국에 알려지면서 그들의 존재가 부각되었고, 그래서 그 차별 심한 미국내 아카데미에서 일본 학자들이 부각되었고 학문적으로도 인정 받었다.
지금은 상황이 어떤지 모르겠지만, 여전히 미국 대학에서 인정 받은 일본인보다 일본 대학에서 공부하고 쓴 논문이 미국이나 유럽에서 인정 받는 비율이 더 많지 않을까 싶다. 일본의 학문을 알리는데 논문이야말로 일등공신이고.. 이러한 점때문에 미국이나 유럽의 학자들이 일본 아카데미를 무시 못하는 것이리라. 일본인으로써 자부심이 뿜뿜 솟았을 것!
오늘 저녁에 아이들하고 허준이박사가 필즈상 받었다고 말했더니, 우리 아이들은 단번에 미국인이잖아! 라고 말하던데, 저 말에 서운하기는 했다. 뿌리는 한국인인데, 허준이 박사도 한국에서 공부할 여유(경제적인 걸 말하는 게 아님) 안되서 미국에 간 것이겠지만, 우리도 미국이나 유럽같은 시스템이 우리 대학보다 조건이 더 맞다고 생각해서 간 것이라면 우리 시스템을 변경해야 하지 않을까??
필즈상은 노벨상 버금가는 상인데… 미국인으로 수상하다니 안타깝다.
덧; 필즈상 이야기에서 가장 재밌었던 존 밀노어 에피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