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알에서 자주 본 유성호 교수님의 나는 매주 시체를 보러 간다, 를 읽게 된 계기는 법의학이 흥미로운 분야이기도하지만, 언젠가 유교수님이 유퀴즈에 나와 인터뷰 하던 중 아, 이 분은 정말 인격적으로 좋은 분이시구나라고 유추 했던 한 단어때문이었다. 


비혼모. 사실 유재석씨가 어떤 질문을 했는지 기억나지 않는다. 유재석씨의 질문에 유교수님이 젊은 엄마를 언급하면서 미혼모라는 단어를 쓰지 않고 비혼모라는 단어를 쓰며 죽은 젊은 애기 엄마를 언급했는데, 나는 그 때 그 단어를 처음 들었다. 결혼하지 않고 자식을 낳은 엄마, 흔히 우리가 미혼모라고 알고 있는 단어를 유교수님은 그 단어를 쓰지 않고 죽인 고인를 주체적이고 자기 결정권이 강한 엄마의 이미지인 비혼모라고 언급하였던 것이다.


그 후 유성호 교수님에게 흥미가 생겨  검색하고 이 책을 구매해 읽었는데, 법의학을 하게 된 계기, 살인과 관련된 시신 해부, 그리고 자살과 죽음 특히나 죽음은 안락사와 연명에 대해 다루는데, 내가 가장 인상적이었던 것은 소설가 이문구의 죽음과 헤어 디자이너 그레이스 리의 죽음이었다.


우리는 언젠가 죽고 죽으면 보편적인 장례식을 치루고 제사라는 문화를 가지고 있는데, 평소 나는 제사와 묘. 그리고 묘를 만들어 매년 풀을 깍는 벌초하는 문화를 극혐하며, 극단적으로 말하자면 없어져야 하는 문화라고 생각한다. 자연에서 나서 자연스럽게 흙으로, 지구의 한부분으로 돌아가 보탬이 된다고 생각하면, 묘와 그 주변을 비석까지 세우는 행위가 과연 자연(지구)을 지키는 일인지 모르겠다. 이런 말하면 비난 받을지 모르겠지만,  플라스틱보다 더 해로운 행동이다. 겉으로는 무소유니 자연인들을 동경한다면서... 제사니 비석이니...


사람에 따라 생각은 다르겠지만 이문구 작가는 죽은 사람에게 절하는 것을 굉장히 싫어했다고 한다. 그래서 제사 대신 가족끼리 식사나 하면서 자신을 추억하라고 한 것이다....... (중략),.....이문구 문학상 또한 만들지 말라고 해서 실제로 안 만든 것으로 알고 있다 대신 후배들 중 적절한 작가를 뽑아서 매년 약간의 지원을 해주고 있으면, 듣기로는 가족들도 기일에 따로 제사를 지내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 


마지막으로 소개하고 싶은 인물은 그레이스 리라는 분이다. 뽀글뽀글한 파마머리가 대세이던 1970년대에 단벌머리 열풍을 일으키며 한국 미용계의 대모로 활약했던 인물로, 장례식 이야기가꽤 뭉클하다... 중략...장례식장을 가득 매운 국화가 너무 싫었다고 한다. 그래서 본인 장례식장에는 절대 국화를 놓지 말라고 했다. 그리고 지금은 많이 사라졌지만 예전에는 곡이라는 것을 했었다. 아이고 아이고  하면서 눈물이 안 나와도 곡을 해주는 분들이 있었다.... 나는 후회 없이 살다가는데 웬 곡소리냐고 장례식장에 탱고를 틀어달라고 주문했다고 한다.. 어떤 곡인지 곡명까지도 지정해서 말이다.


그레이스의 유언은 실제로 이루어졌다.  장례식에는 실제로 탱고 음악이 깔리고 국홛대신 붉은 장미와 와인이 준비되어 있었더고 한다.........  추모객들은 장례식장에 모여 망자에게 장미꽃 한다발을 놓아주고 탱고 음악을 들으며 와인 한모금과 함께 그레이스 리는 정말 멋진 여성이었지, 사랑스러운 여성이었지라고 추모했다고 한다. 


242-245쪽 인용


유교수님 말대로 사람마다 생각이 다 다르니, 죽음을 바라보는 관점도 다 다를 수 있고, 죽음 후의 문화도 다 다를 수 있지만, 죽은 이를 기리는 명절도 가족끼리 즐겁게 한끼 먹고 즐겁게 보낸 후 헤어지면 안되나, 하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나는 우리의 제사나 명절 문화를 따르지 않을 것이다. 내가 주체가 되어 제사나 명절을 치르는 시대가 오면(조만간 오겠지만), 가족끼리 즐겁게 만나 한 끼 밥 먹고 헤어지는 그런 명절 문화를 만들지, 부당하게 누군가의 희생을 강요하는 명절이나 제사 문화는 거부할 것이다. 이제 우리 세대가 이 문화에 대해 점점 다양해지도록 해야 하지 않을까. 아직까지 내가 이런 말하면 불편해하고 너도 나이 먹어보면 달라질 걸, 이러는 엄마들이 많은데,  나이 먹을만큼 먹는 나부터 변해보련다.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2-01-02 06: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1-01 23: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mini74 2022-01-01 23: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유럽에선 환경보호를 위해 시신을 화학적 처리를 통해 녹인다는 글을 본 적이 있어요. 제사문화에 대한 생각 공감합니다 *^^*

기억의집 2022-01-01 23:24   좋아요 1 | URL
진짜 우리부터 바꿔봐요. 제가 저렇게 말하면 다들 나보고 아직 며느리 안 봐서 그렇다고 핀잔 주는데.. 저의 언니랑 저는 명절 안 한다고 서로 말해요. 서로 부모 자식간 각자 즐겁게 보내자고. 자식들이 엄마 밥 한번 먹자 하면 밥 먹는 거고.. 여행 간다 하면 여행 가라 한다고요. 가족 친척들 다 모여서 며느리들만 일 시키는 문화 사라져야 합니다. 진짜!!!!!

희망으로 2022-01-02 01:0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극단적으로 말하자면, 지들 조상을 남인 며느리가 차리는 행위 자체가 웃긴거죠. 우리 세대가 없애야해요. 그러나 현실은 남편이 제사는 꼭 지내고 싶어한다는. 결혼과 더불어 장례식도 가족끼리 간소화 해야해요!

2022-01-02 09:36   URL
비밀 댓글입니다.

희망으로 2022-01-02 01:3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댓글이 안올라가더니 와장창ㅠ
전 금욜에 부스터 샷 맞아서 팔이 엄청 아프더니 이제 서서히 나아지고 있네요.

기억의집 2022-01-02 09:40   좋아요 1 | URL
그랬었군요. ㅎㅎ 전 뷰스터샷 이주 전에 맞었어요. 모더나 맞었어요?? 저는 신청할 때 모더나 대상이라 떠서 좀 무섭긴 했어요. 주변에서 모더나 맞고 엄청 고생했다고 해서.. 겁 먹었는데. 의사가 화이자 놔줘서 화이자 맞었는데.. 이틀은 팔 아프고 그 후에는 간지러워서… 일주일 간지럽더라구요!! 참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연말연시 같지 않아서 톡도 안 보내고 그러네요..

군자란 2022-01-02 06:2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좋은 책 소개 감사합니다. 오랜만에 들어와보니 열심히 사시내요? 저도 님의 생각에 동감입니다. 그레이스 리의 사연에 저도 모르게 웃음 지게 하네요! 나같은 생각을 하는이들이 그래도 있구나 하는 안심도 되고...











기억의집 2022-01-02 09:46   좋아요 1 | URL
군자란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오랜만이죠!!! 우리 나라는 여자의 변화보다 남자의 변화가 급선무인데… 군자란님도 같은 생각이라니… 지금은 많이 간소화 되긴 하였지만 없애거니 즐겁게 보내는 날로 바껴야 합니다. 저의 남편도 제사나 명절 부담스러워 해서.. 대신 어머님이 계시니 지금은 어머님 뜻대로 하자고 하긴 합니다. 유교수님은 그 알에서 유명한 분인데.. 방송 타도 그다지 관심 없다가 유퀴즈 보고 놀랬던 기억이 납니다. 지금은 기억 안 나지만 단어 하나에도 배려가 깃든 분이라서..저는 이문구작가님도 대단하시다고 생각해요. 그레이스리 멋지죠!!!

책읽는나무 2022-01-02 06:4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우리 세대부터 바뀌어야 한다!!에 동감합니다.
누군가 나서서 행동해야 변화라는 게 있는 것 같아요.제주변에도 환경의 영향탓으로 보수적인 사람들이 많아서 ‘변화‘ 쉽지 않아요.
변화가 늘 이기적인 사람으로 비춰지는..ㅜㅜ
별난 사람으로 비춰진데도 변화가 있어야 발전이 있는 것 아닐까?생각해 봅니다.
눈에 띄지 않더라도 조금씩 노력해야죠^^
기억님 해피 뉴 이어!!!!!
오늘까지 빨간 날이니까요ㅋㅋㅋ

기억의집 2022-01-02 09:54   좋아요 1 | URL
그쵸. 그래서 오히려 엄마들이 너도 나이 들어봐라, 며느리 들어봐라. 자꾸 이러면서 자꾸 저를 몰아부쳐요. 하지만 저는 확고하고 제사는 없애고 명절은 즐겁게 노는 날로~ 남자들도 저런 인식의 변화가 쉽지 않지만.. 진짜 주변에 제가 저런 말하면 엄마들이 더 난리예요. 그러면 제가 요즘같이 딸하나 낳는 세상에 일 부려 먹냐??고 요즘 애들은 하지도 않아!!라고 말해도 참 설득하기 힘드네요 김장만 해도 아는 엄마는 집에서 이백포기를 담그는 집이니.. 며느리만 죽어나는데도 그게 부당하다고 느낄 뿐 바꾸려고 하지 않아요. 나만 별난 사람 되는 거 맞아요. 참 힘들죠!!!! 나무님, 해피 뉴 이어~ (아바 음악 생각 나네요)

han22598 2022-01-02 13:1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법의학의 나름 덕후로써ㅎㅎ 요즘 유성호님 덕분에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게 되는 것 같아서 기뻐요. 그리고 참 공중파의 힘은 큰 것 같아요. 혹시 관심있으시면 문국진 선생님 책도 읽어보시면 더욱더 재미있으실거에요 ㅎㅎ 그분은 우리나라 최초법의학자이시고...특히 법의학과 미술과 접목한 책들을 많이 내신 분이랍니다 ^^

기억의집 2022-01-02 14:32   좋아요 1 | URL
유교수님이 문국진님 책에 언급하셨어요. 책은 두껍지 않은데 진짜 알차게 핵심만 짚어서 쓰셨더라구요. 저는 소설은 미스터리하고 sf만 읽고 봐서 .. 그 알에서 자주 뵙지만 그냥 그런가보다 했는데 유퀴즈에서 인터뷰하고 그알 외전 유툽에 나와서 인터뷰 듣고 책도 찾아 보게 되더라구요. 책 읽으면서 페이퍼에는 안 썼지만. 참 저런 아들 둔 부모님은 행복하셨겠다 싶을 정도로 성실하고 자기일에 대한 고집도 가지고 있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