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이 꼬리를 무는 좋은 생각 짧은 동화 - 마음을 키워주는 책 3
이규경 글 그림 / 처음주니어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마음을 키워주는 책 세번째이야기 <좋은 생각 짧은 동화>
생각이 꼬리를 무는 책 제목이 눈에 들어온다.
살아가다보면 좋은 생각보다는 내 의지와는 상관없이 불쑥불쑥 나오는 부정적인 말들이 많다. 그럴때 한번만 더 생각하고 한번만 더 침을 삶키고 했더라면 좋았을걸 하는 후회를 한 적이 있다. 좋은 생각은 긍정적인 생각에서 나오는 행복의 씨앗이 아닐까싶다. 

이규경님의 책을 읽다보면 명언을 듣는것 같기도 하고, 동시를 보는 것 같기도 하고, 마음이 따뜻해졌다가, 한바탕 웃음을 자아냈다가 펜으로 따라 적어보기도 한다. 아이와 함께 읽어주기도 하고 아이와 같이 눈을 감고 좋은 글을 새겨보기도 한다.

<봄> p38
나비 한 마리 때문에 봄이 오지 않아.
제비 한 마리 때문에 봄이 오지 않아.
긴 겨울을 지냈기 때문에 봄이 와.
추운 겨울을 참고 지냈기 때문에 봄이 와.


<비> p39
소금 장수가 말했어.
"저 구름 때문에 비가 오는구나."
우산 장수가 말했어.
"저 구름 덕분에 비가 오는구나."

좋은 생각으로 말하는 훈련이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소금 장수는 비가 오는 이유를 말하고 있지만 우산 장수는 구름 덕분에 비가 온다는 걸 행복하게 말하고 있는 모습이 보이는 글이다. 봄은 가만히 있기만 하면 오는 봄이 아니라 누군가 봄을 준비하고 있었기에 봄이온다는... 짧지만 행복한 답이다.

'너 생각하니?'에 이은 이규경님의 두번째동화는 또 이렇게 가슴에 잔잔히 흘러 들어온다. 심심할때는 책의 중간을 열어 수수께끼를 풀어본다. 

귀에 딱지가 앉는 것은?
<잔소리>
먹으면 그 값을 해야 하는 것은?
<나잇값> p107

좋은 생각, 행복한 생각을 불러오는 책이다. 긍정적인 생각을 만들어주는 이야기들을 읽다보면 좋은 사람, 행복한 사람이 되지 않을까. 좋은 생각이 꼬리를 물어주는 행복한 동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학 마녀의 백점 수학 - 1.2학년 교과서 수학원리동화 공부귀신 2
서지원 지음, 아리 그림 / 처음주니어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가 커가면서 싫증을 내고 재미없어 하는게 수학 과목이 아닐까. 단시간에 성적을 올려주는 과목도 아닐뿐더러 수학은 마치 계단같아서 기초를 쌓지 않으면 뛰어 오를수 없는 과목이라고 말한다. 수학을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아니, 재미있게 할 수 있는 방법이 뭘까? 커서 어른이 된 지금에도 이 물음에 대한 답은 명쾌하지 않다. 하지만 한가지는 보인다. 놀이로 다가서는 수학이라면 재미있게 할 수 있다고. 

수학 점수 25점을 맞아온 나나는 엄마에게 혼이 나고 심바(고양이)와 하로(인형)와 함께 오르골에 사는 치오나 마녀를 찾아간다. 오르골에는 나나처럼 수학 때문에 엄마한테 혼난 사람이 환영받는다. 치오나 마녀는 나나에게 심부름을 시키는데 심바의 도움으로 수학의 재미를 들이게 된다. 외눈박이 왕국에 이마가득눈 대왕이 꿈꾸는 약이 필요하다는 치오나 마녀의 심부름으로 좀더 어려운 문제들도 척척 풀어 보는데...가르기와 모으기로 시작했던 수학은 세 수를 더하고 빼는 문제를 공부하고 두자리수의 덧셈과 뺄셈을 풀게 된다. 

가르고 모으는 방법은 여러가지로 답을 요구하는데 초등학교 아이들이 쉽게 이해하기 쉽도록 원리를 가르쳐주는 동화다. 엄마에게 혼난 적이 있는 아이들은 나나의 심부름에 동행하면서 수학의 재미를 같이 느껴보면 어떨까. 시간을 거꾸로 돌릴수 있는 내맘대로시계나 바람처럼 달릴수 있는 바람구두를 보면 치오나마녀가 사는 오르골이 궁금해질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어 좌절, 이유 있다 - 하버드 박사 이창열의 슈퍼영어
이창열 지음 / 앱투스미디어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아이 방학이 다가오니까 또 한가지 걱정이 생겼다. 그동안 바로잡아줘야겠다는 영어공부를 어떻게 할까 고민하게 된다. 초등학교부터 시작되는 영어지만 학교공부따로, 말하기, 쓰기, 읽기가 따로인 점을 본다면 우리 아이는 너무 많이 뒤쳐진다. 학창시절 몇년씩 공부했어도 교과서 단어밖에 모르는 한심한 엄마가 걱정만 하고 있을 뿐이다. 바디랭귀지만 잘해도 말이 통한다고 했던가. 정작 대화가 되기 위해서 얼마만큼의 단어만 익혀도 된다고 했던 말을 떠올린다. 문제는 미리 겁을 먹는다는 표현이 맞는 말인것 같다.

외국인이 흔하지 않은 내가 사는 지역에서 영어를 입으로 낼 기회는 더군다나 없다. 하지만 영어를 해야만 하는 세대인 아이에게 그 기회를 마련해 줘야하는 부모로써 영어 교육은 큰 관심의 대상일수밖에. 하버드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이창열의 슈퍼영어를 읽다보면 입으로 뱉어내는 말을 너무 어렵게만 생각한 건 아닌가하는 생각을 한다. "엄마, 오늘 학교에서 오다가 책 한권을 샀어요."라는 말을 영어로 표현하자면 엄마라는 단어가 뒤에와도 괜찮고 앞에와도 괜찮은데 한 어귀씩을 순서를 바뀌어서 말하면 안된다는 말을 한다. 우리는 문법에 너무 많은 시간을 쏟아붓다보니 외울것도 많고 생각할 것도 많아서 말하기는 아예 높은 수준의 공부만 같다. 하지만, 영어는 생각나는 대로 말하고  세련된 언어들을 자꾸 익히고 쓰다보면 내것이 되어 말하는 수준이 늘어날 것임을 어필하고 있다.

영어 단어를 찾을때 쓰는 사전의 종류에 한영사전, 영한사전, 영영사전을 예로 설명하면서 thesaurus, lexicon 사전을 소개한다. thesaurus 나 lexicon은 비슷한 표현을 접할 수 있고 어휘를 돋보이게 하는 표현들이 들어있는 사전이다. 영영사전에서 접하지 못했던 동의어들을 이런 사전에서 접하게 된다면 다양한 표현에 한발 더 가까워지지 않을까 싶다.

300개의 단어로 미국 사람들은 자기표현의 2/3를 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 사람의 대부분은 아는 단어가 부족해서 영어 표현에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p143 영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300단어를 보여주고 있는데 영어에 많이 어둡다고 생각하는 내 눈에도 들어오는 단어들이다. 그래서 이렇게 소개한다. 어려운 단어를 새롭게 배우는 노력만큼 쉽고 흔히 사용되는 단어들로 나타낼수 있는 표현을 익히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p151

영어를 잘하기 위해서는 많이 듣고 많이 말하라는 소리를 듣는다. 다양한 의미의 숙어들을 많이 알고 내것으로 만들다보면 영어에 대한 울렁증은 조금씩 가라앉으리라 생각되어진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속담의 표현이 영어에서는 상황에 맞는 격언으로  이런건 그냥 외워야겠다는 생각뿐이다. 'The apple never falls far from the tree' 는 '사과는 사과나무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는다.'이지만 우리말 속담 '부전자전'으로 번역될 수 있고, 'Too many cooks spoil the broth.' 는 '요리사가 많으면 요리를 망친다.' 이지만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p166 

귀로 듣고 입으로 말하기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무엇보다 영어에 대한 소극적인 자세부터 바꿔야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그러기위해서 다양한 책을 읽고 많은 비유적인 표현을 외움으로써 고급스런 어휘목록에 저장해 놓으면 어떨까하는 생각도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빨간 버스 파랑새 그림책 79
제인 고드윈 글, 안나 워커 그림, 강도은 옮김 / 파랑새 / 2009년 4월
평점 :
절판


<빨간버스>
작고 귀여운 아이가 빨간버스 앞에 서 있다. 작은 아이의 이름은 키티. 아침마다 타는 빨간 스쿨버스를 타기 위해 버스에 오르는데 키티는 늘 맨 앞자리에 앉고 싶어한다. 아마 키티는 맨 앞자리에 앉아서 지나가는 바깥풍경도 보고 싶고 운전사의 얼굴표정도 보고 싶었나보다. 버스 안에는 키티보다 큰 아이들이 서로 떠들고 장난치다가 싸우기도 한다.

빨간 버스는 부릉부릉거리며 오르막을 오르다가 씽하고 내려오고 다시  다리를 건너는 똑같은 길을 달린다. 학교에서 돌아올때는 멈췄다가 다시 출발하고 다시 멈추고 반복하다가 언니를 따라 내리곤 하는데 언니가 아픈날 키티는 집앞에서 내리지 못하고 버스에서 자게 되는데... 컴컴한 버스안에서 혼자가 된 키티는 빨간버스의 1인 승객이 되어 집으로 돌아온다.

특별하고 행복한 날을 보낸 키티의 사랑스런 모습이 고스란히 그림으로 표현되어있는 행복한 동화다. 버스만 타면 졸린눈을 하는 나와 우리 아이의 비슷한 점을 찾아서 더 즐거운 책이다.

스쿨버스를 기다리는 키티의 모습이나 빨간 버스에서 만나는 아이들의 떠들썩함이 우리 아이들의 모습과 다른건 없어 보인다. 다만 우리 주변에서 자주 보는 유치원 버스의 색깔이 노란색이 대부분이라는 것이다. 앞 표지에 그려진 버스 그림은 아이하고 같이 독후활동으로 그려봐도 좋겠다. 옆면이 아니라 앞면을 그리고 이왕이면 운전사 아저씨도 그려넣으면 좋겠다. 주인공 키티가 앞자리에 앉고 싶어했으니까 키티도 그려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홉 개의 바둑돌 파랑새 사과문고 67
김종렬 지음, 최정인 그림 / 파랑새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어릴때 친구집에 두꺼운 나무판으로 만들어진 바둑판이 있었다. 학교마치고 친구집에 가면 흑,백을 갈라 오목을 시간가는줄 모르고 두었던 기억이 난다. 오목을 하다보면 막상막하의 실력이 줄다리기를 하기도하는데 바둑또한 신경전 싸움으로 승부수를 내는 게임이 아니던가. 

열두살 주노는 살아생전의 아빠의 기억을 끄집어 낸다. 좋아하는 야구 시합에 같이 가고 싶었지만 그러지못했고, 아빠랑 같이 하고 싶었던 순간들마다 아빠가 그토록 좋아했던 바둑에 밀려버렸던 기억을 떠올린다. 심장마비로 갑자기 떠나버린 아빠를 원망하면서도 아빠를 보고싶어하는 그리움은 남아있다. 웃음이 사라져버린 엄마를 볼때마다 조금씩 커가는 주노는 아빠의 영혼을 만나게 된다. 아빠는 바둑판앞에서 마음의 소리로 주노와 대화를 하기 시작하는데, 절대 배우지 않겠다던 바둑을 배우게 된다. 그리고 조금씩 아빠에 대한 마음이 열리기 시작한다. 

'바둑은 상대가 있지만, 꼭 상대를 이겨야만 하는 건 아니란다. 상대를 이기겠다는 욕심이 앞서면 반드시 무리수를 두게 되고, 그러다 보면 다 이긴 시합을 지는 수가 있단다. 상대방을 이기는 것보다 자기 자신을 이기는 게 더욱 어려운 거란다.' p136

바둑을 두며 침묵속에서 배우는 자기와의 싸움이 있기에 바둑의 묘한 매력을 느끼나보다. 아빠가 할아버지와 바둑을 두며 조금은 알것같다던 말을 주노는 바둑을 배우면서 느꼈을까. 연기처럼 사라져버린 아빠를 생각하며 슬픔이 꼭 아픈 상처가 아니라는 걸 알게된다.

열두살 주노가 아빠와의 긴 이별로 슬퍼할때 아빠가 그토록 좋아했던 바둑이 화해의 선물로 나온다. 원망과 그리움이 미처 슬픔으로 만들어지기전에 기가 죽어버린 주노가 마음의 문을 열지 못할때 아빠의 영혼은 다시 일어서게하는 힘찬 응원의 메시지가 아니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