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와 아들 대한민국을 걷다 - 아들과의 10년 걷기여행, 그 소통의 기록
박종관 지음 / 지와수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년... 참 긴 시간이다. 요즘처럼 빨리빨리를 서두르는 현재에서는... 그래서 아빠는 10년을 앞만보고 가지도 않고 옆도 둘러보고 한번에 다 가지도 않고 멈췄던 길을 돌아와서 다시 그 길에서 걷기를 한다. 그래서 오래 걸렸다. 고사리손이던 아이의 손은 10년이라는 시간이 흘러 아빠와 어깨를 나란히 할 만큼 컸고, 아빠와 아들이 남긴 세월의 흔적은 도장 찍듯이 한장 한장 책 한권에 담겨졌다.

 

참 아름다운 사진들로 가득한 책이다. 아이의 커가는 모습을 오직 사진만으로 채웠다면 마냥 아름답지는 않았을게다. 아이와 손을 잡고 야영을 하며 추위와 더위와 함께하고 함께 이야기하고 아이에게 들려주고 싶었던 이야기를 최대한 들려주려한 아빠의 사랑이 숨쉬기 때문이다.

 

살아가면서 아이들에게 어떤 모습의 부모로 남을것인가를 생각하게 한다. 일방적인 부모의 욕심이란 없고 아이의 눈높이에 맞는 의사소통이 필요하다는 것또한 걷기여행을 통해서 보여준다.

 

아빠와 아들은 필수, 엄마와 딸은 선택? 요즘처럼 세상 험한걸 보면 아빠의 세심한 배려와 엄마의 한결같은 그림자 역할이 가족의 따뜻함을 느끼게 하는 책이다.

 

춘천에서 시작된 걷기여행은 충청도를 지나서 전라도를 지나 부산까지 10년이라는 시간을 들였다. 자동차를 타면 대여섯시간이면 될 거리를 10년이라는 시간을 들이는 동안 다섯살 아들은 아빠와 베낭을 나눠멜 수 있는 아이로 자랐다.

 

여행은 마음과 마음이 가까워질 수 있는 참 좋은 연결고리다. 시간은 만들면 나는게 시간인데 참 시작이 힘들다. 그런면에서 진석이 아빠는 참 대단하시다.

 

아빠의 따뜻한 마음이 소로시 담겨있어서 읽는내내 즐거운 책이다. 마치 내가 베낭을 메고 춘천에서 부산까지 달려온 느낌마저 든다. 광안대교가 뒤로 보이는 곳에 가족이 모여서 찍은 사진이 처음 책장을 열때의 그 아이들이었던가 싶다.

 

아이에게 물려줄 것이 뭘까를 생각해본다. 편안하고 안락함. 경제적 안정. 이런 것들이 과연 우리 아이들에게 얼만큼의 행복을 줄 수 있을지 의문이다. 잘 키운다는 건 잘 모르겠지만 부모의 모습을 보고 자라는 아이들에게 부모의 노력과 땀은 분명 거름이 될 것이라고 본다. 그런의미에서 걷기여행은 꼭 도전해보고 싶은 여행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