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지 말아요, 티베트 - 히말라야 넘어 달라이라마를 만나다 맛있는 책읽기 6
정미자 지음, 박선미 그림 / 책먹는아이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불교를 믿는 나라, 그 옛날 일본에게서 자유롭지 못하던 우리 나라처럼, 중국의 그늘에서 자유롭지 못한 나라 티베트.
티베트의 아픈 현실을 들여다보고 있노라면 왠지 가슴아린 우리 선조들의 삶이 그려진다. 동화로 나온 이 책은 실제 사건을 배경으인물과 사건이 재구성되어 쓰여진 책이다. 설원으로 뒤덮힌 히말라야를 넘는 목숨을 건 탈출을 보면서 손에 땀이 쥐어진다. 영하의 온도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오로지 달라이라마가 있는 인도 다람살라에 가기 위해서 위험한 시도를 하는 티베트의 망명자들, 그리고 그들을 잡아들이려는 중국 공안들이 팽팽한 숨바꼭질을 한다.

다큐멘터리 기자인 아빠와 보건이는 우연히 히말라야 산을 넘게 되는데 그들과 합류하는 망명자들을 만난다. 말은 통하지 않지만 친구도 사귀고, 티베트의 현실을 들으면서 우리 역사와 많이 닮아 있다는 것도 느끼게 된다. 보건이는 오래전 잊었던 친구를 닮은 아이, 잠양과 친해지는데 말은 통하지 않아도 몸짓언어로 가까워진다. 

동굴안에서 잠을자고 어두워지면 길을 가는 초펠가이드와 그의 일행들은 동굴에서 외국인 기자를 만나게 된다. 그 외국인 기자는 나중에 중국 공안이 쏜 총에 맞아 죽어가는 망명자를 그대로 카메라에 담아 세상에 알리게 된다. 추위와 공포를 이기며 오로지 자유로운 티베트를 꿈꾸며 떠나는 망명자들의 꿋꿋한 정신에서 우리의 독립운동가들의 모습이 겹쳐진다. 탈출을 시도하다 잡혀가 모진 고문을 버티면서도 독립을 원하는 그들의 의지를 누가 꺾을수 있을까.

티베트의 문화와 역사가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는 걸 안 달라이라마가 히말라야를 넘어 인도 다람살라에 세운 망명정부는 많은 티베트인들이 히말라야를 넘는 이유가 된다. 티베트인들이 존경하는 달라이라마가 있기 때문이다. 

차마고도로 티비에서 보았던 나라, 아름다운 문화와 역사를 자랑하는 티베트가 지금은 위기에 처해 있다는 걸 보면서 가슴아팠고, 자라나는 아이들의 미래를 독립된 국가에서 맞이하기를 바라는 마음도 더해진다. 티베트를 다시 한번 알게 된 기회가 된 동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