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위로 읽는 세상
김일선 지음 / 김영사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세상에는 무수히 많은 단위가 존재한다. 이 단위들은 우리 눈에는 잘 보이지 않는 것까지 세분화하여 우리에게 수치로 부여주고 또한 우리에게 너무 크고 넓어 다가오지 않는 물리적 존재들을 느낄 수 있게 만들어주기도 한다. 이름도 독특한 무수히 많은 단위들은 누가 어떻게 언제 만들었을까? 궁금했던 적이 많았다. 특히 학창시절 수학이나 과학과목에서 단위를 쓰지 않아 아깝게 틀렸던 경험을 가진 사람이라면 더욱 더 단위가 주는 집요한 이미지로 각인되었을지도 모른다.

이번에 읽은 '단위로 읽는 세상'의 저자 김일선 역시 단위를 쓰지 않아 0점을 받은 악몽과도 같은 추억이 있었다고 고백한다. 그런 뼈아픈 기억을 가진 그가 단위와 관련된 책을 쓸줄 그당시는 상상조차 못했을 것이다. 단위는 스스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숫자와 결합해 객관적인 의미를 가진 표현이 된다. 비단 단위는 인간 사이에서만 유용한 것을 넘어서 인간이 자연과 맺는 관계까지도 그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즉 인간이 자연을 바라보는 창문과도 같은 객관적 의미를 부여하는 도구가 바로 단위다.

단위는 '길이,무게,수효,시간 따위의 수량을 수치로 나타낼 때 기초가 되는 일정한 기준'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진다. 즉 물리량을 수치로 표현할 때 쓰이는 기준으로 정교함과 논리적, 과학적인 특징을 가져야 한다. 단위는 이해하기 쉽고 사용하기 쉽고 용도에 맞아야 하며 고자잉 잘 나지 않아야 한다는 조건들을 충족시켜야 한다.

미터법과 야드파운드법은 정치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프랑스 출신의 미터법과 영국 출신의 야드파운드법은 전통적으로 치열한 대립과 경쟁의 역사를 가졌던 두 나라의 역사 속에서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있다.

책에서 다이아몬드의 단위인 캐럿의 유래에 대해 알 수 있었는데 놀랍게도 캐럿은 캐럽carob나무의 씨앗에서 유래한 것으로 부피가 아닌 무게의 단위이다. 즉 1캐럿은 0.2g으로 캐럿이 커질수록 무게도 무거워지는 것이다. 금 역시 발음은 똑같은 karat이라는 단위를 쓰는데, 이것은 금을 합금으로 만들 때 금의 포함 비율을 말하는 단위다. 24k는 순금이고 18k금은 18/24이므로 75%의 순수한 금의 비율을 말한다. 


대상을 바라보는 잣대인 단위에 대해 여러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던 독서의 시간이었다. 끝으로 많은 사람들이 실수를 범하는 단위표기법에 대해 정리해본다.

100 % : 숫자와 %사이는 띄어쓴다. 퍼센트나 프로라는 이름을 단위 기호로 쓰지 않는다
100 L : 리터는 항상 대문자로 표기한다
100 m : 숫자와 단위 기호 사이는 한 칸 띄어 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