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조선반역실록 - 12개의 반역 사건으로 읽는 새로운 조선사
박영규 지음 / 김영사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는 이분법적 사고에 기반하여 이긴 자와 반역자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긴 자의 이야기만 들을 수 있고 그들이 옳다고 여기는 것에 익숙해질수도 있다. 그래서 반역을 저지르면 그 행동의 정당성을 따지기도 전에 악인 취급을 받게 된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악인이라 여겨졌던 반역자들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어 또 다른 진실찾기가 얼마나 흥미진진한지를 깨닫게 해준다.

반역의 그늘에 가려져 정당성이 보이지 않았던 역사적 이야기들 가운데  반역을 위한 반역 사건, 대의를 위한 어쩔 수 없는 반역까지 반역의 종류도 다양했다. 그러나 그들의 공통점은 하나였다. 바로 '시대를 부정하고 다른 시대를 꿈꾸었던 것'이다. 조선왕조 500년을 되돌아볼때 최고 권력에 맞서서 목숨을 내걸고 힘을 모았던 12개의 반역이야기가 소개되는 이 책은 그런 면에서 우리가 그동안 알고 익숙하게 여겼던 반역의 패러다임을 바꿔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반역하면 빠질 수 없는 인물은 이성계이다. 이 책 역시 조선의 역사를 다루는데 있어 이성계의 반역으로 시작한다. 고려의 마지막 역적이었던 이성계와 아비의 역적이 되어 왕이 된 이방원, 단종을 내쫓고 왕이 된 수양대군, 남이, 정여립, 허균, 이괄 등 우리가 그동안 역사시간에 배웠던 굵직한 역사적 사건 속 등장인물이 이 책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반역은 피비린내 나는 죽음을 동반하고 모함과 시기, 분열과 싸움, 억울함과 누명이 교차하듯 벌어지다 종내는 한쪽편의 전멸로 끝이 난다. 그것이 왕이나  양반이던간에  구별도 없이 진행되는 것이 반역이기도 하다. 책 속엔 억울한 죽음들의 행렬이 보여진다. 죽어서도 눈감을 수 없을 만큼 치밀한 계략과 파렴치한  권모술수로 인해 죽임을 당한 무수한 학자, 장군, 임금, 신하들을 볼때마다 그들의 헛된 죽음이 안타깝기 그지 없다.

 

 

 

'의심이 역적을 낳고 역적이 또 다른 반역을 낳는다'는 말처럼 역사에 반역자로 남은 사람들의 구구절절한 이야기는 이미 역사에 묻히고 말았다. 반역자의 입장에서 기술한 역사 이야기를 읽다 보니 그동안 승자의 입장에서 씌여진 책들에 얼마나 많이 익숙했는가를 느낄 수 있었다.

 

 

 

순탄하게 왕위가 계승되는 것은 불가능했을까? 부모 자식간, 형제 간, 스승과 제자 간, 임금과 신하 간에 벌어지는 어처구니없는 반역이야기를 읽다보니 임금의 자리는 피의 퇴적물이요, 높은 벼슬은 파리 목숨이었다는 것에 동의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중에서도 이방원의 이야기는 아직도 충격을 안겨준다. 

"반역으로 용상을 차지한 그는 이제 반역으로 용상을 되찾으려는 아비를 상대로 다시 한번 피비린내 나는 일전을 벌야 했다"(p77)

어떤 사건을 대할때 절대적으로 하지 말아야 할 것은 한사람의 이야기만 들어서 그 사건을 파악하는 것이다. 반역이야기 역시 그렇다는 것을 이 책을 읽으며 더 깊이 느낄 수 있었다. 역사의 이면, 다면을 바라보며 더 풍성하게 그 이야기를 누리고 싶다면 어서 이 책을 펼쳐보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