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에 대한 거의 모든 지식 - 하 - 조선의 왕 이야기 한국사에 대한 거의 모든 지식
박문국 지음 / 소라주 / 2016년 1월
평점 :
품절




역사공부를 조금씩 진행해오면서 왕에 대한 이야기만 따로 엮어 알아보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왕 중에서도 우리에게 익숙한 조선의 왕들의 이야기를 접근해보면 거의 조선의 통사를 공부하는 효과와 함께 그 왕에 대한 인간적 교감까지 형성할 수 있을 것 같은 기대감이 있어서였다. 계획은 지지부진 잘 진행이 안되었고, 이슈와 사건 속에서 등장하는 왕들의 이야기만을 단편적으로 혹은 간헐적으로 접하면서 갈증은 더 커갔다. 그러던 중 만난 책이 바로 [조선의 왕 이야기]이다. 마치 내 속을 들여다본마냥 저자는 조선의 왕을 순서대로 이야기해주고 있다. 게다가 정치적 업적, 역사적 배경과 더불어 그의 인생사까지 다루고 있어 이 책을 읽으며 나는 조선 시대 왕들과 만날 수 있었고, 그들과 소통하는 것이 행복했다. 역사는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라, 현재의 나를 돌아보고,  과거에 존재하는 자를 이해하고,  그 사건이 왜 그렇게 일어나야만 했는지에 대해 진지하게 소통하는 작업이라는 것을 다시한번 독서를 통해 느꼈던 시간이었다.

 
책은 하권이기에 상권에서 다뤄진 왕들의 후속편으로 광해군부터 시작하여 조선의 마지막 황제인 순종까지 다룬다.


저자는 책을 통해 왕을 신화적 접근이 아닌 '조선이라는 사회의 소속원이며 시대를 반영하는 개체'로 서술하고 있다. 조선 500년의 역사를 통해 왕들은 균제와 균형을 이룬 왕들과 그렇지 못한 왕으로 구분이 되었다. 사극이나 영화를 통해 보여지는 왕들의 모습이 전부가 아니다. 각 왕들의 이야기는 그들을 인간적으로 만날 수 있었고, 역사속 중요도에 따라 이 왕은 잘난 왕, 저왕은 못난 왕이 아니었다. 왕이기에 누렸던 절대적 권력도 있었지만, 왕이기에 피할 수 없었던 운명은 쇠사슬이 되어 그들을 조여왔던 모습을 본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세종, 영조, 정조, 최근의 광해군에 이르기까지 이름만 들어도 역사책에서 나온 키워드를 줄줄 외워대던 것을 잊고 조명받지 못한 왕들에게 눈길을 돌렸다. 유악함 속의 결단을 보여준 왕 경종이 있었고, 세도 정치에 맞선 헌종이 있었다. 망국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던 순종도 역사에서 업적으로 순위를 매기는 것이 아닌 인간 그대로를 바라볼 수 있었다. 흔히들 강력한 카리스마를 가진 최고의 리더쉽을 자랑하는 지도자가 최고라고 손꼽지만 역사 속 왕들을 보면 왕이 혼자 잘나서 잘나간 왕은 별로 없었다. 왕들을 지켰던 충신과 권력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노력 등이 모두 그 왕을 만들었던 밑거름이 되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선의 왕 이야기는 역사 속 왕의 이야기를 통해 좀더 역사 속 사건들이 왜 그렇게 진행되었는지에 대한 고찰이 이뤄졌던 경험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