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잡지 않고 살아남은 생명은 없다 -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생명 이야기 아우름 1
최재천 지음 / 샘터사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손잡지 않고 살아남은 생명은 없다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생명 이야기



 알면 사랑하고 공생하고 공감한다.

그의 책을 읽고 나서 느낀 점을 한 문장으로 표현해보았다.

최재천 교수의 이야기 속에는 호모 심비우스가 등장한다. 그의 책에서 처음 접해본 이 단어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준다.

호모 심비우스란 '공생하는 인간'이라는 뜻이다.

환경 오염으로 지구가 망가져 가는 현실에서 공생이라는 단어만큼 중요한 것이 있을까?

인간 우월의 사상에서 빚어진 여러 결과들이 결국은 이렇게 우리를 위협하고 있다.

인간을 위해서라면 동물들이나 식물들이 희생당하는 것이 당연한 줄 알았던 시대가 있었다.

그런 어리석인 잘못을 저지른 인간에게 최재천 교수는 생명이라는 화소로 다양한 동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다시 공생이라는 것에 포커스를 맞추라고 당부한다.

그동안 잘 인정받지 못했던 생물학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알려 준다. 그 중요성 및 앞으로의 비젼 등에 대해  궁금했던 청소년들에겐 좋은 진로의 지침이 될 수 있겠다.


그가 주장하는 진화론, 특히 개미와 까치, 은행나무와 내가 모두 같은 DNA에서 나온 영속성이라는 것에는 동의하지 못하지만 모두가 손을 잡고 있고 손을 잡아야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것에는 격하게 동의한다.


 


생명은 모두 이어져 잇고 손잡아야 한다는 그의 말처럼 지구를 황폐화시키는 사람들의 손길이 멈추길 바란다.

공생이라는 것이 앞으로 우리 세대를 이끌어 나가는 중요한 키워드가 되야 할 것이다.

동물생태학이라는 것에 대해 그 덕분에 잘 알게 되었다. 그가 이룬 꿈을 향한 도전이 인상적이었고 따뜻한 마음으로 자신의 일에 열정을 가지고 임하는 것도 참 아름다와보인다.

어린 시절 동식물들과 놀았던 그의 시간들조차도 결코 헛되지 않았다는 것을 보며 우리 아이들에게도 그런 아름다운 시간들을 만들어 주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