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경 - 우리는 통일을 이룬 적이 있었다
손정미 지음 / 샘터사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왕경, 손정미 역사소설

 

 

역사소설은 잘 안 읽었던 내가 요 며칠 이 책과 동거동락을 하느라 다른 일을 잘하지 못했다.

작가 손정미는 이 책을 쓰기 위해 경주를 비롯해 고구려의 영토였던 백두산과 중국, 우루무치, 이란까지 답사를 하며 소설의 배경이 되는 곳을

둘러보았다. 그래서 그런지 이 책은 역사 속 이야기를 많이 담으려는 작가의 욕심이 군데 군데 보였다.

소설 속 이야기에 빠져 들다가도 또 어느 페이지를 넘기면 역사책을 읽는 듯 했다. 

 

 

 

주인공이 특이하다. 삼국통일이 되기 전 배경은 계림이다. 계림은 신라의 옛 이름으로 계림의 옛 수도였던 왕경이 바로 이 소설의 주 무대다.

황홀하고 눈부신 도시의 모습으로 묘사된 왕경, 거기서 계림인 김 유와 백제인 정 그리고 고구려인 진수의 얽힌 인연이 전개된다.

이렇게 삼국의 사람이 한 곳에 모여 이야기를 이뤄나간다는 설정이 매우 흥미로왔다.

나라는 다르지만 단군 아래 한 민족이었기에 그들은 이질적이지 않았다.

서로 엇갈리는 감정의 교차가 역사 이야기로 지루해질때쯤 그 지루함을 잊게 만드는 역할을 하였다.


 

 

 

삼국통일 전 풍전등화 같았던 그 시기를 상상해보는 것만으로도 매우 의미있었다.

게다가 소설은 끝머리에 반전이라 할 수 있는 정의 실체를 드러낸다.

주인공 정은 소설 속에서 아름답고 당차며 이지적인 모습으로 나오기에 김 유와 진수의 가슴은 불타오른다.

 


 

 

 

 

진수의 삶에 대해서는 참 안타깝고 아까운 마음이다.

김유에 비해 너무 허무하게 무너지는 듯한 그의 삶이 그가 가진 것에 비해 너무 초라해보이기까지 하다.

작가는 오랜 시간 소설 집필하기 전 사전조사를 통해 모아놓은 자료를 소설의 군데 군데 튼튼한 성벽을 쌓듯 견고하게 만들어 갔다.

그래서 역사 속 이야기에 더 몰입해서 빠져 들 수 있었다.

 


 

 

 

책 마지막에 넣어준 왕경의 지도, 지도를 보니 계획도시인것 같은 깔끔하고 정돈된 도시의 모습이 그당시에 얼마나 아름다왔을 지 짐작할 수 있다.

부록같은 사진과 연표도 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상황이 삼국을 대치하게 만들었을 뿐이다.

그속에서 먹고 마시며 울고 웃는 사람들은 그저 사람일 뿐이다.

단군이라는 같은 뿌리를 가지고 있지 않은가." (p270)

 

 

이 책에서 우리가 주는 메시지는 바로 위의 문장이라는 생각이다. 이루어질 수 없는 세 남녀의 인연에 가슴이 먹먹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