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대를 위한 고전문학 사랑방 : 사랑편 - 2015 세종도서 선정도서 십대를 위한 고전문학 사랑방
박진형 지음 / 푸른지식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십대를 위한 고전문학 사랑방

 

국어쌤에게 배우는 사랑방 연애학 개론

 

 

 

 

 

빨간 표지만큼 달달한 사랑에 대한 고전문학만 모아 만들어진 책이다.

이 시대의 전기수를 꿈꾸는 현직 국어선생님의 책이라 더 기대가 생겼던 책, 선생님은 요즘 아이들에게 그 옛날 사랑 이야기를 어떤 식으로 이야기 해주실까?

 

고전문학이라면 따분해서 하품만 나온다던 아이들에게 만남, 고백, 연애, 위기, 결혼으로 테마를 정해 그와 관련된 고전문학을 옛날 이야기 들려주시듯 전개해나가는 구성이 독특하다.

교과서 속에서만 그 빛을 발하던 고전문학이 드디어 우리의 삶 속에 재미와 감동으로 다가오는 듯한 느낌이랄까?

 

책 속엔 열 다섯 편의 고전문학이 담겨 있는데 시험문제에 자주 등장하는 작품부터  처음 들어본 이야기까지 사랑에 대한 고전문학의 진수들이 다 담겨져 있다. 여기에 소개되는 고전문학은 애뜻하고 뜨거운 사랑이 녹아있는 것들이라 참 읽기도 재미나다.

더욱 놀라운 건 그 당시에 이렇게 파격적이고 기이하면서도 애절한 사랑 이야기가 회자되고 유행되었다는 사실이 더 놀랍고 신기하다.

지금 읽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스펙터클하고 기이하며 아련한 사랑 이야기, 거기에 일부 다처제가 주는 폐단과 시기, 질투는 극의 절정을 달하게 해주는 양념과도 같다고 할까?

 

고전문학이라고 하니 나도 모르게 하이라이터 들고 밑줄 그으며 읽었던 책이다. 시대 정신과 사회의식들이 점철된 문학 작품들은 그 줄거리가 주는 재미를 넘어서 한 번 더 사회적 문제를 인식하고 더듬어보는 기회를 주는 것이다.

이렇게만 읽는다면 고전문학이 어렵고 지루하다고 말할 학생들이 없을 것이다.  때론 너무 애절한 사랑 이야기에 가슴이 미어지고 이루워질 수 없는 사랑의 줄다리기를 끌어주고 싶을 만큼 애처로운 이야기들도 많다. 한편으론 첩 제도로 인해 생겼던 여러 사회 문제들을 보면서 조선시대에 태어나지 않음에 새삼 감사하기도 한 그런 맘까지 들 정도니 말이다.

 

책은 선생님과 학생들이 주고 받는 대화로 구성되어 지고,  5개의 주제로 나눠진 고전문학의 줄거리를 소해해주고 마지막에는 그 문학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요약 설명으로 끝을 맺는다.

 

이 책에서 처음 접해 본 [홍계월전]은 그 시대에 이런 이야기들이 회자되었다는 것이 참 신기하다. 주인공 계월이가 남장으로 살아온 과정, 그리고 보국과 결혼하기까지 그 모든 여정이 상상만으로도 부족한 그 무언가가 느껴지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남존여비사상의 팽배로 인한 튕김 현상이 문학에까지 뻗쳐 나가 이렇게 극단적인 스토리가 만들어 지지 않았을까?

오랜만에 고전문학에 심취하여 선생님께 옛날 이야기 듣듯 재미나게 이야기 속 여행을 떠났던 며칠이 참 즐거운 시간으로 기억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