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터 2014.12
샘터 편집부 엮음 / 샘터사(잡지) / 2014년 11월
평점 :
품절


12월 맺음달 샘터 이야기

 

 

 

 

 

 

 

 

12월 한 해의 끝을 맺는 그 달의 이름도 맺음달,

12월호 샘터에는 어떤 이야기들이 들어 있을까?

눈이 펑펑 내리는 곳에 아주 큰 선물박스가 주인을 기다리고 있는 보기만 해도 설레는 표지그림으로 우리를 맞이한다.

 

 

발행인 김성구님의 글로 시작되는 샘터는 그의 말처럼

' 2014년 올해의 나이테는 눈물 자국이 굵고 깊게 그려져 있을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도 사회적으로도 참 많은 일들이 있었던 해이다.

 

 

이 달에 만난 사람 코너에서는 궁금했었던 사람 아트센터 나비 노소영 관장과의 인터뷰 내용을 볼 수 있었다.

국내 대기업 총수의 부인이자 전 노태우 대통령의 딸인 그녀는 본인의 이름앞에 여러 엄청난 수식어가 붙는 그런 부담스러운 사람이었다.

사람들에게 매몰차게 군 적이 많았던 순간을 생각하며 지금은 많이 미안하다는 그녀.

궁금했던 그녀의 소식을 들어 보았다.

 

 

재밌게 보는 코너인 할머니의 부엌 수업에서는 오리고기 삼색 무쌈이라는 이쁘고도 멋스러운 요리가 선보인다.

연어 샐러드도 참 먹음직스럽다. 할머니들의 삶의 지혜를 들여다 볼 수 있으며 그들의 사는 냄새까지 맡을 수 있어 즐겨 읽는 꼭지이다.

이번 호의 주인공인 김종순 할머니의 요리도 따라해보고 싶다.

 

 자수의 매력을 발견하였던 차에 반가운 페이지를 만났다.

용담을 멋지게 수놓은 사진 앞에 눈길이 멈춘다.

용담은 전국의 산과 들에서 자라는 야생화로 보라색 빛깔이 아주 아름답단다.

사진인듯 그림인것 같지만 자수로 놓은 작품이다.

 

나희덕의산책 코너에서는 올 해 전시로 잘 알려진 쿠사마 야요이의 이야기를 본다.

일본 설치 미술가인 야요이는 40년 동안 정신질환을 앓고서도 작품 활동을 계속해왔으며 심지어 병적인 것을 예술로 승화시킨 점에서

많은 관심과 찬사를 받는다. 유년 시절에 시작된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예술을 추구했던 그녀의 기구한 삶은 점이라는 것으로 표현되어졌고

그녀 덕에 우리도 사물에 점을 찍으며 마음껏 상상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더랬다.

 

초상화 박물관 코너에서 만난 요하네스 베르메르는 참 반가운 화가이다. 근래 그의 작품을 재조명하면서 그의 가치를 알아보게 되었고 그의 그림에 빠져 있기에 더욱 더 그렇다. 그의 작품 중 소개된 것은 [편지를 쓰는 숙녀]인데 그 그림속 모델이 그의 아내가 아닐까라는 추측을 한다. 베르메르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는 것이 없어 확실치 않지만 여러 정황 상 그럴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있다.

묘한 표정의 그녀와 노란 상의가 잘 어울리는 그림이다.

 

12월 샘터에는 한 해를 끝맺음하는 아쉬움도 있지만 더불어 새해에 대한 소망과 기대 또한 남겨 놓게 한다.

더 늦기전에 올 해의 마무리를 잘하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