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근 교수의 동양고전이 뭐길래? - 한 권으로 시작하는 동양고전 핵심 명저 25
신정근 지음 / 동아시아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신정근 교수의 동양고전이 뭐길래?

 

한권으로 시작하는 동양고전 핵심 명저 25

 

 

 

 

 

 

 

 

신정근 교수는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의 저자이다. 사실 이 책을 아직 읽지는 못했지만 나의 독서리스트에는 올라간 책이다.

논어를 읽어야 할 나이인 마흔이라는 제목이 와닿았다. 그런 그의 신작 동양고전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나름의 정리로 한 권에 담아냈다.

사실 고전이라고 하면 너무 묵직하고 따분한 무게감이 느껴지는 것이 사실이었다. 그래서 쉽게 읽혀지지 않는 책이라고 스스로 평가하고 나중에 나중에로 미루기만 했더랬다. 그런데 이제 더이상 미루기가 민망한 나이가 되어버렸다. 요즘 아이들은 시험을 위해 고전을 읽기까지 하는 현실에 더이상 무게나 깊이탓만 하기엔 내 나이가 너무 들은 것 같다.

그래서 그의 책을 펼쳤다. 그도 대중이 느끼는 고전에 대한 무게를 알고 있었다. 서문의 제목이 딱이다.

' 고전의 높이를 낮추고 무게를 줄여서 대등한 지평에서 만나자'

책은 다양한 고전의 이야기들을 저자의 풀이와 함께 소개한다. 그래서 굳이 처음부터 읽을 필요도 없다. 그냥 읽고 싶은 부분부터 읽어도 무방하다.

이 책에서는 동양 고전 25권을 팔경, 오서, 십이자로 나눠 소개한다.

첫 책으로 등장하는 주역, 이미 우리의 삶속에 주역만큼 자리잡은 고전도 없으리라 생각해보며 주역의 의미를 이해하려 읽어본다.

'주역은 유가의 자력구원설에다, 사람에게 내재된 불확실성으로 인한 불안과 공표 그리고 광기를 억제하는 힘을 실어주었다.'

서경은 성왕들이 세계를 다스리며 했던 말과 행동을 보여 준다.

옛부터 우리의 학자들 역시 중국의 고전을 읽고 그것이 주는 의미를 해석하는 일에 몰두했는데 정약용은 [서경]의 진본이 무엇인지에 대해

판명하는 일에 열심을 내어 인용문의 '영'자가 '경'자가 되야  함을 설명하며 서경의 위작설을 주장했다.

효경은 사람들에게 윤리의식을 보여 준다.

책의 내용은 쉽지 않다. 중국 고전에 문외한인 나에겐 적어도 아직까진 많이 어렵다.

역사와 철학, 그리고 중국의 문화까지 잘 알고 있어야 더 쉽게 이해가 될 수 있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꼭 읽어야 할 내용임에는 동의한다.

그래서 꾸준히 열심히 읽어야겠다.

저자의 말처럼 이 책은 중국 고대의 사상사이자 고대 철학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시도라는 점에서 고대의 사상을 읽고 어떻게 현재의 나에게

또는 시대에 접목시켜야 할 지 고민해보는 몫을 남겨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