껌 좀 떼지 뭐 - 제3회 정채봉 문학상 대상 수상작
양인자 지음, 박정인 그림 / 샘터사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3회 정채봉 문학상 대상 수상작

[껌 좀 떼지 뭐]

 

정채봉 문학상 수상작인 [껌 좀 떼지 뭐] 에는 총 4편의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그 중 첫번째 이야기는 책 제목인 [껌 좀 떼지 뭐]이다.

5학년인 미나는 풍선껌 씹는 것을 너무나 좋아하는데 껌을 씹다가 그만 교장선생님께 걸리고 만다.

유독 깔끔한 것을 좋아하시는 교장선생님께 걸렸으니 미나의 고생은 시작이 된다.

벌로 내려진 것은 복도와 바깥 청소이다. 청소를 하면서 껌도 떼고 쓰레기를 줍는 일을 하는데 이 일에서

 

벗어나려면 두 명의 껌 씹는 아이를 붙잡아와야 한다.

그런데 그게 쉽지가 않다. 다른 아이들이 껌 씹는 것을 포착해서 교장선생님께 데리고 가는 일이 말이다.

껌 씹는 아이들을 잡았다 해도 데려가는 일은 상당한 스트레스가 동반된다.

미나는 여러 번 시도를 하다가 결국 실패를 하고 만다.

오히려 청소하는 것보다 껌 씹는 애를 잡아야 하는 일이 더 쉽지 않고 더 스트레스가 쌓이는 일이라는 것

 

을 알게 된다.

미나가 최종적으로 선택한 것은 너무나 멋져 정말 어른보다 낫다라는 말이 나온다.

교장 선생님의 너무 지나친 벌에 대항하는 미나의 모습이 오히려 더 성숙한 모습이니 아이들에게 어른이 배워야 할 부분이다.

 


 

[너희를 위해서 그러는 거야]에서도 미나의 이야기에 등장하는 교장선생님과 비슷한 선생님이 등장한

 

다.

명섭이네 반 선생님은 조용하고 깨끗한 교실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시는 선생님이시다.

선생님은 새학년 새학기에 들어서며 '기본 바로 세우기'를 강조하셨다.

항상 말끝마다 "다 너희를 위해서 그러는 거야'를 말씀하시는 선생님,

선생님은 쉬는 시간조차도 아이들이 흐트러지거나 떠들지 못하게 하신다.

두루마리 휴지가 풀린 듯 길어지는 선생님의 잔소리에 아이들은 그만 입을 다물어버리고 만다.

토론 시간에도 아이들은 입을 꼬옥 다물고 만다.

 

아이들의 주변에서 일어날 수 있는 크고 작은 사건들이 아이들의 시각에서 이야기 되어지니 어른들의 잔

 

소리와 규칙, 규율에 대한 강조까지도 얼마나 조심해야 하고 신중해야 하는지 이야기를 읽어보며 느낀

 

다. 다 아이들이 잘되길 위해 하는 행동임에도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내용의 포인트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주지해야 할것이다.

아이도 나도 재미나게 잘 읽어본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