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레바퀴 아래서 사계절 1318 문고 91
헤르만 헤세 지음, 박종대 옮김 / 사계절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며칠동안 오랜시간을 [수레바퀴 아래서]를 읽고 생각을 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어릴적 제목이 주는 인상이 하도 강해서 읽기를 여러 번 했었는데 끝까지 읽지 못했던 책 중에 하나가 바로 이 책이다.

다시 읽어보니 그때 그 고비를 넘기지 못했던 이유를 알겠다. 주인공의 감정 묘사에 치중한 부분이 유독 길었던 부분들이 진도를 나가기 쉽지 않았던 부분이었다. 그것 역시 헤르만 헤세의 특징이라면 특징이다. 섬세한 묘사와 감정의 드러냄, 배경의 디테일한 설명들이 호흡이 짧은 청소년들에겐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작품은 질풍노도의 청소년기를 겪는 주인공의 심리묘사가 탁월하고 주변인물의 현실감있는 터치도 손꼽을 수 있는 장점이기도 하다.

주인공 한스 기벤라트는 어쩜 부모들이 원하는 모습을 지닌 아이였다.

순종적이고 공부 잘하고 똑똑하며 주어진 일들을 책임감 있게 잘하는 아이, 부수적인 것에 신경을 잘 쓰지 않는 아이가 바로 한스였다.

좋은 가정환경도 아니었고, 어머니의 부재라는 환경이 주는 영향도 컸을 텐데 한스는 아버지의 기대에 부흥해서 잘 자라났다.

마을의 우상이 될만큼 공부와 품행에 있어서 어른들의 기대주였다.

들어가기 어렵다는 신학교에 차석으로 입학한 한스,

학교만 들어가면 모든 고민과 문제가 해결될것만 같았다.

지금 우리 시대 중학생들은 특목고나 외고 , 자사고, 과고라는 목표가 전부라고 여기며 공부를 하는 모습과 한스가 살았던 그 시대도 다르지 않다.

좋은 학교의 진학이 그들의 목표이자 행복이었던 그 순간이 지나고 한스는 두통과 신경쇄약증에 힘들어하는 시간이 많아진다.

한스의 유일한 친구였던 하일너의 말

" 네가 지금 공부하는 게 날마다 먹고살려고 마지못해 일하는 날품팔이와 다른 게 뭐 있어? 넌 지금 좋아서 공부하는 게 아니라 선생님이나 너희 집 꼰대가 무서워서 공부하는  거라고! 대체 1등이나 2등을 한다고 뭐가 달라져? 나는 20등밖에 못 하지만 너희 같은 공부벌레보다 어리석지 않아."

 

그 옛날 한스가 살았던 그 시대도 먹고 살기 위해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공부만 해야했던 그런 소년들이 있었다. 세월은 겹겹이 흘렀지만 상황은 변하지 않는 삶의 모습이 지금도 한스와 같은 아이를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나무 꼭대기를 자르면 뿌리 근처에서 다시 새싹이 돋아나듯 한창 꽃필 나이에 병들고 시들어 버린 한 영혼도 이제 처음의 그 봄날 같은 시간과 예감으로 충만했던 어린 시절로 돌아갈 때가 많았다. 마치 거기서 새 희망을 찾고, 끊어진 삶의 끈을 다시 이을 수 있을 것처럼, 그러나 뿌리 근처에서 돋아난 싹은 아무리 허겁지겁 튼실하게 자라난다 해도 가짜 삶에 지나지 않기에 다시 올바른 나무로 자랄 수는 없는 법이다."(p182)

한스 기벤라트는 어린 시절 그가 꿈꿨던 것들을 해보지 못한 채 계속 아버지의 기대와 어른들의 강요로 그의 삶을 살아갔고 결국 그것은 부적응으로 표출이 된다. 그 누구도 한스에게 어머니와 같은 존재가 되어주지 못했고, 한스는 격동적인 사춘기의 감정의 변화와 친구와의 우정, 사랑이라는 감정의 휘몰아치는 폭풍을 견디어내기에 많이 힘든 모습을 보여준다.

기계공으로 일하게 된 한스는 작업 현장에서 마딱뜨려지는 현실과의 충돌에 적잖은 충격을 받고 처음이자 마지막이 된 동료들과의 회식자리에 참석을 한다.

결말은 너무나 비극적이다. 자살을 상상하고 시도해보려 했던 한스였지만 술에 취해 몸을 가누지 못했던 한스의 마지막 모습이 이런 모습일줄은 상상을 할 수 없었다. 그래서 더 안타깝고 슬펐다. 인생의 수레바퀴에 깔려 버린 듯한 한스의 모습이 너무나 처절했다.

무슨 말로 아이들에게 격려를 해주어야 할까?

 "너의 의지대로 살아라, 중요한 건 너야, 그 누구도 네가 될 순 없어." 라고 말하고 싶다. 그 어떤 것도 고려하지 않은 채 이렇게 말할 수 있는 어른이 얼마나 될까? 조용히 자문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