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독립 협회는 해산되었을까? - 홍종우 vs 윤치호 ㅣ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 49
정명섭 지음, 고영미 그림 / 자음과모음 / 2012년 6월
평점 :
원고 홍종우는 독립협회가 후대가 알고 있는 것처럼 무능한 정부를 비판하고 외국의 침략에 맞서 싸웠지만
독립협회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이중적인 태도를 보인 점이 여럿이라고 하니
책을 통해 독립협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해산되어진 이유와
홍종우가 후손들이 독립협회에 대해 바로잡고자 하는 것들에 주목해보고자 한다.
그럼 먼저 원고인 홍종우는 누구인가? 그는 대한 제국의 관리로 상하이에서 김옥균을 암살한 자객으로 기억되고 있다.
피고 윤치호는 독립 협회를 세운 자이다.
1896년 설립된 조선 최초의 정치 단체인 독립 협회는 청나라 사신들을 맞이하던 영은문을 헐고 그 자리에 독립문을 세웠다.
모금한 돈으로 독립문 건립을 시작했고 독립신문을 한글과 영어로 발행했다. 외세에 휘둘리던 국가를 바로잡고 국민을 계몽하려는
역할을 한 독립협회는 또 다른 이면을 가지고 있었다.
독립협회에서 발행한 독립신문에 대해 읽어보니 이중적인 기관지였다는 주장이 눈에 띤다.
한글판에는 열강의 이권 침탈을 반대하고 이권을 양도하는 정부를 비판하지만 영문판에는 열강들의 자원 개발과 투자를 지지하는 모습이다.
또한 백성의 봉기인 의병들을 배척하는 논설을 하기도 했고 일본군의 철수를 요구하는 요청도 거절한다.
독립 협회는 많은 잘못을 저질렀지만 어쩌면 대한 제국의 마지막 희망이었을지도 모른다는 것이 책을 읽는 내내 아쉬움으로 자리잡는다.
독립협회의 해산은 여러가지 이유들이 뒤섞여 있었다. 정부에 의한 강제 해산, 독립협회 내부 급진파들의 과격한 행동, 그리고 러시아와 일본의 간섭이 결국 독립 협회의 해산이라는 결과를 낳은 것이다.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에서는 정부와 협력하지 못했고 무력 탄압을 종용한 일본과 러시아 공사에게도 간접적인 책임이 있다는 판결이다.
역사는 대부분 이면을 가지고 있다. 어느 방향에서 보느냐에 따라 양과 음의 성질이 바뀐다고나 할까? 그러므로 한 면에 치우지지 않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접근해봐야 하겠다. 그것이 진정으로 역사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자세가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