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미의 수학콘서트 플러스 - 개정판
박경미 지음 / 동아시아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학은 최고의 문학이자 철학이며 예술이다.'

박경미 교수의 베스트셀러 스토리텔링 수학

 

수학 콘서트 플러스

 

 

 

 

 

 

 

수학 콘서트에는 어떤 내용이 있을까?



 

목차를 살펴보니 챕터별 제목이 재밌다.

 

이론적인 내용이 쉽지는 않은 책이다.

수학을 좋아하는 청소년 이상에게 아주 좋은 책이다.

수학이 스토리텔링으로

우리에게 다시 개념 정리해야 하듯

이 책에는 다양한 내용의

수학 이야기가 예술, 스포츠, 문학 등 사회 전반에 걸쳐

그 내용을 가지고 등장한다.

 

 



 

<수학은 만물의 근원이다>

 

베컴의 등번호 23이 의미하는 내용은 무엇일까?

그냥 개인이 선호하는 번호였을까?

 

베컴은 2003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레알 마드리드로

옮긴 후 23번을 달았다.

그 후 LA 갤럭시로 이적할때도

23번을 고수,

수학적으로 23번을 조명해보면

숫자 23은

소수이고 소수는 1과 자기자신의 수로만

나누어 떨어지는 수이고

영어로는 Prime number이므로

중요한 숫자라는 의미란다.

 

 



 

 

<수학은 직관이다>

 

18세기를 대표하는 수학자 오일러는 기독교 신자이다.

러시아의 캐서린 여제는 오일러에게

신의 존재에 대해 프랑스의 계몽주의 철학자 디드로와

논쟁을 할 것을 요청한다.

오일러는 수학자답게

수학공식으로 신은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것은

아무 의미없는 문자들의 나열일뿐

수학적으로 설명하면 확실성이 보장된다는

실례를 보여주는 이야기.

 



 

 

<수학은 아름답다>

 

라파엘로의 프레스코벽화인 [아테네 학당]은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소크라테스, 피타고라스,유클리드 등

고대  그리스를 대표하는 54명의

학자가 그림 속에 등장한다.

그렇다면

갑자기 [아테네 학당]이 왜 수학책에 나왔을까?

그 이유는 바로 소실점이라는 개념때문이다.

 

'원근법에서 3차원 공간인 실세계에서

만나지 않는 평행선이

2차원 평면으로 표현된 그림에서는 만나도록 표현하는데

그 만나는 점을 소실점이라고 한다.

[아테네 학당]에서는 소실점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중간에 위치한다.'

(p123)

 


 

 

<수학으로 디자인한다>

 

기린의 얼룩무늬나 잠자리 날개에서 볼 수 있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은

구역 내에서 특정 지점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도록 면을

분할할때 활용된다.

또한 로봇이 장애물을 만나면

피해가도록 동선을 짤때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이

이용된다.

그러므로

자연의 패턴이라고 할 수 있다니

정말 이야기를 읽을수록 신기하고 대단하다.

 

수학의 여러가지 이론을

전혀 예상치 못한 곳에서

접목하여

설명해놓은 이 책은

쉽지 않아서 더

매력적인 그런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