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읽는 지식 키워드 DNA
데이비드 E. 던컨 지음, 김소정 옮김 / 황금부엉이 / 2013년 12월
평점 :
품절


책을 펴자마자 나오는 글귀에

내 속마음을 들킨양 속이 뜨금해진다.

 

" 사람들은 거의 대부분 과학자를

아주 나쁜 짓을 하는 사람으로 생각해버린다.

돈을 벌기 위해 혹은 프랑켄슈타인 같은 괴물을 창조하기 위해

장난을 치는 사람 정도로 말이다.

하지만 내가 알고 있는 과학자들은

모두 인류를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 사람들이다."

 

더글라스 멜튼(하버드대학 교수, 발생학자)

 

가장 인간적이고 인류애를 가져야할 직업군을 꼽자면 과학자일것이다.

유전학적 연구의 결과 난치병을 고칠 수 있도록 과학이 쓰여졌지만, 또 다른 의도로

괴물이 만들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토록 과학은 균형이 중요하다.

 

책에서는 유전학에 대해 저명있는 과학자 7명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프로메테우스로 비유되는 더글러스 멜튼 박사는 배아 줄기 세포를 연구한다. 그가 이 연구를 시작한 동기를 알게 되니 고개가 끄덕여진다. 그의 두 자녀는 제 1 당뇨병에 걸려 투병중이다. 그들을 위해 그는 과학자이기 전에 아빠로서 연구를 하는 셈이다. 멜튼 박사의 연구 과정 중 일련의 에피소드를 읽으며 그의 소신 및 태도에 대해 잘 이해할 수 있었다.

그의 말이 인상적이다.

" 어떤 일이 일어날지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미지의 세계가 두렵다는 이유로 새로운 시도를 전혀 하지 않는 사회에서 살아야 한다면 정말 못 견딜 겁니다. 위험에 대해서는 진지하게 생각해본 적이 별로 없기 때문에 앞으로 진지하게 생각해보려고 합니다. 왜 그런 실험을 하면 안 되는지를 말이죠."

 

이브라 칭해진 신시아 케년 박사는  한 개의 유전자를 억제함으로써 인간이 지닌 노화유전자 전체를 조절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전제하에 연구를 하고 있다.

하지만 그녀의 꿈을 그냥 야무진 꿈이라고 치부하는 사람들도 많다. 쥐에게는 가능하나 훨씬 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인간에게는 불가능하다는 이론이다.

그래도 그녀는 포기하지 않고 연구하고 있다.

 

7명의 과학자들이 연구하는 내용과 과학적 접근, 동기적 성찰, 결과적 분석 등을 비교적 어렵지 않게 다큐멘터리물을 보듯 써내려 간 글을 읽자니 왠지 과학적 접근 만으로도 업그레이드되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드는 것은 아마도 과학이 주는 힘일 것이다.

쟈니가 어렵다고 하겠지만  이 책을 읽으며 미래를 내다볼 줄 아는 시야를 확보하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