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의 고전 - 철학 고전을 이해하기 위한 길잡이
로베르트 짐머 지음, 이동희 옮김 / 문예출판사 / 2013년 9월
평점 :
절판


올 해 아이들과 함께 고전읽기를 하면서

의도적으로 철학에 대한 책도 많이 읽는다.

고전과 철학은 밀접한 영향을 주고 받기에

서로에 대해 잘 이해하면 둘 다 잘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다.

오늘 읽어본 책은 [철학의 고전]

청소년 권장도서이지만 쉽지만은 않다.

책의 목차를 들여다보면 위대한 고전을 모두 모아놓은 책이라 할 수 있다.

플라톤의 국가론, 몽테뉴의 에세, 파스칼의 팡세, 마르크스의 자본론 등

철학과 고전을 잘 모르는 사람일지라도 그 제목들은 익히 들어본 고전들이 빼곡한 설명과 함께 정리되어 있다.

책의 가장 첫번째로 등장하는 플라톤의 [국가론]에 대해 들여다보자.

[국가론]은 최초의 유토피아를 다룬 책이다.

국가론에서 플라톤이 말하고자했던 내용과 그 배경, 내용등이 작가의 차분하고 지적인 발언으로 잘 설명되어진다.

국가론의 특징은 무미건조한 논문이 아니라 탁월하게 묘사된 토론으로 이뤄진 작품이다. 플라톤은 자신과 친분이 있는 지인들을

등장시킨다. 

플라톤의 일생의 굵직한 사건들을 들여다보면서 왜 국가론이 탄생되었고 그 글이 어떤 의도와 목적을 가지고 씌였는지 자세하고 재미나게 설명해준다.

 

해설이 있는 철학고전 읽기는 철학에 대한 입문적 접근을 쉽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철학자의 삶과 그의 살아왔던 배경과 작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주석과 같은 설명을 읽다보면

철학 고전은 고리타분하고 읽기 난해하지만은 않다.

논술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요즘,

고전을 읽어야 뇌가 말랑거려 진정한 리더가 될 수 있고, 학술적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는

여러 사람들의 이야기가 단순히 사실인지 아닌지의 진위여부를 떠나 인류가 만들어낸 고전을 읽어본다는 시도 자체가

참 의미있고 위대한 도전이라는 생각이 든다.

물론 철학고전은 읽는데 많은 힘과 에너지가 필요하다.

쉽지 않다. 그러므로 길잡이를 해줄 수 있는 책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