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자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34
선자은 지음 / 자음과모음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상큼한 중학생이 주인공인 책, 아니 젤 무서운 중딩이 주인공이라면 더 공감을 얻을까.

질풍노도의 시기, 혼돈과 정체성간의 충돌로 힘들어하는 세대인 중학생 알음이와 소희, 율이, 나비의 이야기들이

에피소드로 쪼개져 계약자를 구성하며 흘러간다.

작가는 계약자를 통해 많은 메시지를 전달한다.

'보려는 대로 보이는 것이다'

'내 것이 될 수 없다면 남의 것도 될 수 없다.'

'혼자가 되어야 원하는 것을 얻는다.'

등 등의 메시지는 언뜻 이해가 되지 않기도 하지만

주인공 알음이가 해야 할 행동의 지침이 되어준다.

빈집에서 신을 부르는 행위를 하고 난 후

알음이에게 찾아온 거대한 검은 물체는

알음이와 계약이라는 것을 하게 되고

알음이가 원하는 것을 해주는 조건으로 그의 메시지에 순종한다.

헛것을 본 것일까, 아니면 정말 정체모를 존재인 것일까?

계약자는 책 제목보다 더하게 강한 인상으로 독자의 뇌리에 파고 든다.

점점 꼬리에 꼬리를 무는 사건의 전개.

삼각관계로 갈 것 같으면서도 옆으로 빠지며 다른 것에 포커스를 맞추는 플롯.

엄마와 아빠의 역할 부재는 사춘기 소녀 알음이의 정신세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게다가 아빠가 데려온 아이는 불씨가 되어 가정불화로 이어지고

알음이는 그 아이에 대한 적개심으로 불타오른다.

율의 존재가 밝혀지고

동경의 대상이었던 나비와 알음이의 일탈 행동은

어지러운 현실세계로부터의 탈출을 시도하는 어긋난 모습으로 표출되고

읽는 내내 계약자의 존재에 대한 미스테리가

마지막 페이지를 몇 장 남기지 않은 곳에서

밝혀진다.

 

'넌 나다, 나는 너다.'

 

그림을 통해 다시 세상과 소통할 수 있게 된 알음이, 엄마의 부재를 깨닫고 다시 엄마에게

그림을 보여주길 원하며 관게가 회복됨을 암시하며 책은 마무리를 짓는다.

어쩜 우리 모두는 자기 스스로와 계약자와 피계약자로 사는 지 모르겠다.

파기할 수 업는 계약에 사로잡힌 삶을

살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