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공화국 생물법정 10 - 미생물과 생명과학 과학공화국 법정 시리즈 48
정완상 지음 / 자음과모음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생물과 생명과학.

 

 

책의 첫머리에 등장하는 왕가려는 피부의 가려움증을 호소한다.

병원에서는 집먼지 진드기가 원인이라고 하고 집먼지 진드기는 미생물이라 하니 미생물은 뭘까?

미생물은 눈에 보이지 않는 단세포나 단세포 덩어리가 대부분이고 곰팡이나 버섯처럼 눈에 보이는 미생물도 있다.

이렇듯 우리 주변에는 각종 미생물이 살고 있고 우리가 인지하건 인지하지 못하건 미생물은 작고 크게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친다.

아토피가 극성인 현대에서 미생물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지고 그에 대처하는 여러가지 방안들이 나오고 있다.

뜨거운데서는 미생물이 살지 못할 거란 편견을 깬 미생물도 등장했다.

아케아는 최근에 발견된 미생물로 80도에서도 생존하고 염분 농도가 높은 곳에서도 살 수 있다고 한다.

아침 저녁 기온의 차이가 많은 요즘 감기환자가 늘어나고 있는데 감기의 원인인 바이러스도 미생물일까?

바이러스는 단백질로 이뤄진 막 안에 DNA나 RNA 등의 유전 물질만을 담고 있는 아주 작은 개체라고 한다.

그러나 바이러스는 스스로 증식할 수 없는 불완전한 생명체이다.

우리가 헬리코박터라고 자주 듣는 이것은 무엇일까?

헬리코박터는 위염과 위암을 일으키는 병원성 세균으로 몸은 나선형으로 꼬여있고 편모가 있어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헬리코박터를 죽일 수 있는 여러가지 유제품을 먹게 된다.

이 책에서는 다양한 미생물에 대해 소개해주며 특징을 알 수 있다.

 미생물로 인해 발생하는 병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충치와 세균, 무좀, 파리의 균, 감기, 여드름, 흰잎마른병 등 듣기만 해도 걱정되는 병명이다.

우선 충치는 연쇄상구균이 유발시키고 무좀균은 사람의 발에 사는 곰팡이로 인해 생기는 병이고, 기생충이 있는 파리에게 물리면 죽을 수도 있다고 하니 너무나 놀라운 사실이다.

그렇다면 모든 미생물은 안좋은 것일까?

그렇지 않다. 빵을 만드는 이스트, 치즈 속의 곰팡이, 변비를 없애주는 유산균, 발효로 만드는 좋은 음식들을 보면 미생물도 우리 삶에 좋은 용도로 쓰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생물에 관심이 많은 아이들에게 좋은 지침서가 되어줄 과학공화국 생물법정 시리즈 그 마지막 10권

다 읽고 나니 나도 생물학자가 된 듯 많은 지식을 얻은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