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잉카 제국은 멸망했을까? - 아타우알파 vs 프란시스코 피사로 역사공화국 세계사법정 29
정명섭 지음, 이남고 그림 / 자음과모음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들이 종종 엄마의 말문이 막힐만한 질문을 하곤 하는데, 그중에 하나가 잉카문명이었다.

어느날 아들은 잉카문명이 어느 나라에서 생겼냐는 질문을 했다.

갑자기 각종 문명이 머릿속에 또아리를 틀더니 결국 어느 나라라고 콕 찝어 말이 나오질 않았다.

벌써부터 이런 모습 보이면 안되는데...하며 집어든 역사곻화국 세계사법정 시리즈

'왜 잉카제국은 멸망했을까?'

잉카 제국은 안데스 산맥을 중심으로 칠레, 페루, 에콰도르와 볼리비아를 아우르는 대제국이었다고 한다.

잉카 제국의 특징은 발달된 도로망, 파발꾼, 체계적인 지방 행정 체계, 계단식 경작지 그리고 인공수로까지 대단한 문명적 특징을 가진다.에스파냐인에 의해 멸망된 그들은 결코 멸망할 것 같지 않은 대제국이었음이 더 미스테리하다.

그렇다면 어떻게 에스파냐인들에게 정복당했는지 자세히 살펴보자.

태양신의 후예라고 믿었던 잉카인들은 에스파냐인들이 처음 왔을때 비라코차라는 세상을 만든 신이라고 착각했다고 한다.

그러므로 처음엔 싸움조차 할 생각이 없었고, 그 이후 천연두의 확산으로 왕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죽어서 에스파냐의 침략에 힘없이 쓰러지고 말았다.아타우알파는 황금을 주면 자신을 풀어준다는 말에 나라 전체에서 황금을 모아 주었지만 결국 계략에 말려들고 만다.

그렇다면 역사공호국 세계사법정에서는 누구의 손을 들어주었을까?

개인적으로는 잉카제국의 손을 들어주고 싶었다. 그러나 세계사법정에서는 양측의 주장이 모두 타당성이 있다는 결말은 내린다.

 

에스파냐인들의 잉카 원주민 학대는 잘못된 행위라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다른 부족과의 교류가 없었던 잉카인들에게 에스파냐인들의 출현은 어떠했을까..

 

어릴적 보았던 문명이야기를 다룬 다큐가 떠오른다. 늘 정복자보다는 정복을 당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역사를 조망해봐야한다고 생각한다. 결과가 어떻게 진행되었던지간에 인간에 대한 학대나 멸시 행위는 시대를 초월한 보편타당한 가치에 위배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