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오버 - 국가, 기업에 이어 AI는 우리를 어떻게 지배하는가
데이비드 런시먼 지음, 조용빈 옮김 / 와이즈베리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작년과 마찬가지로 올해 가장 주목할 트렌드 키워드는 인공지능, AI다. 현대과학의 기술적 결과로 여겨졌던 AI가 사실은 300년 전부터 우리와 함께 했다는 흥미로운 사실이다. 국가, 기업의 지배가 로봇과도 유사해 그 관계의 재구성을 통해 더 자세히 들여다 볼 수 있는 책 [핸드오버]는 지금 이 순간도 삶의 곳곳에서 AI가 지배하는 삶의 담론을 담고 있다.

국가와 기업이 유기체와도 같다는 것은 많이 들어 알고 있었으나 AI와 같은 속성을 가졌다는 것은 새로운 발상으로 다가왔다. 국가와 기업은 긴 생명력으로 복제성과 인간이 감당할 수 없는 책임과 부담을 가지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는데 이것은 AI와도 비슷한 특성이다. 기업과 국가가 작동하는 것이 AI 알고리즘으로 설명할 수 있기에 AI가 지배할 세상 역시 내다보며 예측할 수 있다. 국가와 기업, 생각할 수 있는 AI 사이의 관계가 우리의 미래를 결정하기에 우리는 AI 간의 상호관계에 대해 자세히 알아야 하고 고민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검색 엔진은 우리의 공동 관심사를 통합하고 반영해 우리가 검색하는 것에 관한 답을 보여준다. 우리가 공통적으로 편견을 가지고 있다면, 그것이 마치 진실인 양 우리에게 다가올 것이다"

국가는 단순히 기계적인 허구가 아니며 우리 자신의 기계화된 버전이라고 말하는 이 책에서는 국가는 행동의 패턴을 형성하고, 이것으로 미래에 어떤 행동을 할지 결정한다고 하며 기업은 국가와 달리 자신의 운명을 결정할 능력은 없지만 주어진 의사결정권 안에서 버틸 수는 있다고 강조한다.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인류의 종말을 피하기 위한 내용이 등장한다. 핵무기, 기후 변화, 생물학적 재앙, 킬러 로봇으로 정리한 멸종의 원인이 새삼 무섭게 다가왔다. AI인 킬러 로봇은 지능형 기계가 인류보다 더 똑똑해지고 스스로를 향상시키고 복제할 결정을 내리게 되어 인류가 세계 질서의 중심적 위치를 잃게 될 것을 말하고 있다. 그렇게 된다면 인류는 다른 생물처럼 취약해질 것이다. AI는 무자비하고 수가 많아지며 초점 없는 눈에 전원 차단 스위치만 없으면 인류를 멸종시킬 수 있다. 우리는 인공 인격이 지배하는 세상에 살며 선택을 해야만 한다. 그 선택이 올바르지 않다면 인류에게 AI는 괴물이 될 것이다. 선택을 하는데 있어서 국가와 기업 그리고 인류가 촘촘한 기준과 세세한 가이드 라인으로 가장 중요한 가치를 지켜내야 할 것이다.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란다.

'국가와 기업이 지배하는 세계에
로봇이 진입하고 있다
이런 단체와 기관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로봇과 훨씬 더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미래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릴 때는
과거의 교훈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도서제공 #핸드오버 #데이비드런시먼 #와이즈베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