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초 인류 - 산만함의 시대, 우리의 뇌가 8초밖에 집중하지 못하는 이유
리사 이오띠 지음, 이소영 옮김 / 미래의창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우리는 잠깐의 시간이 주어지면, 무언가를 하지 않아도 되는 자유의 시간이 되면 어김없이 스마트폰을 꺼내 든다.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예외가 없다. 어색한 상황 속에서, 기다려야 하는 상황 속에서, 할 일 없을 때, 해야할 일이 있지만 하기 싫을 때 우리 모두는 작은 네모창 속으로 빠져 들어간다. 거의 예외없이 말이다. 이제는 그 연령도 범위가 넓어져 어느 한 세대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도 큰 특징이 되었다.


인지하던 안하던 간에 우리는 그렇게 8초 인류가 되었다. 8초 인류라니 생소하게 여겨진다면 이 책 [8초 인류]를 펼쳐보길 바란다. 다양하고 멋진 소셜 미디어들이 인류의 뇌를 어떻게 바꿔 놓고 있는지, 연결 중독과 연결 강박은 어떤 것인지 자세하게 들여다볼 수 있다. 프롤로그 속 수련회에 참여한 이 책의 저자 리사 이오띠의 경험은 특별한 듯 하지만 솔직하게 말하자면 나와 당신 모두의 모습을 닮았다고 할 수 있겠다. 스마트폰의 부재가 나에게 미치는 영향은 실로 크다. 불안장애를 보이며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기까지 하니 말이다.

스마트폰이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은 누구나 인정하는 사실이지만 스마트폰의 횡포를 막을 수 있는 것이 없다는 것엔 아마도 동의하지 않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스마트폰의 유용한 점을 더 높이 사는 사람들은 특히 더 할 것이다. 스마트폰 없이 더 이상 아무 것도 할 수 없게 된 인류를 우리는 이제 8초 인류라고 지정한다. 산만함의 멋진 표현인 멀티테스킹의 결과 우리는 관심을 기울일 수 있는 시간을 겨우 8초밖에 가지지 못하게 되었다. 8초 동안의 집중력으로 해야할 일을 하지 못하고 이해를 오해로, 소통을 불통으로 만들어 스스로를 고독과 침묵에 빠져 버리게 했다.



사실 책을 읽다가도 카톡 알림이나 문자 메시지 도착 알림에 주의력을 상실할 때가 예전보다 많아진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나의 집중력 시간을 측정해본 적이 없으니 그것이 겨우 8초밖에 되지 않는다는 수치적 결과는 가히 충격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좋아요의 노예까진 아니지만 신경을 많이 쓰는 것도 부인하지 못하겠고 집중력이 예전보단 떨어져 산만하다고 말하고 싶지 않지만 수긍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어 보니 인간이 무언가에 집중하는 단 8초라는 시간이 점점 더 줄어들 것이란 불안감도 함께 상승한다. 8초 인류의 비애가 이렇게 시작되는 것일까?


세상은 점점 디지털화되어 가면서 아이러니하게도 디지털 디톡스, 디지털 안식일, 디지털 금식 등 다양한 신종어들이 등장하는 시대다. 자신없다는 표현이 가장 솔직하겠다. 스마트폰 없이 하루를 보낼 수 있을까 싶을 정도로 모든 생활의 정중앙이 되어버린 작은 네모가 오늘따라 더욱 얄밉게 다가온다. 그런데 책의 마지막 대목에서 갑자기 뒷목이 서늘해졌다. 플랫폼이나 디지털 기기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은 이제 낙오자의 일이 되었고, 부자는 탄산음료를 덜 마시고 담배를 덜 피우듯 소셜 미디어를 버리고 이메일에 바로 답장하지 않고 최신 아이폰 모델로 무장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세상은 또 한번 바뀌는 중이다. 디지털과 함께



<미래의 창으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서평을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