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 AI와 통제 문제
스튜어트 러셀 지음, 이한음 옮김 / 김영사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즐겨보는 영화는 AI가 나오는 영화다. AI가 나오는 영화 대부분이 SF영화를 넘어 재난영화로 귀결되는 느낌이다. 우리에게 AI는 아직까지 두려운 존재여서 그런 걸까? 인공지능과 인류의 장기적 미래에 대해 관심이 많은 스튜어트 러셀의 신작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는 AI가 점점 인류의 세세한 영역에서 활약하고 있는 지금 이 시기에 점검해봐야할 내용들을 요약해서 설명해주고 있다.


'기계의 행동이 우리의 목적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는 한, 기계는 유익하다'는 주문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아주 많은 부분을 재구축해야 하며 인간과 기계가 새로운 관계를 맺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하는 이 책을 읽으며 많은 것들이 떠오르기도 했다. 2020년 겨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인공지능 시대 바람직한 인공지능 개발·활용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국가 인공지능 윤리기준」를 발표했다. 윤리는 이제 인공지능에게도 적용해야할 사항이 되었다.


우리 삶을 지배하는 AI 영역은 크게 자율주행차, 인공지능 개인비서, 스마트 홈과 가정용 로봇 등일 것이다. 아직은 실현 단계까지 가려면 요원한 것들도 있지만 곧 삶을 지배하고 인간과 공존할 것들이기에 관련 내용은 더욱 유심히 읽어볼 수 있었다. 가장 궁금했던 부분은 '초지능 AI'였다. '가장 열심히 일하는 연구자들은 금세기 중반에 인간 수준의 AI가 나올 것으로 예상하는 듯하다' 저자 스튜어트 러셀은 언제라고 확신있게 말하진 않는다. '초지능에 다다르려면, 단 하나가 아니라 몇 개의 주요 돌파구가 만들어져야 할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영화에서처럼 초지능은 신과 같은 능력을 가진 존재일까? 현재뿐 아니라 미래에 관해서도 완벽한 지식을 갖출 것이라는 것은 근거 없는 믿음이라고 단언하는 저자는 '현재 세계에는 미래의 이로운 지적 기계와 우리가 맺을 관계를 유추하여 판단할 만한 것이 전혀 없다'는 것을 책을 통해 강조하고 있다.


어느 시점인가?, 어느 정도 능력을 가지는가? 어떤 모습일까? 무슨 문제들이 발생할까? 얼마나 편리한 삶을 살게 될까? 등 AI를 떠올리면 질문부터 터져 나오게 된다. 두려우면서도 기다리는 존재, 기대하면서도 부정적인 부분을 부각하는 감정이 교차하는 듯 하다.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는 AI에 대해 폭넓게 사유하게 해 준 책이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