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게이츠,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 - 우리가 가진 솔루션과 우리에게 필요한 돌파구
빌 게이츠 지음, 김민주.이엽 옮김 / 김영사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5년 파리에서 열린 UN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COP21이 열린 이후, 세계 각국의 정상들은 더이상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바라만 보고 있지 않기로 협약을 이뤄냈다. 205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제로로 만들겠다는 약속을 했는데, 이제 10년도 안 남은 시간이 우리 앞에 남겨졌다. 과연 우리는 탄소 배출량을 제로로 만들 수 있을까?

우리의 일상 속 거의 대부분의 영역에서 탄소가 배출되기에 배출되는 탄소의 양을 줄이는 것은 생각만큼, 기대하는 것보다 더 어렵고 요원하기만 하다. 그러나 지금 우리가 처한 상황은 탄소 배출을 줄여야 하나 마나를 논할 단계는 이미 지나갔다. 줄이는 게 아닌 제로로 만들어야 인류가 지구라는 공간 안에서 살 수 있을 정도의 수준이 된 것이다. 누구보다 탄소 발자국의 양이 어마어마한 세계적인 갑부이자 CEO인 빌 게이츠가 지구를 지키기 위한 환경 문제에 뛰어든 것은 이미 오래 전 일이다. 급기야 그는 전문가들로부터 듣고 보고 배운 내용을 통해 본인과 게이츠 재단이 해온 일을 이 책 [빌 게이츠,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에서 소개하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로 온 세계가 힘겨운 전쟁을 벌였던 작년, 빌 게이츠가 강연을 통해 코로나를 예측한 것이 맞아 떨어졌다며 그의 예지력에 놀람을 감추지 못하는 언론의 보도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빌 게이츠의 예지력에 의해 미래를 점 친 것이 아니었다. 환경 문제에 앞장 서서 알아가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예측할 수 있는 미래의 한 부분이 바이러스였고, 그것을 빌 게이츠가 환경 보호를 이야기하며 언급했던 것이다. 전문가는 아니지만 열심히 공부하고 현장에서 목격하고 느끼면서 터득한 그의 환경 이야기는 책에서 이해하기 쉽고 알아듣기 편하게 전개되고 있다.


빌 게이츠는 '코로나바이러스를 퇴치하는 데 새로운 치료법과 백신이 필요하듯,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데도 새로운 도구가 필요하다. 즉 탄소를 배출하지 않고도 전기와 물건을 만들고, 음식을 재배하며, 건물을 시원하고 따뜻하게 유지하고사람과 물건이 전 세계를 움직일 수 있는 새로운 방식'에 대해 우리 모두 고민하고 만들어 가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혹자는 탄소 배출을 제로로 만드는 것이 너무나 피곤하고 어려우며 지금까지 생활해온 습관을 바꾸기 귀찮고 번거롭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 일을 인류가 해낼 수 없을 것이라 단정지을 수도 있겠다. 솔직히 쉬운 일은 아니지만 역사를 되돌아 보건대 , 실패로부터 배운 교훈을 다음 도전에 활용하는 것 역시 우리 모두가 해왔던 것이기에 이 일에 인류 전체가 책임감을 가지고 이뤄 내야 함에 동의한다.


우리가 대기권에 배출하는 모든 탄소는 온실효과를 가중시키기에 좀 더 체계적이고 원칙에 입각하여 이 문제를 접근해야함을 깨닫는다. 빌 게이츠는 국제간 협력, 과학이 뒷받침된 노력,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것의 충족.  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일을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앞으로 10년 동안 우리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를 없앨 수 있는 기술, 정책, 시장 구조를 만드는 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이미 시작된 카운트다운에 더이상 미룰 수 없는 숙제를 맡았다고 생각하며 우리가 가진 솔루션을 통해 돌파구를 찾아내야 한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