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꽃같이 돌아오면 좋겠다 - 7년간 100여 명의 치매 환자를 떠나보내며 생의 끝에서 배운 것들
고재욱 지음, 박정은 그림 / 웅진지식하우스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변에 치매라는 병으로 고통을 받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얼마 전 TV에서 마주한 어느 부부는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 운동도 하고 구구단도 외우고 손근육을 이용한 다양한 활동을 하는 모습이었다. 기억이라는 소중한 것을 잃어가는 치매는 가장 사랑하는 사람조차 알아보지 못하는 슬픔을 간직한 병이다. 이러한 치매 노인들의 삶을 놓치지 않고 기록해 우리에게 알려준 이는 현직 요양보호사 고재욱 작가다.

그는 사업의 실패를 경험하며 인생을 포기했던 적이 있었다. 노숙인 쉼터에서 지내며 봉사활동을 했던 인연은 그의 현재 직업으로까지 이어졌고 쓸쓸한 치매 노인의 마지막을 함께 손잡아주는 소명을 안겨 주었다. 요양원에서 일하는 것은 육체적으로 또 정신적으로 녹록치 않았을 것이다. 모든 것을 다 옆에서 해결해줘야 하는 치매 환자들이기 때문이며 의사소통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환자도 있어 안타까운 일들이 많기 때문이다. 어느 곳보다 이 세상을 떠나는 노인들의 모습을 자주 보게 되는 것도 쉽진 않을 것이다.

7년 동안 100여 명의 치매 환자의 마지막 삶의 모습을 지켜본 저자는 다양한 삶을 살아온 그들의 죽음 앞에 현재의 우리의 삶을 되돌아보게 하고 마음가짐을 정돈하게 해준다. 브런치에 기록한 이들의 한 명 한 명의 사연 덕분에 선명하고 생생하게 어르신들의 삶에 개입할 수 있었다. 때론 안타깝고 속상하고 애타는 죽음이기도 했고, 허무하고 슬프고 덧없기도 했다.

성모 마리아상 앞에서 108배를 드리던 할머니, 백발백중은 사람을 안 맞추는 것임을 알게 해준 진정한 사격수 할아버지, 100세가 넘은 할머니의 연세를 함부로 말하는 것이 실례임을 알려주는 이야기, 다시는 손을 들고 용변 본 것을 표하지 않았던 할아버지의 사연, 오지 않는 아들을 기다리는 할아버지, 딸조차 누군지 모르는 할머니 등 그 어느 것 하나 마음에 남지 않는 이야기가 없다.

우리나라의 70만 명이나 되는 치매 환자는 계속 그 숫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누구도 치매라는 병에서 자유로울 수 없으며 현대사회가 고도화될수록 더욱 만연해지는 질병이 되었다. 노인이 아니더라도 치매는 불청객처럼 찾아올 수 있으며 아직까지 치료약이 없어 완치가 되지 않는다. 가족과 함께 할 수 없는 질병이기도 해서 대부분 요양원 신세를 지기도 한다. 그들의 곁은 가족이 아닌 요양보호사들이 있다. 손과 발이 되어주고 때론 가족이 되어 주기도 하며 친구가 되어 주기도 하는 요양보호사들이다.

요양원에서의 일상과 요양보호사가 어떤 일들을 하고 있는지 책에서는 치매 환자의 이야기와 더불어 함께 소개되고 있다. 생의 마지막을 기다리는 이들의 이야기이기에 마냥 슬프고 가슴 아플 줄만 알았다. 50가지 이야기가 모두 드라마처럼 소설처럼 다가왔지만 그럼에도 이들의 삶을 통해 누구나 맞이하는 생의 마지막 순간을 위해 어떻게 살아야 할 지, 무엇이 소중한 지, 인간이라면 간과하지 말하야 할 것들에 대해 깨닫는 무언가가 있었다. 삶의 마지막에서 우리가 가질 수 있는 건 돈도 아니요, 명예도 아니며 지위도 아니었다. 사랑의 감정을 내일로 미루지 말고 희망을 꿈꾸며 진정한 행복이 무엇인지를 아주 진하게 스스로 자문하게 해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