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예측, 부의 미래 - 세계 석학 5인이 말하는 기술·자본·문명의 대전환
유발 하라리 외 지음, 신희원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0년 4월
평점 :
2019년 방송된 NHK 다큐멘터리 [욕망의 자본주의 2019:거짓된 개인주의를 넘어서]의 내용인 이 책 [초에측, 부의 미래]는 세계적인 석학 5명의 미래주의 견해를 제대로 이해해볼 수 있는 책입니다.
자본주의의 구동점인 욕망을 바탕으로 과학기술과 시장의 관계 속에서 유발 하라리는 자본주의와 과학기술의 만남을, 스콧 갤러웨이는 거대 IT기업의 폐해를, 찰스 호스킨슨은 암호화폐의 시장 기능성을, 장 티롤은 과학기술이 개입된 시장에서 정부의 규제에 대해, 마르쿠스 가브리엘은 탈진실의 시대 지적 시도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이름만 들어도 대단한 이들의 이야기를 한 권의 책에서 하나의 맥락 아래 조망해볼 수 있는 책이 바로 [초예측, 부의 미래]지요.
유발 하라리는 자본주의는 일종이 종교라 명합니다. 더 많이 갖고 정의와 자유, 행복을 증진시키며 딜레마를 해결해줄거라 믿는 믿음이 있는 신앙 같다고 합니다. 인간의 욕망을 증폭하도록 디자인된 자본주의는 소유나 부의 양 같은 객관적인 기준과 삶의 만족도가 비례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적하며 인류는 강해졌지만 행복하지 않다고 말합니다.
유발 하라리는 AI에 의해 인간의 일자리가 빼앗기는 것에 대한 걱정보다는 이젠 일이 아닌 ‘인간‘에 집중해, 인간의 기본적인 필요와 사회적 지위, 자존감을 지켜주는 방법을 고민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강조하는데요. 그가 하는 말에 깊은 공감이 갑니다.
[플랫폼 제국의 미래]의 저자 스콧 갤러웨이는 구글,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의 첫 글자를 따서 GAFA라 부르며 GAFA가 자본주의의 규칙을 새로 쓰고 있으며 무시무시한 힘으로 성장해나가는 것에 대한 경종을 주장했습니다. 신, 섹스, 사랑, 소비를 향한 인간의 욕구를 영리 기업의 형태로 보여주며 폭풍 성장한 이들이 합법적 부정을 저지르고 불공정한 혜택에 대해 지적합니다.
독점기업들의 혁신 저해, 고용 창출 방해, 작은 회사들의 성장 방해 등 일반인들은 간과하거나 잘 알지 못했던 문제점들이 무수히 드러나며 그 민낯을 보게 되니 마음이 꽤 불편해졌습니다.
‘우리는 1퍼센트가 엄청난 혜텍을 독점하는 사회가 아니라, 나머지 99퍼센트가 일정 수준 이상의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야 합니다‘(p66)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우리는 예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며 전혀 예측할 수 없는 변곡점에 선 세계경제를 바라봅니다. 석학들은 먼저 내다볼 줄 아는 자만이 살아남을 것을 경고하며 그들의 주장을 펼치고 있는데, 그 안에서 깨닫고 느껴보는 시간이 되었네요. 지난 <초예측>보다 이 책이 더욱 더 와닿았던 것은 포스트 코로나 이후의 세상의 변화에 대한 두려움 때문일 거란 생각이 드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