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마음은 내가 결정합니다 - 내 감정의 주인이 되는 자기결정권 연습
정정엽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생각이 얼마나 중요한지, 억압이라는 것이 삶 속 곳곳에서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어떻게 지배하는지 자세하게 알려주고 있는 책 [내 마음은 내가 결정합니다]는 근간에 읽은 심리학 책 중에서 가장 마음에 와닿고 실제적인 해결을 제시해주는 책이었다. 무엇보다 좋았던 점을 하나 더 고른다면 책 속 그림이다. 화려하면서도 감정을 잘 표현한 그림들은 자칫 이론적으로 다가올 수 있는 심리학의 테두리를 부드럽게 연결시켜 주었다.

내가 원하고 바라고 하고 싶은 것보다는 남들에게 맞추며 사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의외로 꽤 많다. 그것이 미덕이고 인격이라고 칭송받을 때가 있기 때문이다. 정작 내 인생인데 늘 나는 1순위에서 밀려나고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타인들을 보게 되면 씁쓸하고 외롭고 힘겹다. 남들 보기에 번듯한 삶 속 알맹이 없는 내 삶은 우울증, 공허함, 허탈감, 분노장애라는 각기 다른 명칭을 두른 채 나와 함께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저자 정정엽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지적하고 있다.

현대인의 대다수가 이러한 문제들과 교집합을 이루고 살고 있다. 그가 제시한 방법은 자기감, 스키마, 자기결정과 같은 심리학적 접근이었다. 심리학적 접근이란 한 개인의 존재 그 자체에 관심을 쏟으라는 의미다. 저자 정정엽은 이 책이 나를 바라보고, 세상을 바라보는 방향을 생각해보게 해주길 바랐다. 그리고 다 읽고 난 후 우리의 삶은 의미가 있으며, 나와 당신 우리 모두가 틀리지 않았음을 알게 하는 것이었다.

[내 마음은 내가 결정합니다]는 여러 내담자의 사례와 그 사례를 해결하기 위해 설명되는 이론, 그리고 실제적인 조언들이 담겨 있어 나의 삶 속 군데 군데 그 조언들을 가져올 수 있었다. 특히 자기감과 억압이 나에겐 큰 울림을 주었다. 높은 자존감은 건강한 자기감 위에 세워지기에 자신에 대한 감각과 감정, 생각과 느낌을 정확히 알아야 한다는 지적에서 깨달음을 얻을 수 있었다.

"자존감이 자신을 존중하는 감각이라면 자기감은 자신을 이해하는 감각이다"고 말하는 저자는 자신을 이해할 수 있어야 남을 이해한다고 말한다. 똑같은 일을 겪어도 누군가는 넘어지고 누군가는 별일 없는 듯 사는 사람이 있다. 흔히 그런 사람들을 멘탈이 튼튼한 사람이라고 하는데 그들은 실제로 건강한 자기감을 가졌기 때문에 그렇게 행동할 수 있었다. 힘의 불균형 속에서, 지독한 경쟁 구도 속에서도 나를 잃지 않기 위해서는 "나에게 속한 것을 부정의 값에서 긍정의 값으로 바꾸면 타인의 잣대 앞에 놓인다 해도 내 가치가 강등되지 않는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또한 사소한 행복과 기쁨이 무의미하고 무가치하다고 폄하해버렸던 이분법적 삶에서 벗어나야 세상은 다채로워짐을 잊지 말자.

"건강한 자기감은 돈이 아니라 만족감을, 쓸모 있는 인맥이 아니라 나와 연대하는 관계를, 번듯한 학력이 아니라 끊임없이 배우려는 자세로 만들어진다"는 문장에 밑줄을 그으며 건강한 자기감에 대한 생각을 확실하게 정리할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