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인생 구하기 - 삶을 마냥 흘려보내고 있는 무기력한 방관주의자를 위한 개입의 기술
개리 비숍 지음, 이지연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0년 3월
평점 :

개리 비숍의 [시작의 기술]을 읽으며 그의 팩트 공격하는 직언의 능력에 감탄했던 것이 기억이 난다. 당신이 문제라고 또 한번의 직언 팩트를 전하는 그의 신작 [내 인생 구하기]는 우리 모두의 가장 큰 취약점을 향해 한 방 펀치를 날리는 책이다. 우리가 해왔던 많은 일들, 경험점에 대해 헛짓거리라 하며 그만 하라고 조언하는 그의 글을 읽으며 반가웠다. 개리씨 여전하시군요!
무기력한 방관주의자들을 타겟으로 글을 쓰고 있지만 사실 현대인들의 대부분이 무기력을 경험하며 살아가고 있기에 이 책은 우리 모두에게 조언을 하고 있다. 더 이상 삶의 문제를 나의 밖에서 찾지 말라고! 문제는 바로 나 자신이라는 것을 계속해서 강조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스스로 하겠다고 말한 일을 정말로 하고 싶지 않을 때조차 하는 것'이라는 다소 복잡한 듯한 문장에 마음을 뺏겼다. 그것이었다. 역시 개리 비숍! 당신의 메시지는 명확하고 분명하다. 개리 비숍은 과거에 얽매이지 말고 미래를 참고해 결정을 내리는 것의 중요성을 미켈란젤로의 다비스상 이야기로 확실하게 결론 내고 있는데 이 이야기가 마음의 심금을 울렸다.
우리가 너무나 잘아는 미켈란젤로의 다비스상은 대리석을 깍아 만든 조각상이 아닌 대리석 덩어리에서 다비드가 아닌 것을 제거해 만든 것이다. 즉 현재에서 미래를 드러내는 과정을 통해 완성된 다비드상은 미래에서부터 현재를 행햐 조각한 것이다.
매일 매일 나 자신이 거대한 돌덩이를 깍아내, 한때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미래를 조금씩 드러내고 보여주는 인생을 만들어가라는 그의 메시지에 공감하게 된다. 나에게 가장 중요한 것들에 집중하는 인생으로 꾸며내는 삶, 내가 원했던 인생과 관계가 반영된 미래를 기억해 조각하는 것, 흔들림 없이 장애물을 옆으로 치우고 지나가라는 문장에 밑줄을 그어 본다. 지금 당장 미래의 삶을 드러내는 작업을 시작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