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에 수놓은 이야기 아르테 한국 소설선 작은책 시리즈
구병모 지음 / arte(아르테)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가미]와 [파과]에서 강렬한 인상으로 각인된 구병모 작가는 제일 좋아하는 우리나라 작가 중 한 명이다. 구병모 작가의 소설은 환상과 환타지, 미스터리와 호러라는 요소를 긴박하게 믹스해 놓아 독자의 마음을 단번에 사로잡는다. 한 번 소설책을 읽기 시작하면 일상과 자연스레 거리두기를 해주게 만드는 마력이 있으니 말이다. 밤에 읽으면 밤을 지새고 낮에 읽으면 끼니를 놓치기 다반사다. 이 책 역시 밥조차 먹을 시간을 허락하지 않았다.

구병모 작가는 삶의 잔혹함을 포착하는 캐처다. 가장 잔혹한 그 순간을 소설로 옮겨 놓는 능력을 가졌으며 무엇보다 그 잔혹함은 아름답고 매혹적이며 자석의 s극이 n극을 끌어당기듯 독자를 잡아 끌어주는 힘을 가진다.

구병모 작가가 이번에 선보인 신작 소설은 [심장에 수놓은 이야기]로 타투가 소재다. 신기한 것은 최근 타투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내 몸 구석 어딘가에 남기고 싶은 열망이 들었던 그 시점에 이 책을 만났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 소설은 나에게 소설이 아니었고 그저 현실 어디 쯤에서 존재하는 이야기로 다가왔다.

아르테 작은 책 시리즈로 선보인 구병모의 신작 [심장에 수놓은 이야기]는 작고 임팩트한 첫 인상이 강렬했다. 가볍고 작은 용량이지만 무겁게 나누고 오래 기억될 이야기가 담겨 있는 아르테 작은 책 시리즈, 그래서 더 매력적이다.

구병모 작가의 작품은 대부분 다 읽었다. [위저드 베이커리] , [아가미], [버드 스트라이크], [파과], [네 이웃의 식탁] 등 구병모 장르라는 것이 느껴질 정도로 개성 강하고 디테일에 힘이 있으며 잘 다뤄지지 않는 나이 많은 여성의 이야기들이 자주 등장하는 것도 특징이다. 특히 사회구조적 모순을 소설이라는 매개체로 폭로하는 작가의 정신은 그만의 작품세계라고 말하고 싶다.

너무 좋아하는 작가라 작가에 대한 감성으로 서두가 길어졌다. [심장에 수놓은 이야기]에서도 역시 중년 여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시미는 나름의 아픈 가족사를 간직한 여인이다. 그리고 구병모 식 미스테리 사건이 하나 둘 소개되면서 그 사건들 간의 연관성을 찾느라 독자들은 바빠진다.

환상적인 이야기라는 것은 철저하게 현실성이 없다는 것인데 구병모 작가의 소설은 그 환상이 지극히 현실적이라는 매혹이 도사리고 있다. 말끔하지만 촌스러운 양복을 차려입은 타투 가게 사장님이 어딘 가에서 영업을 하고 있을 것만 같고, 누군가의 몸 속에 은밀하게 그려진 타투가 꿈틀거릴 것만 같은 그러한 환상들이 소설을 읽는 내내 그림처럼 펼쳐졌다 사라지길 반복한다.

소설의 중간 쯔음 타투를 하고자 했던 마음이 사그라지는 느낌이 들었다. 소설의 마지막 장을 덮으며 어떤 문양을 어디에 그려볼까 고민하는 나를 발견하게 된다. 태울 에너지가 생성된 충동은 열망이라는 예쁜 포장지에 쌓여 나를 유혹하고 있었다. 무엇보다 나를 지켜줄 것만 같았기에 나는 그 유혹에 빠져들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