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플랫폼의 행동 방식 - 세계 비즈니스 판도를 뒤바꿀 발칙한 전략과 혁신
이승훈 지음 / 와이즈베리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국에서 만들어진 플랫폼이란 단어는 이제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비즈니즈 용어입니다. 플랫폼이란 '공급자와 수요자가 얻고자 하는 가치를 공정한 거래로 교환하도록 구축된 환경'을 말하는데요. 미국 실리콘 밸리에서 탄생한 거대한 플랫폼 기업들의 이야기는 이미 많이 알려져 신화처럼 여겨질 정도입니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역시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이죠. [플랫폼의 생각법]의 저자 이승훈 교수는 신작 [중국 플랫폼의 행동방식]을 통해 중국의 다양한 플랫폼을 소개하고 성공을 거둔 빠른 성장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중국에서 살아본 적이 있는 저 역시 중국 플랫폼을 경험해봤는데요. 몇 년 사이 어마어마하게 중국 플랫폼 시장이 성장해 지금의 중국은 상거래와 소통, 이동 그리고 대부분의 콘텐츠들이 플랫폼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중국은 어느 나라에나 있을 법한 개방형 지식 플랫폼이 없는 대신 최대이자 최고의 온라인 쇼핑몰인 타오바오와 의사소통 플랫폼인 위챗, 메이투안, 도우인(틱톡) 등 현실과 밀접한 생활 밀착형 서비스에 집중되어 있지요.

중국에 거주하는 지인들과 연락을 주고 받기 위해 저 역시 위챗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중국은 이처럼 남의 나라 플랫폼의 사용을 불허하고 있기에 그 흔한 카톡이나 페이스북으로의 소통이 쉽지 않습니다. 그런데 놀라웠던 점은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위챗의 쓰임이나 성능이 훨씬 좋았다는 점입니다. 다른 나라의 플랫폼 특성과 비교해보면 소수의 사업자에 의해 독점되는 중국의 플랫폼은 확연하게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지요. 이 책은 중국의 플랫폼을 소개하며 어떻게 경쟁하고 성장하는 지에 대해 보여주고 있습니다.

중국의 뉴스 콘텐츠는 바이두, 텐센트, 토우탸오 등이 제공하고 있으며, 인터넷 상거래 영역에서는 알리바바와 징둥이 주도하며 아마존을 앞서가고 있습니다. 징둥의 '중국 내 24시간 배송' 체제는 중국의 어마어마한 국토를 놓고 볼 때 혁신적인 서비스인데요. 그것도 모자라 '2시간 배송'도 시도하고 있다고 하니 놀라울 따름입니다.

중국은 이제 예전과는 다른 모습의 생활환경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예전에 제가 중국에 살 때는 꼭 현금을 가지고 있어야만 구매할 수 있는 물건들이 많았습니다. 신용카드 거래가 제한적이었죠. 재래시장과 길거리 상인들에게 카드를 내밀 수 없으니까요. 지금은 길거리 리어카 상인들도 자신만의 홈페이지가 있고 위챗으로 결재를 하며 교회의 헌금도 위챗으로 냅니다. 타오바오의 무료 수수료 정책은 플랫폼을 떠나지 않게 하는 큰 무기였기에 미국의 이베이는 쓴맛을 보고 중국을 떠나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개방원칙을 통해 성장을 도모할 수 있었던 것이지요. 저 역시 타오바오를 통해 물건을 구매해본 적이 있는데요. 타오바오는 물건을 사는 것보다 고르는 게 문제일 정도로 없는 게 없는 거대한 시장입니다.

중국 게임산업의 지배자인 텐센트의 위챗은 실력있는 파트너들과 협력하며 위챗 환경 안에서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있는데요. 이러한 미니프로그램 중 18%가 상거래용입니다. 중국은 모든 것이 위챗으로 가능한 세상이 되었습니다. 바이두는 보유한 검색 기반의 빅데이터로 인공지능 플랫폼을 만들고 있어 앞으로의 성장과 발전이 더 기대되고 있습니다. 우버의 중국버전인 디디추싱은 중국 승차공유 시장의 지배자로 평가받고 있지요. 메이투안은 음식점에 대한 평가, 대금의 결제, 음식점 마케팅, 음식배달을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그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책을 통해 지금 중국을 지배하고 있는 다양한 플랫폼의 처음과 현재 진행 상황,앞으로의 미래 전망까지 두루 살펴볼 수 있었는데요. 이렇게 어마어마하게 커진 중국 플랫폼을 종류별로 다양하게 주목해볼 수 있었습니다. 플랫폼에 대해 궁금하다면, 중국 플랫폼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 이 책을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