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화를 신은 소크라테스 1881 함께 읽는 교양 10
마티아스 루 지음, 박아르마 옮김 / 함께읽는책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축구에 빗대어 철학하기를 도입한 저자의 시선이 무척이나 새롭다. 축구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축구에 열을 올리는 사람들이 이해되지 않겠지만, 그들에게는 죽고 사는 문제보다 더 큰 문제인 듯 보인다. 그런 대상이 우리에게 몇몇 있지 않은가. 축구는 액면가로는 별 가치가 없지만 무궁무진한 잠재 가치를 가진 놀이이자 노동이자 유희일 수 있겠다. 하지만 쉽지는 않았던 책이라고 고백해야겠다. 철학하기보다는 철학을 보기가, 혹은 암기하기가 더 쉬웠던 주입식 교육의 최대의 수혜자인 나는 아마도 철학하기를 가르쳐준 이 책이 결코 쉬울 수가 없겠다. 그러나 중반을 향해 가니 이 책이 말하는 바가 무엇인지, 어떤 유머를 구사하는지 대략 이해할 수 있어서 그나마 잘 마무리할 수 있었다. 얼마나 더디게 책장이 넘겨지는지 그렇게까지 오랜 시간 붙들고 있었던 적이 없었던 것 같다. 생각해보면, 나는 어려운 책은 읽는데 오래 걸린다.

 

서문에서도 밝혔듯이, 이 책은 철학사를 소개하려는 것이 아닌 철학을 소개하려는 의도를 가진 책이다. 글의 구성은 전반전, 하프타임, 후반전, 연장전, 승부차기의 순으로 되어 있는데, 제18회 독일 월드컵 결승전을 그 중심에 두고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있다. 전반전에는 인식 능력, 자유, 타인, 욕망, 노동, 의식과 주체 등의 주제로 철학하는 법을 알려준다. 우리가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던 것에 대해서 이것이 맞느냐고 한 번 꼬집어주면서 다시 생각해보길 기대하는 마음으로 진행되는데 처음에는 엄청 헤메고 다녔다. 무슨 소리인지 알아들을 수가 없어서... 그러다 하프타임 바로 직전에 등장한 노동 편에서부터 재미있게 사유할 수 있었던 계기를 얻었다. 그리고 나서 깨달은 것은, 사람은 자신이 공감할 수 있고 관심있어 하는 주제에 대해서만 반응한다는 아주 단순한 사실이다. 알고 보니, 내가 축구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던 것이 이 책을 읽는데 큰 방해요소가 되었던 것이다.

 

하프타임에서는 언어를 다루고, 후반전에서는 예술, 진실, 시간에 대해서 사유해보는데 시간이라는 화두는 정말 궁금했던 차였다. 시간이라는 존재는 인간이 문명을 발전시킨 다음에 구획을 나누어서 생각하기 시작했던 것이지 그런 체계가 없었더라도 항상 시간은 지나가고 그런 체계 아래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사실은 고찰해보면서 나는 시간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궁금해졌다. 난 꼭 지각을 할 때면 시계바늘이 단 10분 전으로 가길 소망할 때가 많다. 그럴 때면 그렇게 시간이 거꾸로 갈 수 있을 것처럼 생각하고 마는데 정말 이차원적인 생각을 한다. 만약 그런 일이 가능할지라도 우리가 몇 시간 앞서서 이동했다는 것을 어떻게 알 것이며 우리가 되돌리고 싶은 행동까지도 되돌릴 수 있을지 없을지도 모르는데 항상 쉽게만 생각해버리고 만다. 특히 영화를 조절하면서 보는 것이 익숙해지면서 나타나는 증상 중의 하나는 생방송을 보더라도 앞으로 당기거나 한 번 더 보고 싶은 마음에 뭔가를 조작하고 싶다는 마음이 든다는 것이다. 그럴 때마다 나 스스로가 상당히 이상스러운데 우리와 떨어질래야 떨어질 수 없는 시간에 대해서도 그런 식으로 쉽게 생각해버리는 것이다. 어쩌면 우리와 너무 가까워서 일어나는 일일 수 있겠다.

 

연장전에서는 정의와 법, 도덕과 의무를, 승부차기에서는 종교와 권력을 이야기한다. 그런데 이 모든 것이 축구뿐만 아니라 우리가 만나는 모든 현상 속에서 살펴볼 수 있는 것이라서 특별히 축구를 결부시켰다고 해서 대단히 이상스럽거나 특출난 것은 아니라 하겠다. 읽다 보면 알겠지만, 그저 나도 모르게 흘러가게 된다. 처음에는 축구를 보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어느 순간 철학을 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나는 이런 형식의 철학이 생소해서 어렵다고 느꼈는데 솔직히 철학하게 만드는 책으로는 으뜸인 듯 싶다. 우리가 유회의 대상으로 여기는 축구로도 철학을 이야기할 수 있으니 철학이란 존재는 우리의 생활과 떨어질 수 없는 존재라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